[기고] 목사의 이중직과 내가 찾은 의미
이중직 목사의 본질 무너트린다
목회자 경제적 현실 공감대 없다
정답 없지만, 이중직 받아들여야
예수님 땅끝으로 가라 하셨는데,
한국교회는 다시 예루살렘 향해
목사 본분 맞는, ‘가르치는 자리’
요즘 페이스북이 다시 한 사람의 목소리에 뜨겁다. 대형교회를 담임하셨고, 항상 청렴함과 정직함의 대명사로 불렸던 목사님이다. 이 분이 목사의 이중직에 대해 언급했다.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목사의 이중직은 교단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제는 시대가 변해서인지, 한국의 대표적 보수 교단을 자처하는 예장 합동에서도 이중직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목사님께서 이중직 목사들이 아마추어이고, 전력을 다해 목회해야 프로가 될 수 있는데 요즘 목사들은 그렇지 못하다며, 가만히 있던 추신수 선수까지 소환하셨다.
이러한 이중직의 목소리는 다시 두 가지 의견으로 갈린다. 첫째는 이 목소리에 지지를 보내는 그룹이다.
목사가 전력으로 목회하면 교회가 성장하는데 그렇지 못하니 이중직으로 내몰리고, 이러한 이중직은 결국 목사의 본질을 무너트린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지지를 보내는 목사들이 내 관계의 기준에서는 모두 청빙을 받은 교회의 2-3대 목사들이다. 이들의 주장은 지극히 본인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
중대형교회 부목사로 들어가 사역하다 담임목사로 청빙되고, 부교역자 시절에도 어렵지 않은 사례비와 차량 지원금을 받으며 사역했다. 그러니 이들에게는 다른 경제적 어려움이 눈에 들어오지 않았을 것이다. 이들이 주장하는 말 또한 그런 시각에서 보면 틀린 말도 아니다.
두 번째 목소리는 현실적인 사역과 이중직으로 내몰리는 목사들의 경제적 공감대가 없다는 것이다.
지금 한국교회는 그동안 본질을 잃은 성장주의와 스스로 쌓아 올린 장벽 때문에 세상에 외면당하고 있다. 예수님은 땅끝으로 가라고 하셨는데, 정작 한국교회는 다시 예루살렘으로 향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쉽게 말해 교회가 안 된다. 각자 소명을 가지고 교회를 세웠지만, 성도는 오지 않고 목사는 불신과 사기꾼의 대명사가 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 속에도 목사의 삶을 살기 위해 최소한의 생계를 책임지고자 직업을 가지고 살아가는 이중직 목사들이 있고, 이들은 비판의 목소리를 낸다.
과연 무엇이 정답일까? 10년 전쯤 한국에 ‘미셔널 처치(Missional Church)’ 바람이 불면서 목사들이 이중직을 가지기 시작했다. 카페 교회를 열어 사장님이 되고, 다양한 직업을 선택해 사역을 병행했다. 하지만 그 많던 카페 교회들은 대부분 문을 닫았고, 성도의 삶을 이해하겠다고 직업을 선택한 목사들은 많은 부분 목회를 그만두거나 그 현장을 떠났다.
때로는 이러한 일들을 SNS를 통한 후원 창구로 활용한다. 실패한 통로였다. 하지만 필자는 ‘미셔널 처치’가 실패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의미와 방향보다는 이름만 가져와 사역했던 목사들이 문제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중직에 대한 답은 없을까? 필자도 ‘미셔널 처치’의 마지막 바람을 타고 10여 년간 교회 밖 현장에서 살아왔다. 대학교 안에서 카페도 운영해 보고, 청년들을 위한 세대 교회를 개척해 보고, 지역교회도 섬겼다.
그러면서 필자가 찾은 답은, ‘이 시대에는 이중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우리가 목사의 본분을 감당할 수 있는 이중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목사의 본분에 벗어난 직업을 잘 할 수 있다면 필자는, 목사가 되지 않고 성도로 돌아가도 된다고 생각한다.
필자가 생각하는 목사의 본분에 맞는 이중직은 ‘가르치는 자리’이다. 성경에는 목사라는 직분이 없다. 그래서 많은 목사가 목사를 제사장, 선지자, 사도에 비유한다. 하지만 정확한 목사의 의미는 이와 다르다.
그렇다면 성경에서 말하는 목사는 무엇일까? 성경에서 가장 흡사한 직분은 ‘선생’이다. 선생은 가르치는 사람이다. 지금 목사의 직분도 가르치는 사람으로, 가르침은 육체 노동과 병행될 수 없다.
해본 사람은 안다. 선생은 정신 노동을 하는 사람으로, 생각하고 고민하며 지혜를 나누는 일을 해야 한다. 세상에는 이러한 선생의 자리에 서는 방법이 많다. 학교와 학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학습을 돕는 선생이 아니라 다양한 자리에서 교회의 가치, 다시 말해 기독교의 가치 속에 세상과 접촉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하지만 목사들에게 이 길은 너무 어렵고 힘들다.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신학교에서 배운 적도 없고, 주변에 이런 일을 하는 목사도 없다. 그러니 세상에서 선생의 자리에 설 수 있는 것 자체가 불가능처럼 보인다. 하지만 필자도 10여 년의 고민과 실패 속에서, 지금 선생의 자리를 찾아 교회와 병행하며 사역하고 있다.
이런 이야기를 주변 목사들과 나누면 한 번쯤 하는 소리가 “목사님이니까 가능한 겁니다”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필자는 “그럼 그 일을 위해 10년이라는 시간을 투자해 봤냐?”고 답한다.
10여 년의 시간을 투자하면 누구나 비슷한 자리에 설 수 있다. 앞서 이 논란의 발단이 된 목사님의 말은 이런 의미에서 말하고 싶었던 게 아니었겠느냐고 생각해 본다.
필자는 누구의 편을 들고 싶은 게 아니다. 목사의 이중직은 이제 우리가 받아들여야 할 시대가 됐다.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겠다는 목적보다 그들과 선생으로 함께할 수 있는 방향을 찾아간다면, 이 논란에서 각자의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김동영 목사
바람길교회
청년사역네트워크 의장
미래교육협업플랫폼 ‘미담’ 대표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