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금 종류 하나로 줄이기, 왜 안 되는 걸까요?

|  

[북뉴스 칼럼] 11개의 헌금 봉투

▲이성호 목사.

▲이성호 목사.

1. '높은뜻숭의교회'의 전폭 지원으로 분립된 교회들 중 한 교회 목회자의 발언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습니다. "한 달에 한 주일은 우리 교회에 헌금하지 마십시오." 사람들은 공감을 넘어서 환호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생각이 달랐습니다. "한국교회 헌금은 몇 종류일까?" 주일헌금은 물론, 감사헌금과 십일조 봉투는 따로 있고, 선교헌금, 여전도 남신도 헌금, 장학헌금, 심방헌금, 생일헌금도 당연하며, 각종 작정헌금과 건축헌금(?)까지.... 헌금의 종류를 헤아리다 보니 한 달에 한 번 다른 곳에 헌금하라고 할 게 아니라, 그 헌금 숫자를 하나로 줄이면 어땠을까요.

왜 안 되는 걸까요? 각기 다른 명목으로 걷지만 목적은 하나인데. 헌금 종류를 하나로 줄이면 교회가 망할까요? 그럼 망하라지요. 생각할수록 눈가림처럼 보여 차라리 불쾌했습니다.

2. 청빙을 받아 첫 예배를 드리던 작년, 부임 첫 달 교회 정관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헌금봉투를 하나로 통일했습니다. 누구든 어느 분이든, 주일헌금의 이유이든 십일조의 이유이든 감사의 이유이든, 무엇이 되었든 교회에서 봉헌하는 헌금봉투는 딱 하나입니다.

교회는 돈을 갈취하는 곳이 아닐 뿐더러, 헌신을 명분으로 헌금을 늘려 재정을 채우는 곳으로 만들 순 없었기 때문입니다. 물론 제 생각입니다.

무슨 프로그램이나 이벤트 같이, 할인을 남발하면서 영업하는 곳이 아님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작을 때, 작을수록 더 정직한 교회를 세워갑시다. 다르게 보고, 바르게 합시다"라고 설득하기 무섭게 온 교우들이 화답합니다. 이런 교회도 있다는 것이 자랑일 순 없겠으나, 한국교회의 천박성이 엇나가도 너무 나가 버렸습니다.

3. 무더위가 시작되기 직전, 여름의 초입 7월의 둘째 주, 예배 시간이 중간을 넘어선 시각 한 부부가 다급히 참석했습니다. 내비게이션이 가리키는 대로 이전 교회 건물로 갔다가 돌아오느라 늦었다며 오후 모임까지 참석하신 이 교사 부부가, 수요일에도 그 다음 주도 그 다음 주도 계속 참석할 동안 저희는 한 번도 전화번호를 묻지도 취하지도 않았습니다. 교우들에게도 당부하고 속으로 기도만 할 뿐입니다.

3주째 되던 주일, 공동식사를 마치고 부인 되시는 여집사님이 나가시더니, 한참 후 돌아오셨습니다. "등록카드 있나요?" 그동안 간절하던 교우들이 저보다 더 기뻐합니다. 두 분이 등록을 마치시곤, 자신들이 그동안 섬기던 교회와 오늘까지의 일들을 나눕니다. 저는 간략하게 감사를 대신한 환영의 인사를 전했습니다.

4. 그런데 땀이 채 마르지도 않은 손으로 핸드백에서 주점주섬 봉투 11개를 내려놓습니다. "목사님 그 동안의 저희 가정 십일조입니다. 교회를 정하게 되면 봉헌하려 통장에 모아둔 것을 찾았습니다. 헌금함이 잘 보이지 않아서...." 함께 앉아있던 교우들 한 분 한 분의 눈이 젖어갑니다. 저도 목이 메는 걸 참았습니다. 그 부부도 참 어지간합니다. 봉투 11개, 십일조 11개월분.

지금도 헌금 봉투는 하나이고, 앞으로도 끝까지 하나로 갈 것입니다. 헌금은 "하나님이 모든 것의 주인이시다"는 신앙고백인 줄 믿습니다. 고백은 강요되거나 경쟁이 될 때, 진의를 상실합니다. 그 고백은 고백이 아니라 공명심입니다. 교회가 그 짓을 부추겨서 되겠습니까? 저는 '쪽팔려서' 못하겠습니다.

결국 더위가 힘을 잃고 제법 바람에 가을 냄새가 묻어납니다. 모처럼 시원한 잠자리 이루시길.

/이성호 목사(북뉴스 편집위원, 포항을사랑하는교회)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국, 기독교인,

中 사실상 선교 전면금지… 주중 한국대사관, 주의 당부

중국 정부가 오는 5월 1일부터 외국인의 종교 활동을 전방위적으로 규제하는 새로운 시행세칙을 시행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금지 항목에 ‘중국 국민을 신도로 만들거나 성직자로 임명하는 것’ 등이 포함돼 있어, 선교사와 기독교인들의 실제적인 ‘선교 활동 전…

민족복음화대성회

“2027 민족복음화대성회, 나라와 민족 살릴 마지막 기회”

교파·교단 초월 함께 교회 살려야 한 생명 전도 총력, 50만 명 구원 성령과 복음의 불씨 되살려 부흥 8천만 복음화되면 통일 당연해져 성령 역사, 교회·예배 본질 회복 세상의 빛과 소금, 부흥 일어나야 ‘2027 8천만 민족복음화대성회 강사단 발대식’이 2027 8천…

본회퍼

‘목사, 스파이, 암살자’ 본회퍼의 히틀러 암살 가담, 성경적으로 문제 없나?

이번 ‘브리콜라주 인 더 무비’에서는 지난 4월 9일 개봉한 영화 를 다룹니다. 이 영화는 시나리오 및 감독 토드 코라르니키(Todd Komarnicki), 등장인물은 디트리히 본회퍼 역 요나스 다슬러(Jonas Dassler), 마르틴 니묄러 역 아우구스트 딜(August Diehl), 카를 본회퍼 역 모리…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