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좋아하는 성경은 시편·잠언, 가장 어려워하는 성경은?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지앤엠, 한국 기독교인들의 성경읽기 실태 조사(2)

기독교인들의 '성경읽기'에 대한 최초 설문조사 결과, 가장 좋아하는 성경으로 '시편과 잠언'을 꼽았다.

이는 지앤엠(Grace & Mercy) 글로벌문화재단(대표 문애란, 이하 지앤엠)에서 지앤컴리서치에 의뢰해 만 19세 이상 기독교인 7백 명을 대상으로 한국 기독교(개신교)인들의 성경읽기 실태를 조사한 결과 중 일부이다.

3. 성경 권별 선호도와 난해도

'성경 66권 중 가장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를 묻고 3가지를 답하게 한 결과, 시편이 41.4%로 가장 높았으며, 잠언이 35.5%로 뒤를 이었다. 마태복음 31.5%, 요한복음 25.9%, 창세기 25.8% 등도 높은 선호도를 기록했다.

이 외에는 요한계시록 11.8%, 사도행전 11.7%, 로마서 10.6%, 누가복음 9.9%, 고린도전후서 6.8%, 마가복음 6.2%, 출애굽기 5.7%, 이사야 4.4%, 에베소서·욥기 4.1%, 히브리서 3.1%, 빌립보서·전도서 3.0% 순이었다.

가장 낮은 선호도는 0.3%의 요나서와 데살로니가전후서, 유다서였으며, 디모데전후서 0.4%, 느헤미야·말라기 0.5%, 룻기와 요한1·2·3서 0.7%, 사무엘상하·에스겔 0.8%, 민수기·아가서·열왕기상하 0.9%도 순위가 낮았다.

남성의 경우 마태복음(37.0%)과 창세기(35.0%)를 많이 선택했고, 여성들은 시편(50.0%)과 잠언(40.8%)가 압도적이었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경우 사도행전(23.9%), 60대 이상은 마태복음(39.3%)을 많이 골랐으며, 교회 비출석자는 마태복음(36.7%)과 창세기(27.2%)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구약과 신약 중 무엇을 더 많이 읽는가?'를 물으니, '골고루'가 45.9%로 가장 높았고, '신약' 41.7%, '구약' 12.4% 순이었다.

'골고루'는 여성(48.0%), 고졸 이하(49.4%), 신앙이 깊을수록(깊다 54.0%, 보통 47.8%, 깊지 않다 27.7%), 교회 출석자(47.4%), 성경 매일 읽음(64.3%), 성경통독 경험자(53.9%), 드라마바이블 비사용의향자(53.4%) 층에서 다소 높았고, '신약'은 서리집사(50.3%), 신앙이 덜 깊을수록(깊다 33.1%, 보통 42.6%, 깊지 않다 56.4%), 교회 출석자(52.8%), 성경통독 비경험자(46.7%), 드라마바이블 사용의향자(44.9%) 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구약 중 어느 성경을 가장 많이 읽는가?'는 질문에도 '비슷하게 읽었다'가 31.4%로 가장 높았고, 시가서 24.3%, 창세기 22.1%, 역사서 8.2%, 창세기 제외 모세오경 7.3%, 대선지서 2.6%, 소선지서 0.2% 순이었다.

'시가서'는 대재 이상(29.5%), 서리집사(32.3%), 신앙 깊음(29.3%), 성경통독 비경험자(27.5%) 층에서 다소 높았다. '창세기'는 20대(34.9%), 자영업자(31.8%) 및 학생(29.7%), 일반 성도 (26.8%), 교회 비출석자(40.9%), 성경읽기 월 1회 이하(32.6%) 층에서 비교적 높았다.

'신약 다독 순위'는 복음서가 48.8%로 압도적이었다. 이후 '비슷하게' 22.8%, 바울서신 11.8%, 역사서(사도행전) 5.6%, 예언서(요한계시록) 4.0%, 일반서신 2.8%, 히브리서 0.7% 순이었다. 복음서는 40대(59.7%), 대재 이상(52.0%), 학생(55.5%), 경제수준 하층(59.1%), 교인 100명 미만 교회 출석자(58.0%), 신앙 깊지 않음(53.9%), 성경통독 비경험자(56.0%), 드라마바이블 사용의향자(51.2%) 층에서 높았다.

'가장 안 읽어지는 성경 부분'을 묻고 2가지까지 답할 수 있게 한 결과, 구약 소선지서(27.0%)와 구약 창세기 제외 모세오경(26.4%)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구약 역사서가 23.3%, 신약 예언서 20.6%, 구약 창세기 13.6%, 구약 대선지서 13.5% 순이었다. 요한계시록을 빼면 모두 구약이다.

연령별로는 20대의 경우 구약 소선지서(32.4%)를, 30대는 구약 창세기 제외 모세오경(36.8%)을, 60대 이상은 구약 소선지서(33.9%)를 꼽았다. '신앙이 깊지 않다'고 응답한 이들은 구약 소선지서(27.6%)를, 성경을 매일 읽거나 성경통독을 경험한 이들은 레위기가 속한 구약 창세기 제외 모세오경(32.9%)을 어렵다고 답했다. '안 읽어지는 성경'은 대체로 교회에서 잘 설교하지 않는 부분과도 일치한다.

'안 읽어지는 이유'를 질문한 결과, '지루해서'가 31.1%로 가장 높았으며, 어려워서 28.1%, 해석·적용 부담 25.7%, 생소해서 7.6% 순으로 답했다.

성경 권별로 어려운 이유를 분석한 결과, 창세기(42.7%)와 나머지 모세모경(45.8%), 역사서(41.1%)를 어렵게 느낀 응답자는 '지루하다'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구약 시가서는 '해석·적용 부담(40.6%)'을, 구약 대선지서는 '지루해서(28.3%)와 어려워서(29.1%)', 구약 소선지서는 '지루해서(28.3%), 어려워서(26.0%), 해석·적용 부담(26.4%)'이 모두 높게 나왔다.

신약의 경우 복음서는 '해석·적용 부담(37.0%)'이 가장 높았으며, 역사서(47.2%)와 바울서신(30.6%)라는 응답자들은 '어려워서', 히브리서는 '어려워서(31.3%)와 해석·적용 부담(28.5%)', 서신서(35.4%)와 예언서(34.7%)도 '어려워서'였다. 지앤엠 측은 "구약은 지명과 이름 등이 반복되고 지루해서, 신약은 내용이 추상적이고 어려울 때 잘 안 읽어지는 것 같다"고 했다.

4. 성경 통독에 대해

'성경통독 경험 유무'에 대해선 '있다'가 46.3%, '없다'가 53.7%로 기독교인 10명 중 4명 이상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통독 경험자는 60대 이상(57.7%), 블루칼라(55.4%), 경제수준 상/상중(63.2%), 지역 크기가 작을수록(대도시 44.0%, 중소도시 48.1%, 읍/면 54.6%), 교회 직분이 올라갈수록(중직자 73.7%, 서리집사 55.4%, 일반성도 37.8%), 신앙이 깊을수록(깊다 69.9%, 보통 44.9%, 깊지 않다 22.2%), 성경읽기 빈도가 높을수록(매일 75.8%, 주 1회 이상 52.5%, 월 1회 이하 35.7%, 읽지 않음 23.9%), 1년간 신앙서적 경험자(61.2%) 층에서 비교적 높았다.

성경통독 경험자들에게 횟수를 질문한 결과, 1회가 33.6%, 2회 23.8%, 3회 19.5%, 4-9회 13.1%, 10-19회 6.9%, 20회 이상 3.1% 순이었다. 횟수가 늘수록 경험자가 적은 셈. 10회 이상 경험자도 10.0%에 달했다. 평균적으로는 2.9회였으며, 통독 미경험자를 포함하면 기독교인들 전체 평균은 1.3회이다. 기독교인들은 성경통독을 한 번은 해 봤다는 이야기이다.

당연한 말일 수 있지만, 횟수는 연령대가 높을수록(20대 2.0회, 30대 2.4회, 40대 2.8회, 50대 3.0회, 60대 3.4회) 많아졌다. 또 가정주부(3.2회), 경제수준 상/상중(4.0회), 교회 중직자(3.4회), 신앙깊음(3.3회) 성경 매일 읽음(4.1회) 층에서 더 높았다.

통독 방식으로는 '개인적으로 시간을 정해놓고 읽었다'가 74.2%로 단연 높았고, '통독 프로그램에 참여해 다같이 읽었다'가 14.3%, '마음 맞는 그룹원들과 계획을 세워 읽었다'가 6.2%였다. '개인적으로'는 중장년층(40대 80.8%, 50대 79.1%, 60대 77.5%), 교회 중직자(74.1%)와 서리집사(77.5%), 교회 비출석자(85.2%) 층에서 높았고, '통독 프로그램'은 20대(18.0%)와 30대(26.0) 대학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경통독시 어려운 점으로는 '계획을 꾸준히 지켜 나가기 힘들었다'가 38.0%로 1위였다. 이후 '단순히 순서대로 쭉 읽어 내려가는 방식이 지루했다' 29.8%, '중간에 궁금한 점이 있어도 질문할 수 없어 답답했다' 16.1%, '한 번에 읽어야 할 양이 많아 부담됐다' 6.9%, '속도가 너무 빨라 이해하기 어려웠다' 4.1% 순이었다.

성경통독이 전체 흐름 파악에 도움이 되느냐는 물음에는 '그렇다(73.0%)'가 '그렇지 않다(23.2%)'보다 3배 이상 높았다. 방식별로는 '개인적으로(75.5%)'와 '통독 프로그램(79.2%)'은 크게 도움이 됐다고 한 반면, '그룹원들과'는 절반인 49.0%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해 주목된다.

통독 후 성경읽기가 더 쉬워졌느냐는 물음에도 '그렇다'가 72.9%로 '그렇지 않다(23.7%)', '잘 모르겠다(3.4%)'보다 훨씬 높았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