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W. 스미스, 故 부시 대통령 요청으로 장례식 추모곡 헌사

이미경 기자  mklee@chtoday.co.kr   |  

“고인과의 우정 감사”

▲고 부시 대통령 장례식에서 '프렌즈'를 열창하고 있는 마이클 W. 스미스. ⓒCBS NEWS 방송 캡처

▲고 부시 대통령 장례식에서 '프렌즈'를 열창하고 있는 마이클 W. 스미스. ⓒCBS NEWS 방송 캡처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열린 고 조지 H.W. 부시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크리스천 싱어송 라이터 마이클 W.스미스(Michael W. Smith)가 고인의 요청에 따라 추모곡을 불렀다고 미국 크리스천포스트가 보도했다. 

마이클 W. 스미스는 워싱턴 국립 성당에서 열린 고 부시 대통령의 장례식 전날 CBN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생전 고인과 수십년간 알고 지냈던 이야기를 털어놓았다. 

스미스가 마지막으로 고인을 본 것은 약 3개월전이었다고. 그 만남에서 그는 자신의 장례식장에서 1982년 발표된 '프렌즈'(Friends)라는 곡을 불러줄 수 있는지 부탁을 받았다고 한다. 

이어 그는 "우리가 떠날 때 고인에게 포옹을 하고 '우리가 당신을 사랑합니다'라고 말하자 그의 눈빛에 불꽃이 일어나며 '친구는 영원히 친구야'라고 말씀하셨다. 뎁과 나는 이것이 우리가 그를 만날 마지막 시간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스미스는 "29년 동안 그 분과 친구가 된 것은 무언가를 의미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래서 그 분이 본인의 장례식에서 나에게 추모곡을 요청하셨다는 사실이 영광이었다"고 말했다. 

스미스는 이날 장례식에서 미군 합창단, 미국 해양 오케스트라, 대성당 합창단과 함께 추모곡을 연주했다. 

한편, 크로스워크닷컴이 편집한 간행물 'op-ed'에 따르면 마이클 W. 스미스는 지난 1989년 NBC의 'Christmas in Washington' 특별 행사에서 부시와의 우정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설명했다.

그는 "당시 공연이 끝난 후, 대통령은 우리 중 일부에게 백악관에 올 것을 요청했다. 부시 대통령은 피아노를 지나면서 나에게 무언가를 연주해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우정이 시작됐다"고 회상했다. 

이어 "나는 결코 잊지 못할 것이다. 백악관에서 크리스마스 캐럴을 연주했다. 올리비아 뉴튼존과 함께 대통령 가족을 위해 연주했다"고 밝혔다. 

그는 또 조지 W. 부시 대통령과의 친분에 대해서도 나누며 "내 경력에서 가장 큰 영예 중 하나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자신의 대통령 취임식에서 기도를 수행하도록 요청했을 때였다. 'Above All'이라는 찬양을 당시 처음 연주했다. 물론 많이 긴장됐었고 가사를 잘못 말하는 실수도 했다. 부시 가문이 미국에 의미했던 바가 너무 많아서 고맙다"고 소회를 밝혔다. 

마이클 W. 스미스는 올해 초 미국 국회 의사당에서 열린 고 빌리 그래함 목사의 추모식에도 참석한 바 있다. 

부시 대통령의 장례식에는 도널드 트럼프 (Donald Trump) 대통령과 멜리니아 트럼프 (Melonia Trump) 영부인을 비롯해 모든 전직 대통령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