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 사직 등 사실상 파업,
국민 건강 담보로 하는 살인 행위
정부, 의료계와 끝까지 대화 촉구

예장 통합 제108회기 총회장 김의식 목사(치유하는교회)
▲예장 통합 제108회기 총회장 김의식 목사. ⓒ크투 DB
예장 통합 김의식 총회장이 의대 정원 확대 발표에 전공의들이 파업에 나선 것에 대해 ‘의료계는 즉각 병원으로 복귀하기를 촉구한다’는 제목의 목회서신을 2월 27일 발표했다.

김의식 총회장은 “최근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발표 이후 의료계가 취하고 있는 행동에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하루 속히 의료계가 국민의 생명을 담보로 하는 파업을 철회하고 의료현장으로 복귀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 총회장은 “그동안 우리 사회는 의료 인력 부족으로 응급실과 소아과 등 여러 문제가 있었음을 많은 국민이 주지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상황에 의대 증원에 반대하며 집단행동을 하면서 여러 긴급한 수술이 연기되는가 하면, 급기야 응급환자가 여러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하는 일까지 발생했다”고 우려했다.

그는 “사실 의대 증원 문제는 당연하고 시급한 것이었지만 현상 유지를 해오다 불가피하게 정부가 증원조치를 한 것”이라며 “세계 역사상 유례 없는 전공의들 사직 등 사실상 파업은 국민 건강을 담보로 생명을 살려야 할 의사들이 오히려 환자의 소중한 생명을 잃게 하는 살인 행위나 다름 없다”고 비판했다. 이에 아래 내용들을 촉구했다. 다음은 그 구체적 내용.

첫째, 의료계는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즉각 의료 현장으로 돌아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담보할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코로나19라는 미증유 현실 앞에 의료계가 헌신한 것을 기억하며, 온 국민이 감사의 마음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안다. 따라서 의료계는 이러한 국민을 실망시키지 말고 초심의 마음으로 돌아가 의료현장을 지킬 것을 바란다.

둘째, 정부는 의료계와 끝까지 대화의 끈을 놓지 말고, 설득과 협상을 통하여 지금의 어려운 상황을 지혜롭게 해결하기를 촉구한다. 정부의 의지는 존중하지만, 의료계에 대해 대화보다는 법의 이름으로 해결할 때 일어나는 부작용을 심각하게 헤아리기를 바란다.

주지하다시피 의대 정원 문제는 역대 정부마다 논의한 것으로 의료계 집단 반발로 미루어져 왔을 뿐, 언젠가는 시행해야 할 국가적 중대 사안이었다. 또 코로나19와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 문제 등 정부와 의료계가 협력해 공공의료 확대 및 체계 구축 등 산적한 일이 많다.

이러한 과제 앞에서 정부와 의료계가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는 모습을 온 국민이 기대하고 있음을 의료계는 인지해야 한다. 이러한 국민 기대를 저버리지 않기를 바라는 바이다.

다시 한 번 의료계가 의대정원 확대 및 의료체계 변화를 기대하는 국민 뜻에 부응하기를 바라며, 총회는 이 일이 해결될 때까지 깊은 관심을 가지고 기도하며 강력히 촉구하는 바이다.

2024년 2월 27일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장 김의식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