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바로알기> 새 예루살렘 성은 장소인가 사람인가?

|  

한국동남성경연구원

‘새 예루살렘 성’은 요한계시록의 구원론적 비전의 완성 혹은 정점 부분을 차지한다. 그렇다면 새 하늘과 새 땅 그리고 새 예루살렘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이것을 장소적으로 이해해야 하
는가(참고. 찬송가 541장; 사 65-66), 아니면 인격적으로 이해해야 하는가?

신천신지는 장소적으로, 새 예루살렘성은 예수님의 신부 즉 인격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계 21:1절 ‘새롭다’는 형용사는 시간적(neos)인 의미라기보다는 질적인 것(kainos)이다. 미래론자들과 세대주의 자들은 문자적으로 이해하여 문자적인 천년왕국 이후 혹은 재림 이후의 변화된 신천신지 (新天新地)로 본다.

비문자적-상징적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은 새 하늘과 새 땅을 옛 언약이 지나간 후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누리는 새로운 피조물 됨으로 해석한다 (고후 5:17). 실제로 지상 교회는 이 영광스런 미래의 세계를 이미 이 땅에서 맛보고 있다. 신천지와 그 안에 사는 새예루살렘 성을 묘사하는 계 21-22장 전체는 상징으로 해석되어야지 미래 천국의 장소에 관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것으로 볼 수 없다.

그렇다면 21:1절의 “바다도 다시 있지 않더라”는 구절에서 ‘바다’는 무엇인가? 신화적인 의미로 혼돈(chaos)을 상징하는 것인가? 바다가 사라져 버리는 것은 21:4절에서 밝히듯이 하나님의 백성이 옛 질서 속에서 종속될 수밖에 없었던 죽음, 슬픔 그리고 고통이 없어지는 것에 상응한다.

따라서 바다는 단순히 신화적 혹은 우주적 의미의 혼돈이라기보다는 하나님의 백성이 옛 질서 속에서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의 전체적인 영역을 가리키는 듯하다. 바다의 사라짐은 새 하늘과 새 땅으로 대변되는 새 창조를 위한 전제조건과도 같다. 바다가 없어진다는 표현과 유사한 것이 Sib. Or. 5:447-448; 모세의 승천기 10:6; 레위의 유언 4:1, 엘리야 묵시5:9, 14 등 정경 외적인 묵시문학에 등장한다. 이 모든 구절에서 바다가 없어지는 것은 사악한 사람들을 심판하여 새 창조를 이루는 선결조건으로 언급된다.

예수님은 신천지에 사는 새 예루살렘 성인 교회의 눈물을 씻으신다. 죽음, 슬픔, 우는 것과 고통이 더 이상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지복의 상태는 여기서는 선취되어 맛 볼 뿐이며, 최종 파루시아 이후에 완전히 이루어질 것이다.

/한국동남성경연구원 (원장 황창기 박사, www.kosebi.org)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