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호흡기 제거 後 두 달, 그리고 김대중 前 대통령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지난해 말부터 온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존엄사’ 논쟁은 정작 당사자인 김모 씨의 호흡기를 뗀 후 조용해지고 있다. 호흡기를 떼고도 두 달여 지난 지금까지 거친 숨을 몰아쉬는 김 씨를 보면서 ‘생명’이라는 존재 앞에 모두들 새삼 숙연해진 탓일까.

김 씨가 가족들과 함께 ‘숨쉬고’ 있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는 두 달여 만에 다시 기자들의 출입이 잦아졌다. 한국 최초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했고, 민주화를 위해 오랜 기간 헌신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입원해 있기 때문이다. 김 전 대통령이 한때 위독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정치계 인사들이 김 전 대통령의 쾌유를 바라면서 병원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경쟁자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까지 병실을 찾아 화해를 선언해 국민들 가슴을 모처럼 훈훈하게 했다.

존엄사 논란이 한창이던 지난해 말 세브란스병원 조재국 원목실장은 이런 말을 했다. “2007년 NCCK 전 총무인 故 김동완 목사님이 거의 뇌사상태로 병원에 오셨는데, 의학적으로는 소생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가족들은 ‘결단’을 내리지 않았고, 그 사이 많은 사람들이 ‘살아있는’ 목사님을 찾아와 함께 기도하고 생명이 붙어있던 그 자체를 기뻐했다.” 비록 대화를 나눌 수조차 없는 상태였지만, 사람들은 김 목사를 마지막으로나마 실제 만났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김 목사는 한 달여 뒤 자연사했다.

만에 하나, 김 전 대통령이 고비를 넘기지 못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지금과 같이 정치권에서 화해와 감동을 주는 일은 일어나지도 못했을 것이다. 빈소에서의 통곡은 ‘뒤늦은 후회’일 뿐이기 때문이다. 만약 김 전 대통령이 평소에 김 할머니처럼 간접적으로나마 존엄사 의지를 표현했다면? 설사 그렇다 하더라도 가족들이 반대하고, 그리고 국민들이 반대하니 호흡기를 떼는 일은 결코 없었을 것이다. 이는 절대 김 씨 가족을 폄하하려는 의도에서 하는 말이 아니다. 결국, 문제는 ‘남은 자들’에게 달려있을 수 있다는 말이다.

직업에 귀천이 없듯, 생명에도 ‘당연히’ 귀천이 없다. 이런 일련의 사건들을 바라보면서, 우리의 존엄사 논쟁이 순수하지 못했음을 깨닫게 된다. 그 무엇보다 존엄한 생명의 문제를 지나치게 사회경제적인 시각에서, 또는 한쪽 말만 듣고 편향된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았나 하는 것이다(존엄사 논쟁 당시 이상하게도 보-혁 구분도 없이 거의 모든 언론매체들이 일제히 찬성표를 던지는 듯 했다). 아니면 의학 기술을 과신한 나머지 바벨탑을 세우듯 우리 자신이 ‘생명’이라는 신(神)의 영역까지 치고 들어가려는 것은 아닌가.

생명을 대하는 우리 사회의 태도가 보다 성숙하기를 바라며, 아울러 김 전 대통령과 김씨 모두 곧 자리를 툭툭 털고 일어나길 기도한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전국원로목사연합회(회장 김산복 목사)가 3월 31일 오전 감리교 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감리교 내 친동성애적·좌파적 기류에 대해 심각히 우려하며 시정을 촉구했다.

감리교 원로목사들, 교단 내 친동성애적·좌파적 기류 규탄

총회서 퀴어신학 이단 규정한 것 지켜야 요구 관철 안 되면, 감신대 지원 끊어야 좌파세력 준동 광풍 단호히 물리칠 것 기독교대한감리회 전국원로목사연합회(회장 김산복 목사)가 3월 31일 오전 감리교 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감리교 내 친동성애적·좌파…

꾸란 라마단 이슬람 교도 이슬람 종교 알라

꾸란, 알라로부터 내려온 계시의 책인가?

이슬람 주장에 맞는 꾸란이 없고, 꾸란 주장 맞는 역사적 증거 없어 3단계: 꾸란은 어떤 책인가요? 이슬람의 주장: 꾸란은 알라의 말씀입니다. 114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꾸란은 하늘에 있는 창조되지 않은 영원하신 알라의 말씀이 서판에 있는 그대로 무함마드…

한교봉, 산불 피해 이웃 위한 긴급 구호 활동 시작

한교봉, 산불 피해 이웃 위한 긴급 구호 활동 시작

한국교회봉사단(이하 한교봉)이 대규모 산불 피해를 입은 영남 지역을 대상으로 1차 긴급 구호 활동에 나섰다. 한교봉은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교회와 성도 가정을 직접 방문하며, 무너진 교회와 사택, 비닐하우스와 농기구 등으로 폐허가 된 현장을 점검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