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선협 ‘제3회 공직선교 세미나’ 교회 이미지 개선 방안 모색
작년 종교편향 논란 이후 한국 기독교는 자성의 목소리를 높이는 동시에 타종교와의 공존, 교회 이미지 개선 등을 위한 논의를 지속해 왔다. 19일 서울지방경찰청교회에서 열린 제3회 공직선교 세미나는 종교편향 논란이 불거졌던 공직사회를 대상으로 선교 활동을 펼쳐 온 한국기독교공직선교단체협의회(이하 공선협)가 종교 간 소통과 교회 이미지 제고 방안 등을 모색한 점에서 의미 있는 자리였다. 이날 세미나에 참가한 공선협 소속 목회자들은 열린 마음과 섬김의 방법으로 타종교와 소통하고 한국교회의 도덕성과 사회봉사의 실천성을 높여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공선협 총무 배성산 목사는 ‘종교편향과 화해’를 주제로 한 이날 강의에서 “한국사회의 종교편향 문제를 알려면 먼저 종교적 배타성 문제를 이해하고 오늘날 한국사회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며 21세기 다원주의 사회에서 한국교회가 실천해야 할 종교 간 소통의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모든 종교는 구원과 진리에 대해 독점적 주장을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타종교에 대해 배타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며 “종교적 배타성을 조장하는 ‘종교적 특수주의’는 우월주의와 결합해 배타성을 강화시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타종교에 대해 지나치게 배타적인 한국교회의 정서를 지적하며 “다원주의 사회에서 여전히 일원적 사고 방식과 언어로 기독교에 대해 설명하려는 것과 지나친 경쟁의식에 의한 성공주의 집착, 서구 신학의 답습에 의한 문화적 제국주의 성향,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뜨거운 반지성적 신앙 강조 등이 한국교회의 종교적 배타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
배 목사는 또 다원주의, 다원종교 사회에서 기독교는 모든 사람과 화해하고 평화롭게 지내는 하나님 나라의 윤리를 기초로 타종교와의 갈등을 소통으로 전환시켜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타종교와의 소통의 원리는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고 했다. “예수님은 유대교 지도자들이 배척하던 세리, 창기, 불치병 환자 등을 열린 마음을 가지고 존중했고 삶의 현장에서 지배나 군림이 아닌 섬김으로 소통하셨다”며 “한국교회도 타종교인을 하나님의 사랑의 자녀로 믿고 사랑으로 교제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장로회신학대학교 노영상 교수는 ‘한국교회의 이미지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를 주제로 한 강의에서 “한국교회의 정체성을 고수하면서도 이미지를 개선하려면 무엇보다 교회의 본질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교회의 잘못된 사고와 행동, 교회 밖 사람들의 미움 등으로 형성된 광신도 이미지, 십자군 이미지, 반지성주의 이미지 등 교회의 부정적 이미지들을 소개하며 실추된 교회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해 △목회자와 교인의 도덕성 및 사회적 책임성 제고 △종교적 포용성 강화 △지적 수준의 고양 등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그는 “한국 기독교는 기독교의 고유한 영성을 강조하면서도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세상에 열려있는 이미지를 창출해야 한다”며 “지금의 위기를 타개하려면 예수 그리스도의 핵심 이미지인 십자가의 이미지, 곧 깊은 영성의 ‘구도자 이미지’와 강한 도덕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봉사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관건”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그는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교회와 교인의 역량을 강화하려면 예배 회복과 교회의 5중직(증언, 봉사, 교육, 찬양, 교제)을 충실하게 수행하는 등 기본적인 일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나님에 대한 진정한 예배만이 한국교회의 실추된 이미지를 제고하는 원천이 될 것이며 주님의 사랑과 능력, 성령의 지혜만이 오늘의 개신교 문제를 극복하게 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공선협 대표회장 김호윤 목사는 “모든 것을 종교차별로 연관지어 종교편향으로 몰고 가는 어려운 시점에서 공선협의 역할은 너무도 중요하다”며 “정확한 시대 인식과 지식으로 무장하고 영적으로 깨어 공직자 선교의 비전을 이룰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공선협은 서울예비군연합회, 서울경찰교경협의회, 서울지방경찰청 경목회, 서울특별시 교회와시청협의회 등이 중심이 되어 작년 3월 창립됐으며 기독 공직자들의 신앙훈련과 봉사활동 등을 지원하는 일에 힘써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