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6일 새벽 아무런 사전 통보 없이 황감댐에서 4,000만 톤의 물을 방류, 임진강 기슭에서 야영하던 주민 6명이 갑자기 불어난 물에 명을 달리하는 비극이 일어났다. 명확한 물증은 없으나 많은 전문가들이 고의성이 짙은 상황이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북한 당국이 우리 정부의 해명과 사과 요청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공식적인 사과를 하지 않은 채 “임진강 상류 북측 언제(둑)의 수위가 높아져 긴급히 방류하게 됐다”는 석연치 않은 답변만 보내왔다는 것이다. 생명에 대한 북한 당국의 너무나도 안일하고 가벼운 태도에 질려버릴 정도다. 그야말로 적반하장이 따로 없다.
이번 사태가 고의이고 아니고를 떠나, 결과적으로 가해자 입장이 된 북한 당국은 6명이나 되는 민간인의 무고한 희생에 대해 사과하고 애도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명만으로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은, ‘같은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간 온갖 냉대와 무시에도 불구하고 ‘햇볕’이라는 이름으로 감싸려 했던 우리 국민들에 대한 기만으로까지 비친다. 언제나 아쉬운 상황이 되어서야, 그것도 고압적인 자세로 우리 정부를 상대하려 했던 북한 정권이 아닌가.
북한 당국은 이제라도 이 고귀한 생명들이 어처구니 없이 희생된 이 비극 앞에 겸허한 마음으로 사과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북한 내에 지금도 자행되고 있는 수없는 인권 탄압 등 생명 경시 행태를 당장 중단해야 할 것이다.
일부 친북좌파들도 북한에 대해서만큼은 늘상 옹호하기 급급했던, 인권에 대한 이중적 태도를 빨리 벗어던져야 할 것이다. 특히 모 좌파 단체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정부는 임진강 사고를 빌미로 한 대북모략극 집어치워라”는 제하의 논평을 통해 ‘이번 일은 사고일 뿐’이라며 북한을 일방적으로 두둔하고 나섰다. 몇 해 전 두 여중생이 미군의 장갑차에 사고로 희생됐을 당시 보였던 극단적 대응과 비교하면 더욱 그 이중성이 두드러진다. 결국 생명 혹은 인권을 이야기하지만, 오직 친북반미 이데올로기만을 앞세우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정부와 한국교회도 대북관계에 있어 더욱 신중을 기하고 멀리 앞을 내다봐야 한다. 물론 인도적 지원은 어떤 경우가 있더라도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햇볕정책’과 같은 무조건적 일방적 퍼주기가 아니라 북한의 상황을 개선해나갈 수 있는 방책을 끊임없이 고민해야 할 것이다. 우리 민족의 지상과제인 남북통일은 상식과 민주주의 인권 존중, 그리고 무엇보다 신앙의 터 위에서 세워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