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결혼 합법화의 나비효과? “소아성애도 정상” 논란

LA=김준형 기자  newspaper@chtoday.co.kr   |  

하나의 성적 경향으로 인정하려는 움직임

캐나다에 드디어 올 것이 왔다. 미국의 미래도 보인다. 2005년 국가 차원에서 동성결혼을 합법화하고 동성결혼 부부에게도 이성결혼 부부와 동일한 법적 지위를 허락했던 캐나다에서, 이제 ‘소아성애’도 하나의 성적 경향으로 인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미국의 보수언론인 러시 림보는 지난 월요일 자신이 진행하는 라디오 프로그램 “러시 림보 쇼”에서 “캐나다에서 소아성애를 정상적인 성적 경향으로 규정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가디언지의 기자인 존 헨리가 쓴 기사 “Paedophilia: Bringing Dark Desires to Light(소아성애, 어둠의 욕망을 빛으로)”라는 기사를 인용했다. 이 기사에서 헨리 기자는 “소아성애를 이성애나 동성애와 같은 일종의 성적 경향으로 분류하려는 생각이 사람들에게 확연히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림보는 “2011년 7월호 하버드정신건강회보에 소아성애는 성적 경향의 일종이며 따라서 변화가 어렵다고 돼 있다”고 언급했다.

림보는 “이런 논쟁은 마치 동성애를 정상으로 보는 것처럼 소아성애도 정상으로 보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의 발언에 대해 동성애 지지자들은 “너무도 충격적이며 터무니 없다”고 비난했다.

이런 식의 접근법에 동성애자들이 극렬히 반대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간단하다. 동성애자들은 동성애 합법화를 외칠 때, “동성애는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다. 따라서 치료 혹은 변화될 수 없는 고유한 성적 경향이며 인권의 문제”라는 논리를 구사해 왔는데, 만약 하버드정신건강회보에 나온 연구대로라면 소아성애자들도 “소아성애는 선천적으로 타고 난, 치료 및 변화되어선 안 되는 성적 경향이자 인권”이라고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점이라면, 동성애는 성인 간에 이뤄지는 결합이라면 소아성애는 성인이 강제적 혹은 불법적으로 어린이에게 하는 행위이기에 범죄로 규정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안심하긴 이르다. 3-40년 전만 해도 죄악시되던 동성애가 이제 합법화되었을 뿐 아니라 자연스러워졌다면, 소아성애 역시 소아성애자들의 꾸준한 법적 투쟁과 기부, 로비, 혹은 대규모 소아성애자 퍼레이드만 있다면 얼마든지 자연스러운 것이 될 수 있다. 다만 지금 우리의 상상 속에서 불가능할 뿐이다.

캘리포니아 주의 경우 동성애를 미화하는 교육을 공립학교가 강제하고 있는 형편에서, 30년 뒤쯤이면 소아성애를 미화하는 교육도 합법화되지 말란 보장이 없다. 동성애 지지자들은 “동성애에 관해 가르치는 것은 그 아이를 동성애자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동성애를 향한 정상적인 시각을 갖게 해 주려는 것”이라 말한다. 그들의 말을 빌리자면, 소아성애가 정상이며 아름다운 것이라고 배운 어린이가, 소아성애자가 되진 않을 수는 있지만 그 피해자가 된다면 그 책임은 누가 져야 할까?

“동성애자들을 미워하진 않지만 동성애 자체는 하나님의 긍휼히 여기심으로 말미암아 용서받고 절연되어야 할 심각한 죄이며 반드시 다른 종류의 성적 타락을 가져 올 것”이라 말한 한 목회자의 발언이 더 설득력 있지 않은가?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