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시대 '이중언어 전문가' 양성하는 김천대 영어학과, 원서접수 시작

송경호 기자  7twins@naver.com   |  

세계화 시대, 영어를 배우고 익히고자 하는 이들이 많아지며 영어 관련 학과의 인기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4년제 대학 대부분은 영어학과 또는 영문학과를 갖추고 있으며, 최근 전문대학이나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실용영어학과가 개설돼 영어를 접할 길도 늘고 있다.

그런데 길이 많아진 만큼 학생들의 고민도 깊다. 국내의 수많은 영어학과 중, 취업을 도우면서도 내실을 쌓을 수 있는 곳을 고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탄탄한 영어학과, 어느 곳을 선택해야 좋을까?

이에 김천대학교 영어학과가 단연 돋보이는 커리큘럼으로 세간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중언어전문가(bilingual expert) 양성 프로그램으로 세계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김천대는 1979년 개설돼 2010년 4년제 종합대학교로 승격한 이후 현재까지 대구•경북 지역 대표 대학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영어학과 전공과목은 크게 영어 교육(TESOL) 및 통•번역 관련 과목으로 구성된다. 1학년부터 4학년까지 수준별로 진행되는 ▲외국인 영어회화 수업(Speech Communication) ▲미디어 청취(Media Listening) ▲프레젠테이션영어(Presentation English) ▲토론영어(Argument and Negotiation) ▲교실영어(The English Language Classroom) ▲통역연습(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등 실용성에 초점을 둔 커리큘럼이 학생들의 호응을 이끌고 있다.

재학생들은 외교통상부 주관 외국인 보조교사 장학생 제도인 Teach and Learn in Korea (TaLK)나 2012년부터 지원된 빌보드코리아(Billboard Korea)와의 산학협력 활동 등을 통해 영문 기사 번역 활동을 할 수 있다.

해외 K-POP 공연 통역 업무와 빌보드코리아 서울 본사에서 행정 인턴십의 기회도 가질 수 있는데, 실제로 영어학과의 많은 인원이 에미넴, 제이슨 므라즈, 사라브라이트만, 저스틴 비버 등 여러 유명 아티스트들의 내한공연에서 동시통역업무를 진행해온 바 있다.

영어학과 관계자는 “본교 영어학과는 우수한 커리큘럼과 실속 있는 인턴십 제도로 역량 있는 국제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며 “28명의 외국인 교수와 멘토링 프로그램(International Professor Guidance Program)이 생활화 돼 있고, 음성 인식 읽기 시스템을 도입해 영어 발음 교정을 돕는 등 멀티미디어 학습 체계까지 구축돼 있어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라고 전했다.

한편 김천대학교(www.gimcheon.ac.kr) 영어학과는 15일(금)까지 수시 2차 수강생을 모집한다. 원서 접수는 인터넷으로만 가능하다.

문의) 영어학과 학과사무실(054-420-4175)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