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과 기독교 신앙’,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김은애 기자  eakim@chtoday.co.kr   |  

25일 큰나무교회서 제3회 기독교변증 컨퍼런스 개최

▲큰나무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큰나무교회
▲큰나무교회 관계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큰나무교회

현대 기독 지성인을 향한 강력한 도전 중 하나는 ‘과학과 기독교 신앙’의 문제이다. 무신론적 진화론에 근거한 현대 과학은 기독교 신앙을 위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은 ‘위대한 설계’에서 “신이 우주를 창조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과학적 도전은 기독교 신앙을 뿌리채 흔드는 것처럼 느껴진다.

‘과학과 기독교 신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시하고자 마련된 ‘제3회 기독교변증 컨퍼런스’가 오는 25일 오전 10시부터 ‘우주의 시작 : 우연인가? 하나님인가?’라는 주제로 큰나무교회와 변증전도연구소 주최로 큰나무교회에서 진행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우주의 기원에 대한 현대과학 이론들과 철학적 문제들을 살펴봄으로써, 과학의 한계와 하나님 존재의 확실성에 관해 지성적 설득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날 강의는 ▲과학과 기독교 신앙 ▲과학자가 본 우주의 기원, 빅뱅: 빅뱅 우주론과 과학의 한계 ▲우주의 시작과 하나님 존재 증거 ▲우주, 하나님, 그리고 창조 신앙: 창조 신앙 변증의 실제적 적용 등 4가지의 주제로 진행된다.

먼저 ‘과학과 기독교 신앙’을 주제로 강의를 펼치는 황윤관 목사(미주KOSTA 강사)는 과학과 기독교 신앙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이며 개괄적인 이해의 틀을 제시하고, 기독교 유신론의 입장에서 과학이 밝혀낸 사실들을 어떻게 해석하며 다뤄야 할지를 소개한다. 특히 기독 지성인들이 가져야 할 올바른 과학적 인식의 토대를 제시함으로써,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강의한다.

‘과학자가 본 우주의 기원, 빅뱅’을 강의하는 우종학 교수(서울대학교)는 우주 팽창과 우주배경 복사 등 빅뱅우주론의 내용과 증거들을 살펴보며, 과학으로서의 빅뱅우주론을 다룬 뒤 경험적 데이터에 기초한 과학의 한계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코페르니쿠스의 원리나 인류법칙 등 과학이 던지는 형이상학적인 메시지를 통해 신학과 대화할 수 있는 접점을 살펴보고, 보다 포괄적이고 열린 창조신학의 가능성을 다룬다.

박명룡 목사(큰나무교회)의 ‘우주의 시작과 하나님 존재 증거’ 강의는 하나님 존재에 대한 우주론적 증거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우주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이고 철학적인 증거들을 살펴봄으로써, 우주는 우연히 시작된 것이 아니라 하나님에 의해서 창조되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추론임을 밝히는 강의를 진행한다. 우주의 기원에 대한 철학· 과학적인 논쟁들을 살펴봄으로써, 하나님의 존재하심을 믿을 수 있는 지성적인 근거들에 대해서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돕는다.

‘우주, 하나님, 그리고 창조 신앙’을 강의하는 안환균 목사(변증전도연구소)는 ‘하나님은 말씀이시라’(요 1:1)는 구절을 기초로 말씀 창조의 원리와 법칙을 제시한다. 또 성경 창조 기사의 특성을 다른 창조신화들과 비교해 보면서 성경의 창조 기사가 왜 믿을 만한지를 살펴보며, ‘하나님은 사랑이시라’(요일 4:8)는 말씀을 중심으로 창조질서 자체에 기독교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독특성이 어떻게 내재돼 있는가를 변증할 예정이다.

주최 측은 “본 컨퍼런스를 통해 지성적인 이유로 기독교 신앙을 거부하는 사람들에게 기독교 신앙의 합리성을 보여줌으로써 기독교 신앙에 입문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참가비는 무료.

문의: 큰나무교회 2665-1132, 변증전도연구소 784-0559
큰나무교회 홈페이지: www.bigtree.or.kr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바이어하우스학회

“북한 열리면, 거점별 ‘센터 처치’ 30곳부터 세우자”

지하 성도들 단계적 준비시켜 각 지역별 사역 감당하게 해야 과거 조선족 교회 교훈 기억을 자치·자전·자립 네비우스 정책 주신 각 은사와 달란트 활용해 의료와 복지 등으로 회복 도모 제10회 바이어하우스학회(회장 이동주 교수) 학술 심포지엄이 4월 11일 …

이세종 심방

“심방, 우리 약점 극복하게 하는 ‘사역의 지름길’”

“열 번의 단체 공지보다 한 번의 개인 카톡이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문자보다 한 번의 전화가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전화보다 한 번의 심방이 더 효과적이다.” ‘365일 심방하는 목사’ 이세종 목사의 지론이다. 저자가 시무했던 울산교회 고등부는 심방을 …

대한성서공회

지난해 전 세계 74개 언어로 성경 첫 번역돼

성경전서는 총 769개 언어 번역 아직 전체 48% 언어 번역 안 돼 새 번역된 74개 언어 중 16개는 성경전서, 16개 신약, 42개 단편 2024년 말 기준 세계 성서 번역 현황이 발표됐다. 전 세계 총 7,398개 언어 중 성경전서는 769개 언어로 번역됐고, 지난 1년간 74개 언어로 처…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