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자본주의 경제 문제와 기독교적 응답

|  

[송광택의 북리뷰] 신앙과 경제 정의의 접점을 찾아서

기독교 경제윤리론
강원돈 | 동연 | 1,232쪽 | 70,000원

1. 들어가며

경제는 우리 삶의 중심에 놓여 있다. 우리가 무엇을 먹고 마시며, 어디서 살고 어떻게 일할 것인지 모두 경제적 선택과 연결된다.

그러나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는 점점 비인격화되고, 인간의 삶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이윤 추구의 도구로 변질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속에서 기독교는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강원돈 교수의 『기독교 경제윤리론』은 바로 이러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 책은 경제 문제를 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기독교적 가치에 기반한 경제 윤리를 정립하는 데 주력한다. 본 리뷰에서는 책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짚어보고자 한다.

2. 기독교 경제윤리란 무엇인가?

저자는 기독교 경제윤리를 신앙과 경제 현실을 연결하는 학문적 작업으로 정의한다.

그는 기독교 신앙이 단순한 개인의 도덕적 규범을 넘어 사회·경제적 질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에서 성서적 가치, 교회의 전통, 현대 경제 이론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그는 경제윤리가 단순한 이론적 논의에 그쳐서는 안 되며, 현실 경제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즉 기독교 경제윤리는 공정한 경제 구조를 구축하고,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며, 정의로운 분배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 성서적 경제 윤리의 기초

저자는 기독교 경제윤리의 토대를 성서에서 찾는다. 그는 구약과 신약을 통해 경제 정의의 원리를 탐색한다.

1) 구약의 경제 윤리

구약에서 경제 윤리는 하나님이 창조한 세계의 질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안식년과 희년 제도는 경제 정의의 핵심 원리로 강조된다.

안식년(신명기 15:1-11): 일정한 기간마다 빚을 탕감하고 노예를 해방하며, 땅을 쉬게 함으로써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제도

희년(레위기 25:8-55): 모든 토지를 원래 소유주에게 돌려줘 부의 집중을 방지하고 경제적 평등을 유지하려는 시스템

이러한 구약의 경제 윤리는 현대 경제 체제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오늘날 과도한 부의 집중과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독교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한다.

2) 신약의 경제 윤리

신약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 경제 윤리의 중심을 이룬다. 예수는 가난한 자, 억눌린 자, 소외된 자들을 위한 경제 정의를 강조하셨다.

하나님 나라와 경제 정의(마 6:24-34): 예수는 재물을 신격화하지 말고, 하나님의 정의로운 질서를 추구할 것을 강조하셨다.

사도행전의 공동체적 경제(행 2:44-45): 초대교회는 재산을 공동으로 소유하고 필요에 따라 나누는 공동체적 경제 모델을 실천하였다.

강 교수는 이러한 성서적 전통이 오늘날 경제 윤리에도 중요한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함께 떡을 떼는 초대교회 가정 예배 모습.

▲함께 떡을 떼는 초대교회 가정 예배 모습.

4. 현대 경제 문제와 기독교적 응답

책 후반부에서는 현대 경제 체제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고, 기독교 경제윤리가 이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를 다룬다.

1) 자본주의의 문제점

강원돈 교수는 현대 자본주의가 지나친 이윤 극대화와 경제적 불평등을 조장한다고 비판한다.

특히 금융 자본주의는 실물 경제보다 금융 이익을 우선시해 노동자와 서민들의 삶을 더욱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분석한다.

노동 착취와 빈곤 문제: 저임금 노동, 비정규직 증가, 실업 문제 등이 심화되면서 경제적 약자들이 더욱 소외되는 현실

환경 파괴: 무분별한 자본 축적 과정에서 자연이 희생되고, 기후 위기와 생태계 파괴가 가속화됨

이에 대해 기독교 경제윤리는 공공선(common good)을 지향하는 경제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개인의 이익보다 공동체 전체의 번영을 우선하는 경제 모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 대안적 경제 모델

강원돈 교수는 현재 자본주의 체제에 대한 대안으로 몇 가지 경제 모델을 제시한다.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공정무역, 사회적 기업 등 연대와 협력을 기반으로 한 경제 모델

기본소득과 부의 재분배: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경제 정책으로 기본소득 제도를 제안하며, 조세 정의를 통해 부의 공정한 재분배를 촉진해야 한다고 주장

생태 경제: 환경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경제 모델을 도입하여 생태계와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경제 체제를 전환해야 한다는 견해

저자는 이러한 경제 모델이 단순한 이상론이 아니라, 실제로 실현 가능한 대안임을 강조한다.

5. 맺으며: 신앙과 경제의 통합적 실천

강원돈의 『기독교 경제윤리론』은 신앙과 경제 문제를 분리된 영역으로 보지 않고, 기독교적 가치가 경제 체제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는 신앙이 단순한 개인의 영적 문제를 넘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방향으로 확장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이 책은 현대 경제 시스템이 인간 중심성을 회복하고, 경제 정의와 공공선을 실현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다.

기독교 경제윤리는 단순한 이론적 논의가 아니라, 실제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실천적 윤리이다. 따라서 교회와 기독교인은 경제 정의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하며, 이를 통해 신앙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결국 『기독교 경제윤리론』은 신앙과 경제를 통합적으로 사고하고, 정의로운 경제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기독교적 역할을 고민하게 하는 중요한 저서이다. 경제 정의와 사회적 책임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반드시 읽어볼 가치가 있는 책이다.

송광택 목사
한국교회독서문화연구회 대표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