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서버는 외국해커 '놀이터'
국내 서버가 해외 해커들에게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최근 국내에서 일어난 해킹사건을 추적하던 중 해외 해커들의 공격루트를 발견, 수사한 결과 지난해 8월부터 지금까지 국내의 4300여 서버시스템이 이 공격루트를 경유지로 사용한 20여명의 해커들에 의해 해킹을 당한 것으로 드러나 추적중이라고 25일 발표했다.
이같은 수치는 단일 사건으로는 해커수사상 최대 규모로 한국의 정보통신환경이 고도화됐지만 보안상황은 허술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에 따르면 이들 해커로부터 침입을 당한 국내 시스템은 공공기관 168건을 비롯해 국내 최대 규모의 A인터넷업체서 관리하는 메일서버와 접속상황DB서버, 정보인프라 구축 관련 정부출연 B연구기관의 개발서버 등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해킹방지 전문업체인 정보보안업체 6곳도 해외의 해커들로부터 해킹을 당했으며 심지어 국내 최고등급의 방화벽이 설치된 C구청 보안관리시스템도 해킹을 당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더해주고 있다.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지난해 4월경 모 정부기관 홈페이지를 해킹한 해커를 6개월여 동안 추적하는 과정에서 해커가 미국 미시간주에 소재한 W사에서 운영하는 서버시스템을 통해 공격을 시작한 사실을 포착, 분석하던 중 이 회사의 시스템을 통해 다수의 해커들이 국내외 인터넷서버를 무차별적으로 해킹한 사실을 발견했다.
이에 따라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올초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한 결과 지난해 8월부터 지난 3월까지 루마니아·호주·브라질·독일·러시아 등지에서 22명의 해커들이 총 1만1222건의 해킹을 가했으며 그중 우리나라로 명확히 해킹 피해지가 확인된 곳은 2497건으로 전체 피해지를 확인할 수 있는 6387건의 39%나 됐다. 같은 비율로 1만1222건을 추산해보면 우리나라는 이 기간동안 약 4300건의 해킹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된다.
피해기관별로는 교육기관이 960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기업 788건, 공공기관 168건, 연구기관 19건 등이었으며 확인되지 않은 것도 무려 501건이나 됐다.
무선콘텐츠업계 저작권 '이중고'
무선인터넷콘텐츠업계가 음악 및 영상 저작권 문제로 속을 태우고 있다.
무선인터넷콘텐츠제작업체(CP)들은 최근 40화음 벨소리와 동영상 서비스 등 콘텐츠서비스가 고급화됨에 따라 그동안 작곡가에게만 해당됐던 저작권사용료 지불 문제가 가수 및 연주자 등 실연자로 확산됨에 따라 콘텐츠 제작원가 상승을 우려하고 있다.
또 저작권료 지불문제를 상담하기 위한 관련 저작권단체가 음악저작권협회, 음원제작자협회, 실연자단체연합회 등으로 분산돼 있어 협상타결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이들 업계는 대부분 영세한데다 저작권에 대한 충분한 사전지식 및 정보가 태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작곡가 저작권료 협상단체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이어 가수 및 연주자 저작신탁단체인 한국예술실연자단체 연합회도 새로운 협상을 벌여야할 상황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저작권료 부담이 불가피하게 됐다.
벨소리 서비스를 예로 들면 작곡가에 대한 저작권료로 지불하는 비용이 보통 원가의 8% 수준인데 실연권까지 보장하려면 저작권료가 많게는 원가의 30%까지 차지할 수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AMD-MS, 64비트 해머 기반 윈도 개발 제휴
서버 및 기업 고객 시장 탈환을 부단히 노려오던 AMD가 마침내 천군만마를 얻게 됐다.
전세계 운용체계(OS)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로부터 64비트 프로세서인 ‘해머(코드명)’에 대한 지원 약속을 받아낸 것.
C넷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AMD는 MS와 해머 칩에 기반을 둔 64비트 윈도를 내놓는 것을 골자로 한 제휴를 맺었다. 그동안 MS는 수세를 비롯한 리눅스 업체들이 해머 지원 계획을 밝혔고 이미 각종 OS와 애플리케이션의 이식 작업이 이뤄지기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해머에 대한 어떠한 지원 계획도 내놓지 않았었다.
이와 관련, 컨설팅업체 인사이트의 애널리스트 나단 브룩우드는 “이번 거래로 MS가 (해머에 대한) 지원 사실을 공개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했다.
그러나 AMD가 서버 및 기업고객 시장의 윈텔(윈도+인텔)이라는 장벽을 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난제가 많이 남아 있다.
자료제공:전자신문/www.etimes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