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총회13] 실시는 하되 신중히 연구한 뒤로 연기
합동총회가 21일 오후 5시경부터 ‘대회제’ 도입을 놓고 장시간 격론을 벌였으나 결국 시기상조라는 의견이 많아 “실시는 하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먼저 신중한 연구를 하기로” 결의했다.
지난해 구 개혁측과의 교단 합동으로 1만 교회를 돌파, 국내 최대 교단으로 거듭난 합동은 급격히 커진 교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년간 ‘대회제’를 연구해 왔다.
대회제는 예장 합동이 구 개혁과 통합하면서 도입 추진을 시작한 새로운 교단 체제로, 교단을 서울대회(서울과 한강이북 경기지역권), 중부대회(한강 이남 경기, 인천, 강원, 대전, 충청지역권), 영남대회(경상남북도, 대구, 부산 지역권), 호남대회(전라남북도, 광주, 제주권), 서북대회(무지역 -통일 이후 이북지역의 신속한 교회 설립을 위해 조직 필요) 등 5개 지역으로 구분해 편성하는 것이다. 합동은 이를 위해 대회제연구위원회를 구성, ‘교회-노회-총회’가 아닌 ‘교회-노회-대회’로 이어지는 체제 구축을 연구해 왔다.
대회제연구위의 보고에 따르면 대회는 대회장 1인과 부대회장 목사 1인 장로 1인 등 2인, 서기, 부서기, 회록서기, 부회록서기, 회계, 부회계를 임원으로 두며 매년 회의를 갖는 등 총회에 준하는 규모를 갖추고 있다.
연구위측은 “총회가 지난해 개혁측과 합동했기에 교회수와 규모가 방대해진 데다가 완전한 민주 행정을 위해서도 대회제가 필요하다”며 “대회제가 실시되면 총회가 ‘최종 결의기관’으로서의 권위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위측에 따르면 대회제가 실시되면 개인이나 작은 집단의 사소한 분쟁 등은 총회가 아닌 대회 선에서 처리할 수 있어 지방 분권 시대에 걸맞는 행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전국 교회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연구위측은 이를 통해 규모가 커진 총회를 운영해나가는 데 크게 유익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많은 총대들은 100여년 동안 익숙해진 현 총회 체제를 갑작스레 변경하는 데에 거부감을 나타냈다. 특히 각 대회가 자신의 지역에 있는 신학교의 이권을 내세우게 되면 교단신학교인 총신대가 약화될 수 있다는 점과, 대회 내 갈등으로 일부 노회들이 분립해 군소 대회가 난립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대회를 별도로 개최함으로 인해 경비가 소모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이를 반대했다.
그러나 장차남 총회장과 연구위 등은 “대회제 도입은 지난해 개혁측과의 합동 당시 약속한 사항”이라며 “아직 헌법적 요건 및 행정 실시 요건을 충분히 갖추지 못했으므로 준비를 잘 갖춘 뒤에 도입하자”고 제안, 총대들의 결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