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 5] 최대 쟁점 ‘대회제 시행’ 결국 유보

박종배 기자  jbpark@chtoday.co.kr   |  

대회제 시행 유보측 “정체성 잃고 교단 분열 가능성”

예장합동 제92회 총회 최대 관심사였던 대회제 시행이 또 다시 유보됐다. 12일 오후 진행된 회의에서 대회제 시행을 두고 총대들 간의 찬반 의견이 치열하게 오갔으나 유보 의견이 많아 결국 다음 회기로 연기됐다.

대회제는 지난 예장합동 제90회 총회에서 합동이 구 개혁측과 합쳐지는 조건으로 내놨던 안이었다. 합동은 2년간 이 문제로 진통을 겪어 왔으며, 올해 4개 권역별로 대회제와 관련해 공청회를 여는 등 총대들의 여론을 수렴하기도 했다.

대회제란, 감리교의 연회와 같은 개념인 지방자치제라고 할 수 있다. 대회제가 실시될 경우 총회 직영 학교인 총신대와 인준 학교인 칼빈대, 대신대, 광신대 등을 중심으로 나뉠 가능성이 높다.

대회제를 찬성하는 측은 “구 개혁측과의 교단 합동 조건으로 내건 것이므로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으며, 대회제를 유보 반대하는 측은 “교단의 신학적 정체성이 흔들려 또다시 갈라질 수 있다”며 “교단이 분열되지 않을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추후에 시행해도 된다”는 논리를 폈다.

증경총회장 김정중 목사는 “대회제를 시행하면 총회가 갈라질 것처럼 말하는데 그렇지 않다”며 “대회제를 시행하기로 먼저 결정하고 나중에 후속조치 하자”는 대회제 시행 찬성 의견을 제시했다.

대회제 시행 찬성측의 이판근 목사 또한 “합동할 당시 합의사항인데 약속을 지켜야 하지 않느냐”며 “대회제를 실시한다는 것은 기정사실이다. 먼저 시행하고 그 다음에 연구해도 늦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대회제 시행에 유보적 입장의 이경원 목사는 “지금 우리 교단은 대회제 시행에 따른 행정적 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다”며 “또다시 교단이 분열될 소지가 있다”며 즉각적인 시행을 반대했다.

이 목사는 또 “대회제가 시대적으로 맞다고 하는데 미국은 대회제를 실시하는 교단이 PCUSA밖에 없다”면서 “왜냐하면 대회제의 성과가 없기 때문”이라고 대회제의 당위성을 반박했다.

그는 “대회제가 개혁과 합동의 조건이었다는 것은 나도 알고 있다. 그러나 이 제안을 공회에 내놓고 말한적이 없으며 어느날 갑자기 합동조건이라고 해서 내놓은 것”라고도 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바이어하우스학회

“북한 열리면, 거점별 ‘센터 처치’ 30곳부터 세우자”

지하 성도들 단계적 준비시켜 각 지역별 사역 감당하게 해야 과거 조선족 교회 교훈 기억을 자치·자전·자립 네비우스 정책 주신 각 은사와 달란트 활용해 의료와 복지 등으로 회복 도모 제10회 바이어하우스학회(회장 이동주 교수) 학술 심포지엄이 4월 11일 …

이세종 심방

“심방, 우리 약점 극복하게 하는 ‘사역의 지름길’”

“열 번의 단체 공지보다 한 번의 개인 카톡이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문자보다 한 번의 전화가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전화보다 한 번의 심방이 더 효과적이다.” ‘365일 심방하는 목사’ 이세종 목사의 지론이다. 저자가 시무했던 울산교회 고등부는 심방을 …

대한성서공회

지난해 전 세계 74개 언어로 성경 첫 번역돼

성경전서는 총 769개 언어 번역 아직 전체 48% 언어 번역 안 돼 새 번역된 74개 언어 중 16개는 성경전서, 16개 신약, 42개 단편 2024년 말 기준 세계 성서 번역 현황이 발표됐다. 전 세계 총 7,398개 언어 중 성경전서는 769개 언어로 번역됐고, 지난 1년간 74개 언어로 처…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