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식 목사 유해송환운동본부 출범

얼마 전 캐나다 국적의 김재열 선교사가 북한에서 예배를 드렸다는 이유로 북한에 억류된지 85일만에 석방됐다. 불가능할 것만 같았던 김 선교사의 극적인 석방 뒤에는 자국 민족은 아니지만 자국 국민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캐나다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8년 전 북한으로 납치된 김동식 목사는 아직까지 아무런 소식이 없다. 생사여부조차 북한은 밝히지 않고, 아예 사건 자체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이러한 태도의 배경에는 한국 정부의 무대응이 있고, 거기에는 유독 북한인권에 관해서만은 ‘조용한 외교’를 고수하는 한국 정부의 태도가 있다. 중국이 유독 탈북자들만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유가 한국 정부에서 그것을 적극적으로 요구하지 않기 때문인 것처럼, 한국 정부가 김동식 목사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북한은 계속해서 이러한 자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서경석 목사(기독교사회책임 대표)는 “제2, 제3의 김동식 목사가 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의 자국민보호 직무유기는 참으로 통탄할 일이다”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서 목사는 “끝까지 추적하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중국에서 탈북자들을 위해 헌신하는 선교사들의 안위에까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하기도 했다. 김규호 목사(기독교사회책임 사무총장)는 “국정원에서 이미 김동식 목사 납치범을 검거했음에도 이러한 자세를 보이는 것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며 “참여정부가 북한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 사건을 축소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다 못한 인권단체들이 나섰다. 기독교사회책임을 비롯한 한기총 인권위, 북한정의연대, 북한인권국제연대, 대한민국지키기불교도연합, 천주교북한인권과민주화를위한기도회 등 17개 단체가 연합해 ‘김동식 목사 유해송환운동본부’를 조직한 것. 이 단체들은 31일 오후 기독교사회책임 세미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향후 운동방향에 대해 밝혔다.
이들은 이후 대국민 1백만명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새정부의 자국민 보호의지 천명 차원에서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와 김동식 목사의 아내 주양선 선교사(가명)와의 면담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하고, 국회에는 유해송환결의안 채택을 촉구하며, 국제인권단체들과 연대해 북한대사관에 항의서신 보내기운동 전개, 유엔인권위원회에 진정서 제출 등의 활동을 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