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옥박사 기독문학세계] 이론편

|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문학을 보다

기독문학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문학을 보는 것이다. 의미를 명징하게 하기 위하여 기독문학론에서 내가 의미하는 세계관에 대해 부언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세계관이라는 단어 ‘worldview’는 독일어 ‘Weltanschauung’의 번역어로 철학과는 구별되고, 또 신학에서 의미하는 ‘세계-인생관’보다는 단순한 의미다. 그것은 ‘삶에 대한 관점’ 또는 ‘신앙 고백적 비전’을 말하는 것으로 한 사람이 사물들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신념들의 포괄적인 틀을 의미한다.

그러나 비록 세계관이 한 사람이 견지하고 있는 ‘원칙들’과 ‘이상들’을 총체적으로 이르는 말이긴 하지만 오늘날 일반 사회과학에서 말하고 있는 ‘가치체계(system of values)’ 와는 다르다. 가치체계란 상대주의를 함축하는 말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각각 세계, 인간의 삶 일반, 고통의 의미, 사랑과 하나님에 대해 기본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세계관은 개인의 신념 문제다. 신념은 감정이나 의견과는 다르다. 일종의 지식을 주장하는 것, 즉 ‘인식적인 주장’이 신념이다. 그러기에 그 신념을 옹호하기 위해 논증을 할 수 있고, 어떤 희생이라도 감수할 각오를 동반한다. 이런 의미에서 신념은 개인의 확신이며 헌신적인 믿음이고 신조와 같은 것이다. 한 사람의 신념은 경우에 따라 다른 사람과 사회가 받아들여 하나의 유형(pattern)이나 틀(framework)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 때문에 신념을 주장하고자 할 때는 통일성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세계관은 우리의 삶 가운데 나침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 우리는 세계관이 제공하는 방향감각이나 인도 기능에 따라 모든 것을 결정하고 결정한 것에 헌신한다. 기독교적 세계관이란 성경에 의해 형성되고 점검된 세계관을 말한다. 성경적 세계관으로 문학을 본다는 것은 과학이나 이론의 인식차원보다 더 기본적인 인식차원을 말한다. 즉 미학에 대한 어떤 선천적 차원의 감각을 전제로 한다는 뜻이다. 이 감각이 문학적 상상이다.

문학은 창조적 상상의 언어적 소산인데 기독문학은 이 창조적 상상이 성서 안에서 보다 더 생명력을 지닐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창조적이라고 하는 말은 어떤 것에서도 그 대응물을 찾을 수 없는 독특한 담화라는 특성을 갖는다. 어떤 특수한 행동양식 속에만 갇혀있을 수 없다는 의미다. ‘언어적 소산’이란 문학은 언어에 의해 “말하여진 것(things said)”과 언어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구화의 패러다임을 근거로 언어적 소통의 맥락 안에서만 그 의미를 정의할 수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기술된 텍스트의 패러다임을 근거로 하면 우리는 예술적 창조나 노작(勞作)이라는 맥락을 머리에 떠올리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문학이라든가 문학성이라는 특질은 실제 텍스트나 발화에서 찾는 동시에 언어에 의해 촉발된 정신행위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 두 가지가 애매해질 정도로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 그리하여 문학 작품이 문학적이라고 간주되기 위해서는 그 작품 자체나 작품의 특성이나 반응이 문학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비록 기독문학이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문학을 바라보는 것이지만 그 예술성에서 일반문학과 다를 수 없으며 그 영역에서 일반문학과 구별될 수 없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문학을 기독교적 관점으로 본다면 “기독문학이란 문학이라는 광대한 영토에 하나님의 깃발을 꽂는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기독문학의 활성화는 ‘하나님나라의 총체적 회복’을 의미한다.

-송영옥 박사는

<한국수필>에서 수필로, <문단>에서 단편소설로 등단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국제 PEN클럽 정회원이다. 창작집으로는 <미운 남자>, <하늘 숲>, <해지는 곳에서 해 뜨는 곳까지>, <閃 囚구를 떠돌고 쏀덛>,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언어>와 영한시집 , 그리고 문학이론서 <기독문학이란 무엇인가?>가 있다.

세종대, 미국 텍사스 주립대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경북대 대학원에서 헨리 제임스 전공으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75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Y's Man International에서 국제여성부장(International Director for Y'Menettes)을 두 차례 역임했고, 신문·잡지의 연재계약으로 전 세계 60여 나라를 여행, 문화 예술 기행을 했다. 현재 대신대에서 기독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

▲송영옥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