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옥박사 기독문학세계] 시적 사유와 세계관

|  

작가의 문체에는 그의 인격이 담겨 있다

궤테(Goethe, 1749-1832)는 그의 <시와 진실> 제3부에서 “한 작가의 작품 속에는 그의 엄격한 오성, 순진한 감성, 활발한 구상력, 인간의 다양성에 대한 훌륭한 관찰, 각종의 차이에서 오는 특색 있는 묘사가 있다”고 했다. 그는 에서는 “작가의 문체는 그의 내적인 자아의 참된 표현”이라고 했다. 괴테는 누구든지 명석한 문체를 쓰려면 우선 그 정신을 명석하게 해야 하고, 위대한 문체를 가지려면 우선 그 자신이 위대한 정신의 소유자가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위대한 정신의 소유자만이 위대한 문체를 낳을 수 있다는 뜻이다. 괴테의 주장은 ‘인격을 문학의 발달 원리(The Principle of Literary Growth)’로 보는 관점과 일치한다.

프랑스의 작가 뷔퐁(G. L. L. Buffon, 1707-1788)은 “문(文)은 곧 인(仁)이다”라고 하였으며 헌트는 “사람은 문체다(The man is the style)”라고 말함으로서 문학과 인격과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작가의 인격 문제는 문체 뿐만 아니라 모든 예술에 다 적용된다. 프랑스의 미학자 골티에(Paul Gaultier)는 그의 에서 “예술작품이 그 양식에 의해 우리에게 무엇인가를 보여준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 사람의 인격”이라고 했다.

우리는 다음 시에서 어떻게 한 시인의 감정에 우리가 동화되는지를 살필 수 있다. 어떻게 시인의 내적 세계가 파악되며 다시 그 세계에서 태어나는 정서를 감득함으로서 우리 속에 글쓴이의 인격을 부활시킬 수 있는지 느껴보자.

하늘이 하나님의 영광을 선포하고
궁창이 그 손으로 하시는 일을 나타내는도다
날은 날에게 말하고
밤은 밤에게 지식을 전하니
언어가 없고 들리는 소리도 없으나
그 소리가 온 땅에 통하고
그 말씀이 세계 끝까지 이르도다
하나님이 해를 위하여
하늘에 장막을 베푸셨도다.
해는 그 방에서 나오는 신랑과 같고
그 길을 달리기 기뻐하는 장사 같아서
하늘 이 끝에서 나와서
하늘 저 끝까지 운행함이여
그 온기에서 피하여 숨은 자 없도다

(시편 19:1-6)

시인이 세계를 바라보는 사유 방식은 하나님 중심적 세계관을 형성하게 한다. 세계나 우주는 우연한 자연 현상이 아니라 창조주의 계획 속에 질서를 따라 존재하며 인간 역시 그의 피조물이라는 인간관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 시를 통해 해와 하늘과 궁창과 밤과 낮의 질서와 조화에 대한 미감을 공유하게 된다. 그러나 이 모든 자연은 하나님의 권능의 상징성이며 하나님의 속성의 은유적 표현일 뿐이며 하나님 자체는 아니다.

시인은 하나님의 존재 없이는 자연이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자연은 그분의 사랑의 결과일 뿐으로 표현하고 있다. 시인 스스로 하나님에 대한 그의 인격을 자연을 통해 형상화함으로서 우리들의 인격을 그와 같은 정서로 감동시킴과 동시에 확대시켜 준다. 이처럼 우리가 문학 작품에서 경험하는 정서는 그것을 쓴 작가가 경험한 정서와 동일한 차원인 동시에 우리 각자에게는 독특하고 개성적인 것이다.

-송영옥 박사는

<한국수필>에서 수필로, <문단>에서 단편소설로 등단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국제 PEN클럽 정회원이다. 창작집으로는 <미운 남자>, <하늘 숲>, <해지는 곳에서 해 뜨는 곳까지>, <閃 囚구를 떠돌고 쏀덛>,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언어>와 영한시집 , 그리고 문학이론서 <기독문학이란 무엇인가?>가 있다.

세종대, 미국 텍사스 주립대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경북대 대학원에서 헨리 제임스 전공으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75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Y's Man International에서 국제여성부장(International Director for Y'Menettes)을 두 차례 역임했고, 신문·잡지의 연재계약으로 전 세계 60여 나라를 여행, 문화 예술 기행을 했다. 현재 대신대에서 기독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