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옥박사 기독문학세계] 크리스천 독자와 예술 사이

|  

기독문학의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오늘은 잠간 내 개인적 경험을 이야기한다. 어느 주간지에 연재되고 있는 기독문학산책이란 주제의 내 글 ‘한 잔 포도주의 기억’에 한 독자가 다음과 같은 댓글을 붙였다.

“지금 이런 글이 진정 기독문학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마지막 문단은 정말 님의 기독문학에 대한 생각의 절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나는 앞으로도 지롱드의 강바람이 그리울 때면 와인샵에 들를 것이다’. 저도 한번 따라해 볼까요? ‘나는 앞으로도 한강의 강바람이 그리울 때면 포장마차엘 들를 것이다.’ 정말 대단하십니다.”

그리고 지난 주에는 다른 내 글에 ‘이 바보 지식인아…’로 시작되는 댓글을 받았다.

우선 내 글에 관심을 갖고 있는 독자들께 진정 고마운 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기독교와 문학예술 사이의 보이지 않는 높은 담을 느끼고 있다. 예술에서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격려와 칭찬으로 용기를 줄 때 그것이 우리의 힘이 된다. 남을 배려하는 것이 나의 기쁨이 된다는 것을 교리적으로는 알지만 이를 실천하기는 쉽지 않다. 만약 기독교인들이 하나님의 창조세계에 대한 열린 의식으로 문학과 예술을 바라본다면, 그리고 인간에 대한 보다 따스한 맘으로 그의 일들을 이해한다면 삶의 은총을 더 깊이 호흡할 수 있음을 알게 될 것이다.

어쨌거나 기독교와 예술 사이엔 엄청난 괴리감이 있다. 그래서 반 데르 레우후는 예술전문가와 기독교인은 서로 어울리기가 정말로 어려운 사람들이라고 했다. 예술을 하는 사람들은 미의 향유를 통해 축복받은 자신감을 누리면서 즐거운 마음으로 자신을 헌신한다. 그들에게는 예술의 실천이란 신앙, 문화, 과학과 같은 가치있는 노력 체계들과 동의어다. 그들은 미를 통하여 영광스럽게 된 세계에 참여하기를 바란다.

많은 기독교인들이 예술을 이해하고 사랑한다. 그러나 많은 기독교인들은 예술이 종교적 신념을 위하여 봉사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예술작품을 만들 때에는 반드시 도덕적이고 교육적인 성서의 내용이 직접적 표현으로 나타나기를 구한다. 작품의 소재적 한계를 주문하는 것이다. 그러나 예술은 언어의 상징성과 행간을 통한 의미 전달과 색과 음향, 선과 형태사이의 형식적인 게임에서 그 완전한 모습을 드러낼 수 있다. 아무리 기독교 예술이라 하더라도 후자를 무시하고는 예술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우리가 신앙하는 하나님은 미를 통해서도 우리와 함께 대화하기를 원하신다. 우리는 좀더 너그럽고 인간적인 기독교인들이 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하나님의 창조세계에서는 종교와 예술의 길은 서로 교차할 뿐 아니라 서로 합해지는 것이 아닐까. 여기에 기독 문학과 기독교 예술이 함께 공유할 비전이 있다고 본다.

-송영옥 박사는

<한국수필>에서 수필로, <문단>에서 단편소설로 등단해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국제 PEN클럽 정회원이다. 창작집으로는 <미운 남자>, <하늘 숲>, <해지는 곳에서 해 뜨는 곳까지>, <閃 囚구를 떠돌고 쏀덛>,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언어>와 영한시집 , 그리고 문학이론서 <기독문학이란 무엇인가?>가 있다.

세종대, 미국 텍사스 주립대에서 영문학을 공부하고 경북대 대학원에서 헨리 제임스 전공으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75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하고 있는 Y's Man International에서 국제여성부장(International Director for Y'Menettes)을 두 차례 역임했고, 신문·잡지의 연재계약으로 전 세계 60여 나라를 여행, 문화 예술 기행을 했다. 현재 대신대에서 기독문학을 강의하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