눅 10:38-42/ 균형의 영성
38 그들이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마을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39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40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를 명하사 나를 도와 주라 하소서
41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42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때에 맞는 일
중세 교회의 전통은 예수님이 음식을 준비하기 위해 분주한 마르다보다는 예수님의 발아래에서 말씀을 듣던 마리아를 칭찬하신 사건을 들어 관조하는 생활이 봉사하는 생활보다 우위에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그러나 칼빈은 이 특별한 경우의 사건을 일상의 모든 일에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일을 경시하는 것은 잘못된 해석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모든 사람은 여러 가지 일로 부름을 받았으며, 자신의 부름에 충실한 것보다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제사는 없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리아와 마르다의 기사는 “일에 대한 구별”이 아니라 “때에 적합한 행위”라는 차원에서 보아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 때는 마리아의 행위가 적합한 것이었지만, 때로는 마르다의 행위가 더 적합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말씀의 요점은 때에 대한 분별이지 일에 대한 구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균형을 잡으라
칼빈의 말도 설득력이 있지만, 사실은 두 행위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말씀 안에서 사귐의 거실과 구체적인 음식을 나누는 섬김의 부엌 사이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말씀을 들으므로 예수님의 신성을 받아드리고, 음식을 드리므로 예수님의 인성을 받아드립니다. 하나님을 향한 열정(passion)과 사람을 향한 긍휼(compassion)입니다. 예배와 일, 들음과 드림, 사귐과 섬김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은사가 달라도 서로 합력하면 선을 이룰 수 있습니다. 문제는 ‘다른 것’을 ‘틀린 것’으로 보고 비판하거나 원망하거나 조종하려고 조급을 부리는 것입니다. 마리아와 마르다는 두 사람이지만 우리 안에 있는 두 가지 성향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둘 사이의 조화로운 균형이 필요합니다.
한기채 목사(기독교대한성결교회 중앙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