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완 묵상나눔]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

이미경 기자  mklee@chtoday.co.kr   |  

11월 5일(금) 전도서 12:1-8

-묵상본문
1 너는 청년의 때에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
곧 곤고한 날이 이르기 전에,
나는 아무 낙이 없다고 할 해들이 가깝기 전에
2 해와 빛과 달과 별들이 어둡기 전에,
비 뒤에 구름이 다시 일어나기 전에 그리하라
3 그런 날에는 집을 지키는 자들이 떨 것이며
힘 있는 자들이 구부러질 것이며
맷돌질 하는 자들이 적으므로 그칠 것이며
창들로 내다 보는 자가 어두워질 것이며
4 길거리 문들이 닫혀질 것이며 맷돌 소리가 적어질 것이며
새의 소리로 말미암아 일어날 것이며
음악하는 여자들은 다 쇠하여질 것이며
5 또한 그런 자들은 높은 곳을 두려워할 것이며
길에서는 놀랄 것이며
살구나무가 꽃이 필 것이며
메뚜기도 짐이 될 것이며
정욕이 그치리니 이는 사람이 자기의 영원한 집으로 돌아가고
조문객들이 거리로 왕래하게 됨이니라
6 은 줄이 풀리고 금 그릇이 깨지고
항아리가 샘 곁에서 깨지고 바퀴가 우물 위에서 깨지고
7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그것을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
8 전도자가 이르되 헛되고 헛되도다
모든 것이 헛되도다

-묵상나눔
“젊은이들아, 청춘을 즐겨라.
네 청춘이 가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즐겨라.
가고 싶은 데 가고, 보고 싶은 것을 보아라.”(공동번역/전11:9)

청년의 때에 우리는 이렇게 살 수 있습니다.
물론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심판이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드디어 “헛되다”를 반복하는 이야기 속에서
솔로몬이 진정 하고 싶은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너는 청년의 때에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전12:1)

사실 우리가 어리석게 사는 이유는 두 가지에서 비롯됩니다.
하나는 우리가 피조(被造)된 존재라는 사실을 잊는 것입니다.
피조된 존재는 기본적으로
자존(自存)적인 존재가 아니라 의존(依存)적인 존재인데
그것을 잊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신의 뜻대로 사는 어리석음을 범하는 것입니다.
무엇을 하든지 창조주를 기억해야 하는데 말입니다.

둘째는 피조된 존재, 즉 시작이 있는 존재이기에
끝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 벌어집니다.
아무리 열심히 살고, 많은 것을 소유해도
끝이 오는 것이 피조물의 한계입니다.
그런데 그것을 잊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리석은 결정을 하고 지나친 욕심에 사로잡혀 살게 되는 것입니다.

솔로몬은 이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야기,
자신이 살아왔던 삶을 돌아보면서 청년들에게 얘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라”

어쩌면 더 이상 이런 이야기를 너무 늦게 깨닫게 된 나이를 곧 먹을지도 모릅니다.
그 날이 곧 다가올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솔로몬이 이렇게 말합니다.

“흙은 여전히 땅으로 돌아가고 영은
그것을 주신 하나님께로 돌아가기 전에 기억하라”(전12:7)

-묵상질문
“자신이 피조된 존재라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출처: 꿈이있는교회 큐티밥 www.qtbab.com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