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눅18:9-14
9 또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들에게 이 비유로 말씀하시되
10 두 사람이 기도하러 성전에 올라가니 하나는 바리새인이요 하나는 세리라
11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하여 이르되 하나님이여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12 나는 이레에 두 번씩 금식하고 또 소득의 십일조를 드리나이다 하고
13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이르되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하였느니라
14 내가 너희에게 이르노니 이에 저 바리새인이 아니고 이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받고 그의 집으로 내려갔느니라 무릇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시니라
<기도가 참되려면>
여기에도 친절하게 비유의 대상이 드러나 있습니다.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자들에게” 이 비유는 바리새인과 같은 사람들을 향해 주어진 말씀입니다. 기도가 좋은 것이지만 기도의 태도와 내용도 중요합니다. 무엇을 어떻게 기도하느냐에 따라 기도가 달라집니다.
<바리새인의 교만한 기도>
바리새인은 “서서 따로 기도”합니다. 그는 자기의 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며 영적 교만을 나타냅니다. “나는 다른 사람들 곧 토색, 불의, 간음을 하는 자들과 같지 아니하고 이 세리와도 같지 아니함을 감사하나이다.” 이것이 감사기도입니까? 이것이 하나님께 드리는 기도입니까? 자기를 과시하며 사람에게 연설하는 것 아닙니까? 하나님이 자신을 모르겠습니까? 왜 옆에서 기도하는 세리를 정죄합니까? 이것은 자기의 의를 드러낼 뿐 하나님에게 구하는 것이 없습니다. 이 기도에는 하나님이 하실 역할이 없습니다.
<세리의 겸허한 기도>
“세리는 멀리 서서 감히 눈을 들어 하늘을 쳐다보지도 못하고 다만 가슴을 치며” 겸손한 자세로 자신을 통회하며 기도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기도의 내용은 간단합니다. “하나님이여 불쌍히 여기소서. 나는 죄인이로소이다.” 짧지만 이 기도는 하나님을 향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용서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습니다. 하나님의 의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하나님이 받으시는 기도는?>
기도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이 나옵니다. 너무나 분명하게 가르쳐 주셔서 어떤 기도가 유효한가를 드러냅니다. 바리새인이 아닌 세리가 의롭다함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응답받는 기도를 하려면 세리처럼 하라는 것입니다. 말미에 비유를 통한 교훈이 나옵니다. “자기를 높이는 자는 낮아지고 자기를 낮추는 자는 높아지리라” 하나님 앞이나 사람 앞에서 자신을 낮추는 것이 기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