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범 교수, 신학적 관점에서 교회 위기 고찰
“여론의 한복판에서 한국교회가 벌거벗겨진 채 뭇매를 맞고 있지만, 누구 하나 말리는 사람이 없다. 오히려 구경꾼들의 손에는 돌멩이가 들려 있다”
대전신대 정원범 교수가 30일 은사초청동문상봉대회겸 학술발표회에 강사로 나서 한국교회의 위기를 신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했다.
먼저 정원범 교수는 “불교, 가톨릭 인구는 증가하는데 유독 기독교인만 감소하고 있는 상황은 교회가 처한 위기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며 “한국교회가 사회로부터 불신과 조롱을 받고 있다. 모든 여론 조사의 부정적 결과는 교회를 향한 여러 지탄들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전했다.
이어 정 교수는 교회위기의 원인으로 교회·목회자 모습의 변질, 패러다임 전환의 실패, 잘못된 신학 등을 지적했다. 특히 그는 “한국교회의 신뢰상실과 쇠퇴의 근본 원인은 ‘잘못된 신학’”이라며 “한국교회의 신학은 복음적 충실성, 기독 진리의 통전성, 시대 적합성, 변혁적 실천성 등 네 가지 기준에서 볼때 많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잘못된 신학’의 예로는 기복신앙과 번영신학, 신학과 영성이 분리된 불균형 신학, 권위주의·근본주의 신학, 변혁과 동력을 잃은 신학 등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정 교수는 “오늘날 신학은 중요한 역사적 전환기에 놓여 있다.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목회의 토대가 되는 신학의 갱신이 있어야 한다”며 “십자가 신학, 지성과 감성·보수와 진보의 균형 신학, 에큐메니칼 신학, 공공 신학에 힘써야 한다. 한국교회가 회개와 갱신의 노력을 한국사회와 세계의 희망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