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부터 이견 있던 주제… “논쟁하기보다 서로 배우려 해야”
김동호 목사(높은뜻연합선교회)가 최근 페이스북을 통해 칼빈의 ‘예정론’을 비판하자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이를 두고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사실 예정론은 과거부터 각 신학 사조간에 다소 이견이 있던 주제였는데, 이번 김 목사의 발언을 통해 그것이 다시 회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김 목사 발언의 핵심은 결국 ‘유기’(遺棄)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 라는 물음과 관계된 것이다. 칼빈의 예정론, 다시 말해 오늘날 ‘이중예정’으로 알려진 그것은 하나님께서 창세 전에 구원 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미리 정하셨다는 것으로, 이 이론에서 하나님은 ‘차별하는 신’ 혹은 ‘매우 냉정한 신’으로 비칠 소지가 있다.
이에 김 목사는 “예정론의 치명적인 문제는 구원의 능력이 전적으로 하나님께 있다는 것을 주장하는 데는 유리하나, 멸망의 책임도 결국 하나님이 지셔야만 한다는 데 있다”며 “저는 전적인 (인간의) 무능력을 믿는다는 점에서 칼빈주의자이지만, 예정론은 믿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간은 구원에 관한 한 전적으로 무능력하다. 구원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요 능력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값없이 받는 하나님의 은혜”라며 “그러나 멸망의 책임은 전적으로 우리에게 있다. 하나님이 구원의 은혜를 주셨음에도, 그리고 그것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주셨음에도 선택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즉, 흔히 사람들이 칼빈의 예정론을 통해 ‘버리시는 하나님’을 생각하는데, 그것은 예정론이 인간의 전적인 무능력을 강조하면서 인간의 회개와 선택조차 구원에 그 어떤 영향도 줄 수 없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라는 게 김 목사의 분석이다. 이런 논리에서 하나님은 회개해도 구원의 여지를 주지 않는, 그런 차가운 신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멸망의 책임을 고스란히 그 분이 떠안는다는 것이다.
김 목사는 “사람에게는 회개하고 하나님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있고 회개해야만 구원을 얻을 수 있지만, 죄를 지은 인간이 회개를 한 것을 능력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회개는 능력이 아니라 책임과 도리이다. (그러므로) 회개하지 않고 하나님을 선택하지 않아서 당하는 멸망의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고 강조했다.
김 목사의 이 같은 주장은 구원에 있어 하나님의 절대적 주권과 함께 인간의 ‘자유의지’ 또한 강조하는 성결교 계통의 웨슬리적 입장과 유사하다. 전통 개혁주의가 구원을 위한 인간의 자유의지를 전적으로 배재한다면 웨슬리안들은 칭의와 함께 성화도 구원의 단계로 보고 그 연장선상에서 인간의 회개와 같은 자유의지를 강조하기 때문이다.
실제 웨슬리안인 배본철 교수(성결대)는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지만 그에 대한 인간의 반응 또한 중요하다. 이런 인간의 반응을 (구원을 위한) 공로나 선행으로 이해해선 안 된다. 그런 점에서 김동호 목사님의 말씀에도 일리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김종희 교수(백석대 역사신학)는 “하나님을 선택하지 않거나 그 은혜를 받아들이지 않아 인간에게 멸망의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다. 멸망에 대한 책임은 타락한 (모든) 인간 안에 이미 있다”며 “(하나님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인간에게 주어졌지만 타락으로 인해 그 효력을 발휘할 수 없다. 구원은 인간의 자유가 아니라 하나님의 불가항력적인 은혜로 인해 가능하다. 이 점을 어거스틴을 이어 칼빈이 강조한 것”이라고 김 목사의 의견에 반대했다.
그러나 소모적 논쟁보다 서로를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성욱 교수(덴버신학교)는 “저는 개혁신학권에 속한 복음주의 신학자다. 따라서 당연히 (칼빈의) 예정론이 성경에 부합하는 신학사상임을 믿고 받아들인다”면서도 “그러나 예정론을 믿지 않을 경우 그 사람은 구원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그 구원을 심각하게 의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태도는 신학함과 성경해석에 대한 기본기가 결여된 태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예정론을 받아들이지 않는 신학, 소위 알미니안이나 웨슬리안 신학을 거의 사이비 내지 이단으로 취급하는 태도 역시 성경과 부합하지 않는 것임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면서 “개혁파 신학 역시 결코 완전한 신학일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 인간의 오류와 허점이 시퍼렇게 살아있는 불완전한 신학이다. 그렇기에 서로 배워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배본철 교수도 “칼빈은 인간의 공로를 내세웠던 로마가톨릭에 대항해 하나님의 주권과 절대적 예정을 강조해야 했다. 웨슬리 역시 명목상 구원만을 외치는 영국 성공회에 대한 저항으로 인간의 책임을 역설했다”며 “그러나 지금 우리는 칼빈과 웨슬리의 시대를 모두 경험하고 배웠다. 어느 한 쪽의 편에서 상대방을 비난하고 배제할 것이 아니라 서로가 가진 정점들을 모두 활용해 보다 발전된 교리를 완성해갈 수 있다. 다시 과거로 돌아가 해묵은 교리 논쟁에 빠져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