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낙원을 찾아서(5): 존 밀턴의 <실락원>을 중심으로
3권으로 들어가며, 빛의 프롤로그
우리는 빛을 좋아한다. 빛 속에 살기를 원한다. 어둠이 있어야 하고 지옥이 있어야 낙원을 볼 수 있을지라도, 먼저 빛을 노래하고 빛을 구한다. 얼마 전 지적장애인들의 최대 스포츠 축제인 동계 스페셜올림픽이 평창에서 열렸다. 전체 뇌의 10퍼센트만 가지고 태어난 박모세 군이 애국가를 불렀다. 태어나기 전 생존 불가능 판정을 받았음에도, 그의 어머니는 생명의 주관자인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모세 군을 낳았다. 그러나 더 이상 치료방법이 없어 그는 한 달만에 병원에서 쫒겨났다.
그러나 어머니는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께 모세의 생명을 맡기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지고한 사랑을 부어 모세를 키웠다. 의학은 모세 군에게 중복장애 1급 판정을 내렸으나, 모세의 뇌는 회복단계에 들어섰고 스페셜올림픽에서 기적의 주인공으로 태어났다.
그의 일화는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주었다. 그의 일화는 소망의 빛으로 우리에게 찾아왔다. 106개국 선수들 2천여명의 포기하지 않는 열정과 투혼 역시 빛이었다. 너무 쉽게 생명을 포기하는 이 시대 사람들에게 생명의 존엄성을 일깨워준 빛이었다. 그들의 낙원은 그 빛 속에 있었다. 그들은 이 시대의 또 하나의 밀턴이었다.
나로 하여금 사탄과 어둠과 지옥을 노래한 <실락원> 제1권과 2권을 뛰어넘어 3권으로 먼저 오게 한 것은 ‘이 시대의 밀턴들’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 <실낙원> 제3권, 이 빛의 서시 속에는 이 노래를 쓸 당시 완전히 시력을 상실한 밀턴 내면의 슬픔이 있고, 그것을 뛰어넘은 빛에의 염원이 절절히 배어 있다. 그의 빛은 하나님 자신이었다. 그는 하나님을 빛 자체로 인식하였다. 그 빛은 창조되지 않은 ‘찬란한 본질의 찬란한 분출’이었다. <실락원> 제3권, ‘빛의 빛’ 프롤로그를 보자.
오오 영광 있으라 거룩한 빛이여, 하늘의 초생아여.
(Hail holy Light, offspring of Heav’n first-born)
그대를 영원자와 공존하는 영원한 빛이라고
(Or of th’ Eternal coeternal beam)
부르는 것이 마땅치 않겠는가? 하나님은 빛이시며
(May I express thee unblamed? Since God is Light)
실명 중에 밀턴이 인식한 빛, 곧 하나님은 영원 전부터 인간이 함부로 접근할 수 없는 빛, 오로지 하나님 자신으로만 계시는 빛이다. 나는 밀턴을 공부하기 전에는 하나님께서 빛을 창조하셨다고 생각하였다. 목사님의 설교에서도 그렇게 들었다. 창세기 1장 3절 말씀이었다. ‘빛이 있으라 하시니 빛이 있었고(Let there be light, and there was light)’.
그러나 밀턴은 빛은 창조된 것이 아니라, 근원적인 하나님의 본질이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3권 제6행은 ‘빛은 창조되지 않은 찬란한 본질의 찬란한 분출(Bright effluence of bright essence increate)’이라 노래한다. 이것은 나에게 큰 충격이었다. 신학적으로 나는 이 말이 맞는지 틀리는지 알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밀턴이 인식한 빛, 밀턴이 고백한 하나님의 본질에 동의한다.
<실락원> 제 3권, 이 빛의 서시 속에는 이 노래를 쓸 당시 완전히 시력을 상실한 밀턴의 내면의 슬픔이 있고, 그것을 뛰어넘은 빛에의 염원이 절절히 배어있다. <실락원>은 작품이 발표된 1667년 당시에는 모두 10권이었으나, 1674년 재(再)판에서 밀턴은 12권으로 재편성 하였다. 여기에서 나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밀턴이라는 인물에 대하여 그리고 <실락원> 전체의 개요를 먼저 이야기하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