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리 소개책자를 넘기자 맨 먼저 눈에 띈 ‘LGBT’

김진영 기자  jykim@chtoday.co.kr   |  

[르포] ‘학생 선교’의 현주소, 봄날의 캠퍼스를 가다

▲봄이 찾아온 캠퍼스는 새 학기를 시작하는 학생들로 가득했다. 이 활기 만큼이나 복음의 열정도 가득했으면…. ⓒ김진영 기자
▲봄이 찾아온 캠퍼스는 새 학기를 시작하는 학생들로 가득했다. 이 활기 만큼이나 복음의 열정도 가득했으면…. ⓒ김진영 기자

10년 전

2003년 3월 어느 날의 대학 캠퍼스. 따스한 봄볕이 내리던 이날의 오후는 경쾌한 기타의 노래와 싱그러운 찬양으로 가득했다. 삼삼오오 무리를 지은 학생들은 넓은 광장에서, 꽃이 움트는 정원에서 하나님을 노래하고 있었다. 그 선율이 귀를 잡았는지, 아니면 마음을 훔쳤는지 어느새 주위에는 가던 길을 멈춘 청춘들로 가득했다.

그리고, 10년이 흘러…

2013년 3월 중순 서울의 모 사립대학 캠퍼스. 겨울을 밀어낸 봄의 기운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았다. 기자가 학교를 찾은 날, 이 학교 동아리연합회는 새 학기를 맞아 동아리 박람회를 개최하는 중이었다. 행사장은 약 100개의 동아리들이 차려놓은 부스와 각종 물건들로 가득했고 이를 구경하러 온 학생들은 이곳 저곳에서 호기심을 발하고 있다.

박람회 입구에 들어서자 한 여학생이 웃으며 ‘동아리 소개집’을 하나 쥐어준다. 그 안은 다양한 동아리들에 대한 소개와 홍보들로 가득했다. 동아리들이 모여 있는 학생회관의 층별 안내도를 비롯해 처음 몇 장의 시시콜콜한 ‘광고’ 페이지를 넘기자 그 많은 동아리들 중 첫 번째로 ‘성소수자’ 동아리가 소개되고 있다. 무언지 모르게 ‘따뜻함’을 주는 동아리 이름과 함께.

그 이름 밑으로 ‘LGBT Society’라는 단어가 눈에 띈다. 생소한 단어라 얼른 스마트폰을 꺼냈다.  ‘레즈비언’(Lesbian) ‘게이’(Gay) ‘바이섹슈얼’(Bisexual) ‘트랜스젠더’(Transgender)를 합쳐 부르는 말이란다.

좀 더 읽어내려갔다. “게이들에게 있어 어려움이 있을 때 비빌 언덕이 부족하긴 하다. 무엇보다도 가족을 꾸릴 수 없다는 것이 문제다. 본인의 자산에 의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래서 친구들 역시 중요하다. 자기 자산이니까. 일반 친구들은 아무래도 삶의 방식이 다르다 보니 만나는 횟수가 점점 줄어든다. 결국 만나게 되는 건 이반 친구들이더라. 간혹 애인 사귀면 이반 친구들을 안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 바람직하지는 않다. 이반 친구들에게 공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무슨 동성애 책자에 실린 글이라는데, 대충 이해는 가지만 정확히 무슨 뜻지는 잘 모르겠다. 글 옆에는 저녁 무렵인 것 같은 캠퍼스를 배경으로 두 학생이 손을 잡은 사진 하나가 나란히 붙어 있다. 한 학생은 남자가 확실한 것 같은데, 다른 하나는 모자를 깊이 써 남자인지 여자인지 확실치가 않다. 다만 남자일 거라 짐작할 따름이다.

이어 본격적인 동아리 소개가 이어진다. 1995년 가을, 몇몇 레즈비언 및 게이 학생들이 모임을 만들었고 지난 2003년 이 학교 정식 동아리가 됐다는 것. 영화제도 개최하고 책도 발간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는 말도 덧붙여 놓았다. 하지만 길게 늘어진 부스의 맨 끄트머리에 붙은 이 동아리 부스에는, 기자가 찾은 그 순간 자리를 비웠는지 주인은 보이지 않았다. 책상 가운데 꽂힌 무지개 깃발 하나가 홀로 덩그러니 그곳을 지키고 있을 뿐.

반대편엔 종교 관련 동아리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 소개책자에는 총 10개의 종교 동아리들이 있었다. 이 중 기독교 동아리는 최소 6개 이상이었다. 불교와 증산도 동아리가 각 1개씩, 나머지 2개 동아리는 어느 종교인지가 불분명했다.

기자의 눈에만 그랬는지, 이상하게 찾는 이들이 없어 보였다. 다른 곳에선 춤 동아리인지 여럿이 둘러서 남녀의 ‘스텝’을 구경하고, 또 다른 곳에선 조정(boat race)을 연습할 수 있는 배에 오르려 줄을 서기까지 했는데도 말이다. 기독교 동아리 부스들과 성소수자 동아리 부스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것도 참 묘하다 생각했다.

한 기독교 동아리 간사에게 이것저것 물었다. 일주일 중 모임은 몇 번이나 갖는지, 그 모임에는 몇 명이나 오는지 등을. 오랜만에 온 손님(?)이라 반가웠던 걸까. 그 시끄러운 상황에서도 간사는 목을 돋우며 참 친절하게도 하나하나 짚어갔다. 정기 모임은 화요일에 있는데, 여기에 한 10여 명 남짓 모인다는 게 간사의 대략적인 설명이다. 그러다 10여명이라는 말에 흠칫한 기자를 눈치챈 것인지, 애써 “(기독교 동아리들 중) 중간 정도”라고 강조한다.

동아리 박람회를 벗어나 캠퍼스 구석 구석을 돌아다녔다. 1시간이 넘도록 캠퍼스를 걸었으나 “예수님 믿으세요”라며 말을 걸어오는 이도, 예수님이 그려진 전도용 종이를 건네는 이도 없다. 그래도 새 학기의 출발점이니 한 번은 마주칠 줄 알았는데…. 왁자지껄했던 박람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다. 한가롭고 여유로웠지만 머리칼을 날리는 봄바람이 왠지 더 스산하다.

기자가 ‘세상 모르고’ 젊음을 누볐던 10년 전의 그곳, 그 캠퍼스에도 이곳에서와 같은 바람이 불었을까? 글쎄, 그건 모르겠지만 적어도 플라타너스 나무들 사이로 나를 포함한 학생들의 발걸음을 붙들던 ‘간사’들의 모습만은 여전히 눈에 선하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2024 기독 출판 도서 신간

“개별 약진 있지만, 전체 판 바꿀 작가와 시도는 아직…”

박영선, 루이스, 팀 켈러 등 스테디셀러 베스트 상위권에 10위 내 신간 과반수 고무적 기독 출판인들과 함께 2024년 기독 출판계 주요 키워드들을 돌아보고, 2025년 트렌드를 예측했다. 출판인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지나간 2024년과 다가올 2025년 주요 키워드는 △…

헌법재판소

보수 기독교계 “탄핵심리 계속하면 무서운 시민 저항 일어날 것”

보수 기독교 단체들이 13일 “헌재는 탄핵심리를 당장 기각하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여기에는 대한민국기독교연합기관협의회, (사)한국기독교보수교단총연합회, (사)한국기독교총연합회, (사)전국17개광역시도·226개시군구 기독교총연합회 및 전국기…

윤석열 구속영장 서부지법

“서부지법 사태, ‘토끼몰이 수사’이자 검경의 국가 폭력”

토끼몰이 과잉수사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권용태 목사, 이하 조사위)가 13일 경찰과 검찰의 과잉수사에 대한 강력 항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조사위는 이 성명에서 “서부지법 폭력 사태를 빌미로 경찰과 검찰이 단순 참가자들을 ‘법원침입 폭도집단’으로 둔갑…

탁영철

“교회, 일 시키려는 목적으로 ‘싱글’에 다가가면 안 돼”

“싱글 미니스트리가 가장 잘 정착돼 있고, 이로 인해 교회의 중흥기를 맞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1970년대 후반 존 트라볼타가 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는 동안(뮤지컬 영화 ), 미국교회는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이혼율은 증가하고, 경력을 중시하는 …

언더우드 아펜젤러

합동·통합·기감, 선교 140주년 연합대회 어떻게 준비하나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통합과 기독교대한감리회가 함께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기념하는 연합대회를 오는 4월 3일 서울 새문안교회에서 개최한다. 각 교단의 행정 및 선교 책임자들로 구성된 준비위원회는 지난 1월 8일(수)과 2월 4일(화), 각각 예장 통합과 …

조나단 웡

홍콩 목회자 “한국교회, 우릴 보고 사명 일깨우길”

2020년 국가보안법 제정 이후 부당함 맞서던 시위 강제 중단 자유와 인권, 복음 수호 위해 단결해 기도와 실천 대응해야 자유와 민주주의를 잃은 홍콩의 조나단 웡 목사가 공산권과 싸우는 한국교회를 향해 미국에 있는 정윤명 글로벌국제선교회 창립자 겸 회장…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