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평강식물원, 5월 맞아 세계고산식물전 개최

신태진 기자  tjshin@chtoday.co.kr   |  
▲평강식물원 암석원.
▲평강식물원 암석원.

‘4계절 자연 생태 정원 평강식물원(원장 이환용)’에서는 따뜻한 봄과 함께 특별한 꽃들의 아주 특별한 잔치인 세계고산식물전(高山植物展)을 5월 1일(목)부터 5월 31일까지(토)까지 암석원과 알파인하우스 외 특설행사장에서 열고 있다.

이번 전시는 기후변화로 인해 위협받고 있는 자생식물의 실태와 환경 문제를 알리고자 ‘에델바이스의 초대’란 부제로 진행되며, 특별히 백두대간의 고산지대(백두산, 한라산, 태백산, 소백산, 지리산, 울룽도, 독도) 등 모형과 함께 실제 자생지의 식물들이 식재되어진 진풍경을 만나 볼 수 있다.

부제의 에델바이스는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우리와 친숙한 꽃으로,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고산 식물이다. 높은 산지의 혹독한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 만든 보송보송한 솜털로 덮인 작은 꽃이 아름다운 이 에델바이스는 우리 이름으로는 ‘솜다리’라고 불린다.

▲고산식물 전시.
▲고산식물 전시.

해발 2,500m 이상에서 자라는 식물들을 보통 고산식물이라 하는데, 평강식물원의 가든 중 가장 대표적이고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암석원(巖石園)은 이 고산식물들을 위한 공간이다. 암석원의 지하부를 특수 처리하여 고산식물들이 본래 자생지에서와 같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했다. 백두산, 한라산, 설악산은 물론 알프스, 히말라야, 로키산맥 등지의 희귀 고산식물들이 본래의 자생지처럼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아주 가까이에서 지켜볼 수 있다.

4월부터 평강식물원에 새로 부임한 문화경영CEO 허건 대표의 창의적 문화예술을 접목한 운영을 통하여, 그동안 식물원의 고유의 가치를 더욱 부각시키며 동시에 다양한 컨텐츠와 고객들의 필요를 수렴한 운영을 펼쳐갈 계획이다.

▲백두산떡쑥(Antennaria dioica).
▲백두산떡쑥(Antennaria dioica).

이에 고산식물전시회 기간 중 5월 3~6일 아름다운 고산의 꽃과 함께하는 ‘패밀리 위크’ 기간을 통하여 다양한 자연체험활동과 매직쇼, 페이스 페인팅 등 다양한 이벤트도 진행했다. 입장객 모두에게는 건강차 제공과 가든해설, 체험학습, 룰렛돌리기 등 재미있는 이벤트와 프로그램으로 특별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예로부터 포천은 물 맑고 공기 좋은 청정지역으로 명성산과 산정호수, 이동갈비, 아트밸리 등 관광명소와 맛있는 음식으로도 정평이 나 있으며, 평강식물원은 주변 관광명소와 연계성이 매우 좋아 주말과 평일을 이용한 당일, 혹은 1박 이상의 나들이 코스로 각광받고 있다.

이용시간: 오전 9시 ~ 오후 9시(하절기)
이용요금: 일반 8천원 / 유, 초·중·고생 5천원
주소: 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산정리 725번지
문의: 031) 531-7751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망원경·현미경 발전, 진화론 허상 밝혀내는 중”

인본주의 매몰된 세계관 수정을 기독교 세계관과 삶으로 열매를 진화론 과학주의는 무신론 이념 생명 발생 불가능: 하나님 창조 지질연대표 잘못돼 사라지는 중 과학=진리 아님 성도들에 알려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는 지난 4월 12일 오후 ‘기독…

모세 파라오 바로 십계

성경 속 ‘빌런’, 나에겐 걸림돌 아닌 디딤돌 될 수 있다

성경 속 빌런, 구분하기 쉬워 비판적으로 성경 읽고 생각을 빌런 생각 지점, 일상에서 찾기 실수 유형 찾아내 해결책 적기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의이다. 그가 나치 친위대 중령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

영화 예수

영화 ‘예수’, 2,200번째 언어로 번역·상영돼… 세계 최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크루(Cru) 소속 사역 단체인 ‘예수 영화 프로젝트’(Jesus Film Project)가 영화 ‘예수’를 2,200번째 언어로 상영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최신 버전은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쿨랑고어의 방언인 부나(Bouna)어로 번역됐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