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이 치마 입는다고 女 되냐”는 화장실법 반대 의견 검열돼

이혜리 기자  hrlee@chtoday.co.kr   |  

페이스북, 해당 사진 삭제 요구

▲크리스티 메리트가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들.
▲크리스티 메리트가 페이스북에 올린 사진들.

페이스북이 워싱턴에 살고 있는 한 여성의 글을 검열한 것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녀가 “스스로 여성이라 생각하는 남성에게 여자화장실 사용을 허용하는 법안”에 반대하는 사진을 올렸기 때문이다.

워싱턴 레이크우드에 사는 크리스티 메리트(Kristi Merritt)는 이달 초 여러 복장을 한 채 찍은 사진들을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어떤 인물을 따라하거나 복장을 해도, 실제로 그 인물이 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한 사진에서 메리트는 해적과 같은 복장을 한 채 “이 옷이 나를 해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을까?”라고 적힌 종이를 들고 있다. 다른 사진에서는 미식축구 선수인 러셀 윌슨의 유니폼을 입고, 럭비공을 쥐고, 헬멧도 썼다. 그리고 역시 “이 옷이 나를 러셀 윌슨으로 만들어줄 수 있을까?”라고 적힌 종이를 들었다.

또 다른 사진에는 치마, 지갑, 하이힐, 그리고 그 옆에는 “그렇다면 이것들이 남자를 여자로 만들어줄 수 있을까?”라고 적힌 글이 놓여 있다.

메리트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화장실 법안과 관련, 사진을 통해 정치적인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워싱턴주는 작년 12월 트랜스젠더들에게 자신의 생물학적 성과 반대되는 공중화장실이나 탈의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제정했다.

그녀는 “여성의 옷을 입었다고 해서 남성이 여성이 될 수는 없다”면서 “남성들은 우리 화장실이나 탈의실에 들어올 수 없다”고 했다.

11만 명이 넘는 이들이 이 글을 공유했으며, 수천 명이 ‘좋아요’를 눌렀다. 그러나 얼마 후 페이스북 측은 “당신이 나체 사진들을 올렸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면서 사진 삭제를 요구해 왔다. 하지만 이 소문은 사실이 아니었다.

그녀는 4월 16일(현지시각) 올린 글에서 “페이스북이 내 글을 삭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나체 사진이 있다는 것이다.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보라. 나를 검열하고 싶어하는 이들이 나체 사진이 있다고 한 것이다. 실제로는 분명히 없는데도 불구하고. 이것은 혐오자들이 하는 일이다. 그들은 자유롭게 말할 뿐이다!!!!”고 했다.

그리고 페이스북 측에서 “계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최근 사진들을 지워야 한다”고 보내온 내용 역시 캡쳐해서 올렸다. 그녀는 “내 사진들 속에는 절대 나체 사진이 없다. 사람들이 나를 비방하고 괴롭혀서 사진들을 없애려고 한다. 내 의견이 맘에 들지 않고, 내 표현의 자유를 검열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라고 적었다.

그녀의 글은 일부 진보 언론들에게서 집중 포화를 맞고 있다. 리파이너리29는 메리트의 글이 ‘트랜스젠더 혐오적’이고 매우 사회·정치적이라고 비난했다. 성소수자들을 대변하는 핑크뉴스는 그녀의 발언은 무지를 드러낸다고 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성산생명윤리연구소

“망원경·현미경 발전, 진화론 허상 밝혀내는 중”

인본주의 매몰된 세계관 수정을 기독교 세계관과 삶으로 열매를 진화론 과학주의는 무신론 이념 생명 발생 불가능: 하나님 창조 지질연대표 잘못돼 사라지는 중 과학=진리 아님 성도들에 알려야 성산생명윤리연구소(소장 홍순철)는 지난 4월 12일 오후 ‘기독…

모세 파라오 바로 십계

성경 속 ‘빌런’, 나에겐 걸림돌 아닌 디딤돌 될 수 있다

성경 속 빌런, 구분하기 쉬워 비판적으로 성경 읽고 생각을 빌런 생각 지점, 일상에서 찾기 실수 유형 찾아내 해결책 적기 “악이란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의이다. 그가 나치 친위대 중령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

영화 예수

영화 ‘예수’, 2,200번째 언어로 번역·상영돼… 세계 최다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크루(Cru) 소속 사역 단체인 ‘예수 영화 프로젝트’(Jesus Film Project)가 영화 ‘예수’를 2,200번째 언어로 상영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최신 버전은 서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에서 사용되는 쿨랑고어의 방언인 부나(Bouna)어로 번역됐다.…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