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 밥 딜런과 미국의 꿈, 그리고 인간의 꿈

|  

[송영옥 박사 기독문학세계] 첫 번째 에피소드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위대한 개츠비, 그 초록의 불빛

2011년 유럽의 한 미국 문학학회에서는 '밥 딜런과 아메리칸 드림(BOB DYLAN AND THE AMERICAN DREAM )'이라는 논문이 발표됐다. 발제자인 탐 헤르메스(Tom Hermes)의 다음 주장이 특별히 내 관심을 끌었다. "밥 딜런의 시는 20세기 미국 소설가 F.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Key Fitzgerald, 1896-1948)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의 아메리칸 드림을 다시 그려내면서, 아메리칸드림이 개인에게 과연 무엇인가를 묻고 있다."

미국 각 대학교 영문학과마다 '밥 딜런 시 분석' 강좌가 유행한 시기와 맞물리면서, 세계 학계는 자주 밥 딜런의 노랫말을 문학 텍스트이자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미국 고교와 대학에서 교과서로 쓰이는 '노턴 문학개론(Norton Introduction to Literature)'에도 딜런 작품이 수록돼 있다.

그가 1965년 내놓은 '라이크 어 롤링 스톤(Like a Rolling Stone)'은 2005년 영국 잡지 '언컷'의 조사에서 '세상을 바꾼 가장 뛰어난 대중문화 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1996년부터 노벨문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돼 왔으니, 밥 딜런의 문학을 위한 담론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었다.

그러나 그의 시 세계를 20세기 미국 문학의 거장 피츠제럴드의 아메리칸 드림과 동일선상에 두고, <위대한 개츠비>에서  제이 갯츠비가 바라보고 있는 초록색 불빛을 밥 딜런의 'Blowin' in the Wind'에 투영하여 삶의 의미와 질서를 부여해 주는 낭만적 환상으로 다시 살려냈다고 보는 시각은, 피츠제럴드를 공부한 나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여러분도 기억하시리라. 조그마한 만 건너편 데이지네 선착장에 켜져 있는 '초록색 불빛'을.

피츠제럴드는 <위대한 갯츠비>로 '갯츠비적(Gatsbyesque)'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낸 재즈 시대의 왕자였다. 재즈 시대란 역사상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세계대전을 겪은 뒤, 서구 문명 자체에 깊은 회의를 보이면서 재즈에 심취하던 미국의 1920년대를 가르키는 말이다. 그 시대는 기적의 시대였으며, 예술의 시대이고 풍자의 시대였다.

당시 겨우 스물세 살의 나이로 미국 문학 작가의 반열에 올랐던 스콧 피츠제럴드는 이렇게 말한다. "모든 작가는 자기 세대의 젊은이들, 다음 세대의 비평가들, 그리고 그 뒤의 영원한 미래 세대의 교육자들을 위하여 작품을 써야 한다."

이 예언적인 그의 말은 단적으로 미국 문학이 구현하고자 하는 아메리칸 드림의 본질을 나타낸다. 당시 피츠제럴드는 동시대의 작가 어네스트 헤밍웨이(Ernest Miller Hemingway, 1899-1961)나 윌리엄 포크너(William Cuthbert Faulkner, 1897-1962)처럼 예술혼을 불태운 작가라기보다, '미국 문단의 플레이보이'로 더 잘 알려져 있었다. 때문에 동시대의 젊은 독자에게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제럴드는 그 다음 세대의 문학 비평가들과 작가, 교육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고, 그의 작품은 영화 제작자들과 연극 연출가들, 무용 안무가들, 심지어는 음악가들로부터도 큰 사랑을 받는다. 그리하여 20세기 미국 소설은 포크너와 헤밍웨이, 그리고 제럴드로 대표되고, 그는 넓게는 세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까지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피츠제럴드는 헤밍웨이나 포크너만큼 많은 장편소설을 남기지는 못했다. 이는 일찍 사망한 탓도 있지만, 돈을 벌기 위하여 세터데이 이브닝 포스트와 같은 잡지에 상업적인 단편 작품을 많이 썼기 때문이다. 그 단편소설 가운데 그야말로 문학사에 빛나는 보석 같은 작품들이 많다.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그 학회의 담론의 대상이 된 <위대한 개츠비>이다.

현대의 고전 반열에 올라와 있는 이 소설은 미국의 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는 물론이고 일반 독자에게도 융숭한 대접을 받고 있으며, 비평가들은 위대한 미국 소설을 말할 때마다 빼놓지 않고 이 작품을 거론한다. 미국의 랜덤하우스 출판사에서 '영어로 쓰여진 20세기 가장 위대한 소설'을 선정했을 때도, <위대한 개츠비>는 제임스 조이스(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1882-1941)의 <율리시즈(Ulysses)>를 이어 두 번째로 뽑혔다.

이제 글의 전개를 위하여 <위대한 개츠비>의 스토리를 이야기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

/송영옥 박사(기독문학 작가)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