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딜런의 노벨상 수상과 미국 문학의 청교도 정신

|  

[송영옥 박사 기독문학세계] 밥 딜런과 미국의 꿈, 인간의 꿈(8)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금세기에 들어서면서, '밥 딜런과 아메리칸 드림(Bob Dylan and the American Dream)'이라는 주제는 영미 문학계에서 화두로 떠올랐고, 드디어 논란 가운데 딜런은 201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다.

20세기 미국 문학사의 '아메리칸 드림'은 소설가 F. 스콧 피츠제럴드(Francis Scott Key Fitzgerald, 1896-1948)의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에서 밥 딜런의 시 '라이크 어 롤링 스톤(Like a Rolling Stone, 1965)'과 'Blowin' in the Wind'로 태어났다고 본 것이다.

밥 딜런으로 인하여 문학은 물질적 풍요를 추구하는 것으로 집약된 미국의 꿈에 대한 숙고와 비판과 재생이 라는 무거운 과제를 안게 되었다. 아메리칸 드림은 과연 한 인간에게는 무엇이며 인류에게 어떤 기여를 하는가에 대한, 다시 말해 인간의 꿈에 대한 구체적이고 총제적 숙고이며 비판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미국 문학이 다시 한 번 청교도 정신의 르네상스를 꿈꾸게 만든 것이다.

개인에게 있어 미국의 꿈은 기본적으로 자유와 평등과 행복 추구의 이상이다. 그러나 물질적 풍요로 집약된 꿈은 도덕적 타락으로 이어졌고, 개인의 삶은 무의미와 부조리 속에 침몰했다. 그 끝에서 문학은 3백년 전 부푼 가슴을 안고 미국 땅에 처음 도착한 네덜란드 상인들의 눈에 비쳤을 신세계의 초록빛 가슴을 갈망하게 된것이다.

이 갈망의 한 자락을 펼쳐놓은 밥 딜런의 시를 본다.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야 인생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을까.
많은 바다를 날아온 비둘기 만이 모래밭에 편안히 잠들 수 있다. ...
많은 포탄이 날아가야 평화가 찾아오고
많은 세월만이 높은 산을 깎아 바다로 보낼 수 있다.
자유를 얻기 위해 얼마나 많은 세월의 투쟁이 더 있어야 하는 걸까.
아무도 알지 못하는 그들의 끝을, 오직 바람만이 알고 있다.

Yes, 'n' how many times must the cannon balls fly
얼마나 많은 포탄이 날아가야
Before they're forever banned?
영원한 평화가 찾아올까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친구여, 그건 불어오는 바람이 알고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바람만이 알고 있다고.

언제까지 고개를 돌려 우리가 모른 척 할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울부짖는 소리를 들어야 하고,
너무나 무고한 사람들이 죽어가도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네.
친구여 언제까지 못 본 척 하려는가.

The answer, my friend, is blowin' in the wind,
친구여, 바람만이 알 수 있다네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그 답은 불어오는 바람 속에 있다네.

얼마나 많이 올려다보아야 진짜 하늘을 볼 수 있을까.
인간은 아무리 올려다 보아도 진짜 하늘을 볼 수가 없다.
진짜 하늘을 보기 위해선 오직 바람에게 물어보아야 한다. 왜 바람일까. <계속>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