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달걀과 부활절 토끼의 유래

이미경 기자  mklee@chtoday.co.kr   |  

▲ⓒPexels

▲ⓒPexels

매주 부활 주일에는 달걀과 함께 귀여운 부활절 토끼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부활절 전통에 대해 궁금해 하는 이들이 많이 있다. 부활절 토끼와 부활절 달걀의 유래는 어디에서 시작됐을까?  

최근 영국 크리스천투데이는 부활절 토끼와 부활절 달걀 전통이 어디에서 시작됐는지에 관한 기사를 올렸다. 다음은 그 주요 내용.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시기도 전에 부활절 달걀은 이교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History.com에 따르면 달걀은 봄 시즌에 흔히 상징으로 사용된 새로운 삶을 상징한다. 그리스도인의 견지에서, 달걀을 사용하는 것은 부활절에 예수님이 무덤에서 부활하신 새로운 삶을 상징한다.

계란을 장식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전통은 사순절동안 계란 섭취가 금지된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 것으로 보인다. 대신에, 사람들은 금식과 고행의 끝을 상징하기 위해 달걀을 칠하고 장식했다. 부활절이 왔을 때, 그들은 축하의 형태로 계란을 먹었다.

부활절 토끼(Easter Bunny)의 기원은 기독교 이전의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동문학과 문화 플로리다 대학 센터(University of Florida's Center for Children's Literature and Culture)에 따르면 일부 사람들은 여전히 봄과 다산의 여신을 숭배하고 있었는데 토끼는 복제율이 높기 때문에 여신의 상징이었다. 가혹한 겨울에서 새로운 삶과 활력을 상징하는 봄으로, 토끼와 달걀은 점차 상호 연결됐다.

분명히, 토끼는 알을 낳을 수 없으므로 그것을 믿을만한 이유가 없다. 그러나 부활절 토끼와 부활절 계란을 즐기는 데 아무런 해가 없다. 아이들은 달걀을 그리는 것을 좋아한다. 이 부활절 전통은 재미있지만, 부활절의 진정한 의미와 하나님께서 우리를 위해 하신 일을 잊지 않아야겠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123 신앙과 삶

극복 스톤 롤 슬라이드 투쟁 어려움 저항 심연 도전 장애물 경험 불편 역경

회복탄력성, 넘어지지 않는 것이 아닙니다

은 현대 사회의 피상적 강함 개념을 넘어, 진정한 의미의 강인함을 새롭게 조명하는 책이다. 저자는 강인함이 단순한 공격성이나 무감정함이 아닌, 오히려 부드러움 속에 숨겨진 깊은 내…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미래목회포럼

“애국가, 신앙과 민족정신 만나 표현된 최고의 걸작”

애국가 통해 나라 사랑 되새기자 하나님만 독립 해방 주신다 고백 이념과 갈등 넘어 하나 묶을 도구 미래목회포럼(대표 황덕영 목사, 이사장 이상대 목사) 정기포럼이 ‘애국가와 나라사랑: 애국가에 담긴 하나님의 섭리’라는 주제로 5월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

금산교회

여성 차별과 신분제 타파, 문맹 퇴치와 한글 보급까지

3.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 남존여비로 여성 교육 전무 선교사들, 여성 교육 강조해 하나님 동일한 형상 일깨워 이화학당 등 교육기관 설립 내한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나타난 세 번째 큰 변화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였다. 이는 여성 교육과 여권 신장의 결…

거모연

감리교 ‘거모연’, 민주당의 ‘헌법 파괴적 입법’ 규탄

감리교 시민단체 ‘거센 파도를 이기는 모래알 연합’(대표 박온순 목사, 이하 거모연)이 8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청년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의 최근 입법 행보를 강력히 비판했다. 이들은 성명서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가 들어…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