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총무 이홍정 목사)가 정의·평화위원회와 인권센터 공동주최로 '제주 4.3 역사정의와 화해를 위한 기도회'를 4일 정오 서울 광화문 제주 4.3 추모부스(세종대왕상 뒤편) 앞에서 가진다.
NCCK는 '제주 4.3 70년, 아픈 역사의 정의로운 화해와 상생을 위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에서 "제주 4․3 사건은 해방공간에서 한국전쟁에 이르는 시기,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 장치된 구조적 폭력의 결과"라며 "민중들은 한반도의 영구분단을 막아내기 위해 몸부림쳤다"고 했다.
그러면서 "제주 4.3 사건의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함께 기도하겠다"며 "제주 4.3 사건의 '정의를 구체화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정책적 개혁'을 위해 기도하겠다. 제주 4.3 사건을 잊지 않고 '함께 기억하는 일'에 동참하며 기도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제주 4.3 사건에서 무고한 양민들의 희생이 있었으나, 이를 단지 영구분단을 막으려는 민중들의 몸부림에 대한 국가폭력으로만 간주하기엔 역사적 실체를 바로보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한다.4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 새벽, 약 350명에 달하는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대가 도내 11개 경찰지서와 독촉국민회, 서북청년회 등 우익단체를 습격해 사상자를 내면서 시작됐다. 무장대는 남한만의 단독 선거와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반미를 외쳤다.
이영훈 박사(전 서울대 경제사학 교수)는 그의 책 '대한민국 역사'에서 "제주 4.3 사건은 제주도의 공산주의세력이 대한민국의 건국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반란"이라고 했다. 물론 무장한 좌익세력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이 대거 희생되는 비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박사는 "대한민국은 출발과 동시에 두고두고 치유해야 할 깊은 상처를 안았다. 국가의 실체는 이념이며, 건국은 적대적인 이념을 배제하는 전쟁과도 같은 살벌한 과정"이라며 "그 같은 건국 과정의 벌거벗은 진실은 제주 4.3 사건에서 더없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