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밥 딜런은 모든 해답이 바람에게 있다고 했을까?

|  

[송영옥 박사 기독문학세계] 밥 딜런과 미국의 꿈, 인간의 꿈(9·끝)

▲젊은 시절의 밥 딜런.

▲젊은 시절의 밥 딜런.

'하나님이 운행하심, 오직 바람만이( The answer is blowin' in the wind).'

바람, 바람은 능동적이고 격렬한 상태에 있는 공기이다. 상징적 의미는 창조적 숨결이며 발산하는 그 무엇이다. 우주를 지배하는 일차적 요소이다.

스위스의 정신의학자로 분석심리학의 개척자인 칼 융(Carl Gustav Jung(1875-1961)은 바람이란 낱말은 숨결과 정신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소유한다고 했다.

왜 시인은 모든 해답이 바람에게 있다 하였을까. 꿈 꾸듯 바람에게 물어보라 하였을까. 생명권과 자유와 행복추구권..., 이 무거운 주제들의 해답, 그것은 문학을 통해 인간이 꿈꾸는 유토피아이다. 비록 세상 어디에도 없는 곳이지만 꿈꾸며 닿을 수 잇는 곳, 그 장소와 닿는 방법을... 바람은 알고 있다고 하였다.

생각해 보라. 바람이 가장 능동적이고 격렬한 상태가 되는 것이 태풍이다. 태풍은 물, 불, 공기, 대지, 네 요소의 융합으로 소생의 힘을 상징한다.

따라서 문학에서는 악의 힘도 되고 소생의 힘도 된다. 아기 울음 같은 순수한 생명의 숨결이 되는가 하면, 목마름이기도 하고, 갈증을 해소하는 생명수이기도 하다.

때론 창밖을 스쳐 지나가는 바람도 있다. 잠든 내 감성을 일깨우고 사랑의 추억을 되살린다. 나를 흔들며 애무하는 무형의 어떤 것, 그것이 문학 속의 바람이다.
 
풀잎의 시인 박성륭(1932-2002)의 고백을 보자.

바람이여
풀섶을 가던, 그리고 때로는 저기 북녘의 검은 산맥을 넘나들던
그 무형한 것이여
너는 언제나 내가 이렇게 한낱 나뭇가지처럼 굳어있을 때
와 흔들며 애무했거니
나의 그 풋풋한 것이여
불어다오
저 이름 없는 들풀들을 향한 나의 사랑이
아직은 이렇게 가시지 않았을 때
다시 한 번 불어다오, 바람이여
아 사랑이여.

그렇다. 한낱 겨울 나무가지처럼 굳어있을 때 찾아와 흔들어 애무하며 격려해주는 바람, 그것은 죽음을 극복하는 생명, 사랑을 상징한다.

바람이 태풍이던 날, 미국 현대사의 가장 중요한 현장 중 하나를 우리는 기억한다.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 1929-1968) 목사 가 이끈 워싱턴 행진(1963)과 그 현장에서의 밥 딜런의 노래 '배가 들어오네(When the Ship Comes In)'를. 킹 목사는 신의 자녀로서의 생명권과 자유와 행복 추구권을 선포하고, 딜런은 시로 그 길을 예비한다.

새 하늘과 새 땅의 도래, 모든 골짜기들은 메워지고, 모든 언덕과 산들은 낮아지고, 거친 곳은 평평해지고, 굽은 곳은 펴지고, 하나님의 영광이 나타나고, 모든 사람들이 다 같이 그 영광을 보게 될 그 하늘, 그 땅....

그때 사람들은 미국 문학의 위대한 정신, '블레이크와 휘트먼에게서 물려받은 그 횃불'이 타오른다고 했고, 피츠제럴드의 초록의 불빛이 찬란하다 했다. 정녕 밥 딜런을 밀턴이나 브레이크와 같은 위대한 기독 작가의 반열에 두기를 주저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다시 '바람'으로 돌아간다. 어쩌면  바람의 신학적 의미는 성령이 아닐까 싶다. 구약 성경에는  바람에 날개가 달렸다는 표현이 있다. 이는 신학적 의미로 하나님의 존재의 표현이라 했다. 사방에서 불어오는 네 개의 바람은 온전함의 의미이다.

예언자 예레미아는 '하늘 네 끝에서 오는 네 바람'을 하나님의 명령을 받는 존재로 묘사했다(렘 49:35-36 참조). 네 가지 바람은 하나님이 쓰시는 무기라는 뜻 아닐까. 다니엘서에도 하늘에서 불어오는 네 큰 바람이 큰 바다를 휘저었다 했다.

그렇다. 사방의 바람 같은 숨결과 정신과 상황을 하나님께서 조정하신다는 뜻이다. 인류의 역사에 하나님이 개입하시고, 인문학을 비롯한 문학과 모든 예술,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과 문명을 그 분이 운행하신다는 뜻이다.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영남신대 외래교수).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영남신대 외래교수).

'밥 딜런, 미국의 꿈 인간의 꿈', 이 주제를 끝맺음하면서, 나는 문학이 지닌 한 이야기를 들려주려 한다.

"독자가 문학 속에서 만나는 모든 주제들과 인물들과 이야기들은 하나의 커다란 서로 엉키어 있는 가족에 소속해 있는 것이다. ... 문학 속에서 독자는 다만 시나 소설만을 차례 차례 읽어 나가는 것이 아니라, 문학 작품 하나 하나가 그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완벽한 세계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노도릅 프라이)."

송영옥 작가(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