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금지법, 중대한 실수임을 깨닫게 될 것”

뉴욕=김유진 기자     |  

美 아시아 전문기자, 국제사회 반응과 자신의 견해 밝혀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김포에서 대북전단을 보내던 모습. ⓒ자유북한운동연합

▲자유북한운동연합이 김포에서 대북전단을 보내던 모습. ⓒ자유북한운동연합

미국의 베테랑 특파원이자 아시아 지역 전문기자인 도널드 커크(Donald Kirk)가 한국의 ‘대북전단금지법’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과 자신의 견해를 미국 월드트리뷴에 24일 기고했다.

그는 기고에서 “한국의 지도부는 탈북민들이 대북전단 살포 풍선을 발사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남북한의 언론과 정보의 자유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면서 “한국뿐만 아니라 유엔과 미국 의회에서도 기본적인 인권 침해라는 비난 반응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인 토마스 퀀타나(Tomas Quintana)의 ‘남북관계발전법’에 대한 철회 요청을 “가장 주목할 만한 반응”으로 꼽았다. 커크 기자는 “유엔 측이 이러한 조치를 취한 한국의 잘못을 찾아낸 것은, 탈북민들의 권리에 대한 이번 공격의 심각성을 다시 깨닫게 하는 충격적인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퀀타나가 이 법안을 반대한 두 가지 이유와 관련, “북한 주민은 전단에 포함된 뉴스와 견해들을 받아들일 권리가 있고, 전단을 기획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각을 말하고 전파할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또한 커크는 “전단이 북한 지도부에 타격을 준 것은 분명하다”면서 지난 6월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의 대남 비난 담화에 이은 개성공단 내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을 예로 들었다.

한국 정부의 대응에 대해 그는 “문 대통령은 북한은 합리적으로 상대할 수 없다는 반박하기 힘든 증거에도, 분노를 표하기보다 실망감과 상한 마음으로 응수했다. 문 대통령과 측근들에게는 유화정책(appeasement)이 기본적인 사안에 대해 중단한 지 오래인 대화를 복원할 가장 그럴싸한 방법일 것”이라면서 “북한이 이러한 접근 방식에 친절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생각은 순전히 환상(sheer fantasy)”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크리스 스미스(Chris Smith) 미 공화당 연방 하원이 11일 발표한 성명을 인용했다. 그는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불법화한 법안에서 알 수 있듯이, 문 대통령은 공산주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과도한 묵인 뿐만 아니라, 공산주의 중국에 대한 외교적 기울기에 있어서도 유죄”라며 “전 세계에서 가장 잔인한 공산주의 독재 정권 하에서 고통받는 이들에게 민주주의를 증진하고 정신적·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려는 행위를 범죄화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이 법안에 대한 반대는 문 대통령과 그의 정부에 심각한 당혹감이 될 조짐”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그는 “이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얼마나 강하게 압박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미국 차기 정부의 몫”이라고 밝혔다.

커크 기자는 또 “한국 정부의 (대북전단) 열기구 금지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감안할 때, 미국이 공식 외교적 차원에서 당장 이 논쟁에 휘말리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다.

그럼에도 “미 의회의 초당파인 톰 랜토스 인권위원회는 이 주제에 대한 긴 토론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어디에서나 인권 운동가들은 이 주제를 놓지 않을 것이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결국 이 법안에 책임이 있는 사람들은 ‘활동가들에게 재갈을 물린 것(muzzling the balloonists)’이 중대한 실수임을 깨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