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유현준 교수가 말하는 ‘코로나19 이후 교회 공간’ (中)
“교회는 건물이 아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교회에 대해 정의할 때 강조하던 대표적 경구 중 하나이다. 교회당 건물이나 신자들끼리의 모임을 너무 중시하기보다, 그리스도인 개개인이 각자 하나의 ‘교회’가 되어 세상 속에서 성도로서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하면, 이는 그만큼 성도들이 교회라는 ‘건물’ 내에서의 각종 활동이 신앙생활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코로나19로 교회당에서 예배드리지 못하게 되자, 많은 성도들이 혼란을 느낀 것도 사실이다. IT 기술의 발전으로 ‘온라인 예배’라는 대안이 마련됐지만, 만족하는 성도들이 있는가 하면 ‘현장 예배 회복’을 갈망하는 성도들도 적지 않다.
유현준 교수는 앞 편에서 ‘상가 교회’의 뛰어난 접근성을 부흥 요인 중 하나로 제시했지만,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에서는 ‘교회는 왜 들어가기 어려운가’라는 주제로 한 편의 글을 쓴 적이 있다. 규모가 비슷한 삼성동 봉은사와 역삼동 충현교회를 비교하면서, 교회 건물이 접근성이 좋지만 성도가 아니고서는 접근하기 어려운 이유는, 부담 없이 드나들 수 있는 ‘외부 공간’이 없고 대예배당은 주로 문이 잠겨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책에서 그는 “교회가 문턱을 낮추고 전도를 원한다면, 교회의 건축 공간 디자인부터 바꾸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썼다. 이번에는 비신자들의 교회에 대한 접근성 문제와 함께 코로나19 이후 교회 공간의 재구성 방안 등에 대해 함께 이야기했다.
카페? 현대인 필요한 공간, ‘공유 키친’부터 집에서
온라인 수업, 재택근무 힘든 이들 위한 공간일 수도
본질 지키면서 공간 나누고 공유하는 등 고민 필요
-앞에서 말씀하신 대로면 전염병 등으로 교회에서 계속 모이지 못할 경우 목사로의 권력 집중이나 말씀의 권위가 약해질 수 있는데, 이것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아니면 공간 재구성을 통해 다시 권위를 세워야 할까요.
“받아들여야 한다고 봅니다. 유대교에서 기독교로 넘어간 때를 생각해 봅시다. 유대교는 제사였습니다. 각을 뜨고 피를 흘리고 고기를 태우는 예식이 있었죠. 극소수 제사장만 할 수 있었고, 엄청난 권력을 가졌습니다.
그것을 한 방에 끝낸 것이 기독교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예배 형식이 다 바뀌었죠. 그 때까지도 그런 형식을 취했다면, 본질을 잃은 채 형식만 잡으려는 것이죠.
변하지 않는 것을 붙잡으려면, 세상이 변할 때 함께 변화해야 합니다. 그런데 형식도 안 바꾸겠다고 하다가, 정말 잃지 말아야 하는 것까지 잃어버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시대에 맞는 예배의 형식이 만들어져야 하지 않을까요.
우리는 예배당에 가서 찬송 부르고 회개기도 하고 성가곡 듣고 목사님 말씀 듣고 헌금하고…, 순서가 있습니다. 이 순서도 언젠가부터 생긴 것이지, 영원한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이 시대에는 모든 것이, 특히 공간적인 것들은 IT 기술을 통해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IT 기술이 공간의 의미를 바꿉니다. 화장실에 앉아서 사무를 볼 수도 있고, 카페에서도 일을 하고, 사무실에서도 친구와 채팅하면서 놀기도 합니다. 한 공간이 하나의 기능만 시대는 끝났습니다. 그런데 하나의 공간만을 고집한다면, 오히려 더 많은 것을 잃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회도 카페나 체육시설을 설치하는 등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공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왜 비기독교인들은 잘 들어오지 않을까요.
“저희는 세상과 구분을 추구해 왔습니다. 사람을 볼 때도 교인과 비교인을 나눠서 봅니다. 그런 시각을 밖에서도 똑같이 느낄 것입니다. ‘저기는 내가 갈 곳이 아니고, 나는 저 무리의 일부가 아니구나’.
너무 오래된 일이라 기억을 못하실텐데, 처음 교회 갔을 때를 생각해 보세요. 엄청난 소외감과 이질감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형제님, 자매님’도 바깥에선 안 쓰는 말이고, 긍휼, 은혜 등의 용어들이 ‘그들만의 문화’를 만들고 있죠. 제가 이슬람 예배당 안에 들어가기 어려운 것과 같다고 봅니다.”
-하지만 세상을 따라가다 그들과 다를 바 없어질 수도 있을텐데요.
“소금이 그 맛을 잃으면 길에 버리워진다는 말씀처럼, 사실 둘 사이의 밸런스를 맞추기가 쉽지는 않다고 봅니다. 쉽게 찾을 수 있는 답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세상과 구별되면서도, 수고하고 짐진 자들이 누구나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시대에 필요한 공간이 어쩌면 카페가 아닐 수도 있죠. 지금 필요한 공간은 온라인 수업을 들을 수도 없는 곳에서 사는 사람들을 위한 공간이나, 좁은 원룸에 살다 보니 재택근무가 힘든 이들을 위한 공간일 수도 있습니다.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유 키친’이 될 수도 있고요.
기독교의 가장 핵심은 사랑이잖아요? 어려운 사람을 돕는 일도 그 일환일 것입니다. 이웃 사랑을 공간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것이고, 구체적인 내용은 각 지역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교회가 제공할 수 있는, 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공간은 무엇일까요.
“이 사회는 위로받고 싶고 많은 사람들이 쉬고 싶어합니다. 그런데 도시에서 그럴 수 있는 공간이 많지 않습니다. 돈을 내야 쉴 수 있는 공간만 많고 앉아있을 벤치도 잘 없기 때문에, 교회가 할 수 있는 역할은 향후 훨씬 더 많아질거라고 봅니다.
특히 앞으로 공간은 점점 부익부빈익빈이 될 것입니다. 전염병이 심해질수록 밀도가 낮은 공간이 안전한 공간이 되기 때문입니다. 돈이 많은 사람들을 VIP라고 한다면, 기업들은 그들이 밀도가 낮은 곳에서 소비하게 만들고 싶을 것입니다.
공간이 제한적이라면, 상위 1%를 위한 밀도 낮은 공간이 점점 치고 내려올 때 나머지 99%의 공간은 점점 줄어드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 99%는 점점 온라인 공간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습니다.
대형마트들도 요즘 장사가 안 됩니다. 온라인 공간에서 쇼핑을 하기 때문입니다. 물건을 사는 데는 시간이 많이 드는데, 온라인에서는 시간이 얼마 안 걸립니다.
중산층들이 온라인 쇼핑으로 많이 가는 이유는, 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내가 시간을 들이고 노동을 들이고 품을 팔아서 먹고 사는 중산층에게는 시간이 중요합니다. 때문에 상업 행위도 점점 온라인으로 가게 됩니다.
앞으로 이들의 삶의 공간들은 온라인의 비중이 점점 늘어나고, 오프라은 오히려 단가가 높아지면서 돈 많은 사람들의 전유물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장면을 영화 <기생충>에서 볼 수 있습니다. 반지하 사는 가족은 와이파이를 꼭 찾아야 하는데, 부잣집은 거실에 TV가 없습니다. TV를 볼 필요도 없다는 말이죠. 책도 마당에서 읽고, 아이도 게임 대신 텐트 치고 놀잖아요.
이처럼 여유가 많은 사람일수록 오프라인 공간을 많이 점유하리라 봅니다. 그런데 교회는 도시에서 오프라인 공간을 곳곳에 많이 소유하고 있죠.
공간에 비해 교인이 줄었다면, 과감하게 예배당 공간을 줄이는 대신 다른 공간을 늘릴 수 있겠죠. 휴식할 수 있는 야외 공간을 늘린다든지, 여러 방법으로 공간 구성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세종시 한성교회를 설계하셨는데, 건축 후 비기독교인들도 교회 건물에 잘 드나드는 편인가요.
“일반인들도 오간다고는 들었지만, 얼마나 오는지는 모르겠습니다. 듣기로는 한 무속신앙인이 들렀다가 회심한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철판으로 만든 교회 십자가가 흔들리면서 마치 숲에서 듣는 것처럼 나뭇잎 소리가 나는데, 그 소리에 이끌려 들어와서 회심하셨다고 합니다.
그분이 왜 오셨을까 생각해 봤는데, 우리나라 무속신앙에서 쇠붙이로 된 ‘딸랑이’를 많이 쓰잖아요? 금속성의 불규칙한 소리들 말입니다. 그 파장을 생각하면, 그 분의 정서와 잘 맞지 않았나 싶습니다.”
-교회 건축 의뢰가 많이 들어오는 편인가요.
“코로나 이후에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제 삶에서 유일하게 건축한 교회가 말씀드린 세종시 한성교회입니다. 전무후무합니다. 거부한 것은 아닌데, 안 오시더라고요(웃음). 그것도 공모전으로 어렵사리 할 수 있었습니다. 그 목사님께서 교회 건축을 안 해본 곳에 맡기고 싶다고 하셔서 가능했습니다.
설계비가 비싸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 비싸지 않을 때도 잘 오지 않으셨어요. 사실 교회를 멋지게 지어보고 싶다는 생각으로 건축을 공부했는데, 실제로는 그러지 못했네요. 앞으로도 그럴 것 같습니다.”
-앞으로 건축할 수 있는 교회 숫자도 줄어들지 않을까요.
“다르게 볼 수도 있습니다. 교회의 구성과 숫자가 바뀌고 운영 체계가 바뀔 가능성이 있지 않습니까? 상가 교회라면 좀 다르겠지만,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는 교회라면 그 공간을 다르게 개발할 수 있겠죠.”
-아예 1-2층은 지역 주민들을 위해 내어주는 방법도 있겠네요.
“네, 그렇죠.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 봐야 합니다. 하지만 교회가 시장을 교란해서는 안 되잖아요. 교회 카페에서 커피 한 잔을 1천원에 내놓으면, 주변 카페들이 다 망하지 않겠습니까. 그것도 올바른 방법이 아니예요.
어떻게 주변에 민폐를 끼치지 않으면서 소통할 수 있을까 생각해야 합니다. 교회는 일요일만 집중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고, 나머지 6일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공간을 잘게 쪼개서 주중에는 공유 오피스로 제공하고, 주말에는 분반공부실로 쓸 수도 있을 것입니다. 체계를 잘 만들면 충분히 ‘윈윈’할 수 있는 일들이 생길 것입니다.
교회가 성장을 멈추고 수축하게 되면, 맨 먼저 들어오는 것이 교육시설입니다. 미국 교회들에 가 보면, 데이케어 센터나 유치원이 꼭 들어가 있습니다.
미국도 교인이 줄고 정체된 상황인데, 부흥기 때 지었던 건물을 유지하기 위해 낮에는 데이케어 센터에 임대를 줍니다. 심지어 주일에도 오전에는 한인 교회에 임대를 하고 자신들은 오후에 예배를 드리기도 합니다.
이런 새로운 운영체계를 만들어, 경제적 어려움을 돌파하는 것입니다.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공간을 나누거나 함께 사용하는 등 여러가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요즘에는 대형교회들이 자체 건물을 갖지 않고 학교를 빌리기도 합니다. 특색 있게 학교 건물을 지어주고 교회가 주말에 사용할 수도 있을텐데요.
“좋죠. 하지만 허가가 잘 안 납니다. 교육청에서 싫어하거든요. 교육계 따로 종교계 따로 가는, 우리 사회의 이런 모습들이 신기술이 등장하는 인터넷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사실 맞지 않습니다. 다른 부서들과 더 창의적으로 협업할 때가 됐다고 봐요.”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