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위구르 독립 운동 단체, 미 국무부 앞 시위

뉴욕=강연숙 기자     |  

“대량학살 막아 달라… 바이든의 ‘다른 규범’ 발언에 격분”

▲18일 미 국무부 앞에 위구르 시위자들이 모인 가운데 ‘동투르키스탄 망명 정부’의 살리 후 다야르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크리스천포스트 제공

▲18일 미 국무부 앞에 위구르 시위자들이 모인 가운데 ‘동투르키스탄 망명 정부’의 살리 후 다야르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 ⓒ크리스천포스트 제공

18일 미국 워싱턴 D. C.에서 동투르키스탄의 독립과 신장 위구르 족에 대한 보호를 지지하는 시위가 열렸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동투르키스탄 국민각성운동(East Turkistan National Awakening Movement)’과 연계된 이 시위대는 국무부 본부인 해리 S. 트루먼 빌딩 앞에 모여 중국에 대한 보이콧을 촉구했다.

이 단체는 중국 정부가 동투르키스탄을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인정하도록 안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미국 국무장관이 압박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시위대는 ‘중국 제재’와 ‘2022년 중국 올림픽 보이콧’, ‘동투르키스탄에서의 대량학살 종식’ 등의 구호를 외쳤으며, 이 지역의 위구르 족에게 대피소를 제공하도록 요청했다.

워싱턴 D. C.에 본사를 둔 ‘동투르키스탄 망명 정부’의 살리 후 다야르(Salih Hudayar) 총리는 시위에 앞서 CP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위구르 탄압에 대해 “미국 정부가 대량 학살로 지정할 것을 강력히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 정부에 “동투르키스탄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제로 상정하고, 유엔의 대량학살 협약과 보호 책임에 대한 약속 이행을 촉구한다”며 “2022년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보이콧과 함께 전 세계가 위구르 족에 ‘난민 지위’를 부여할 것”을 요청했다.

이날 연설을 맡았던 후다야르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위구르인에 대한 집단 학살을 ‘다른 규범’이라고 언급한 데 대해 자신이 “심각하게 격분했다”고 털어 놓았다.

바이든은 지난달 16일 CNN이 주최한 타운홀 미팅에서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정상 통화 내용을 밝히면서 “당시에 내가 하나의 중국 정책을 강제적으로 끝내고자 하거나 그가 홍콩, 대만, 중국 서부의 위구르에서 하는 일들에 반하는 말은 하지 않을 것임을 그(시 주석)는 이해했다”면서 “문화적으로 각 나라와 그 지도자들이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규범이 있다”고 했다.

후다야르는 이와 관련, “중국 정부는 국제사회가 강력한 조치를 취할 때까지 동투르키스탄의 위구르족과 투르크족에 대한 집단 학살을 중단하지 않을 것”이라며 “관세 인상이나 제재가 더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그는 미국 정부가 신장위구르에서 생산된 모든 제품의 미국 수입을 금지할 것을 촉구했다.

동투르키스탄 국민각성운동 여성가족국장인 아만니사 무클리스(Amannissa Mukhlis)는 이날 시위 군중들에게 위구르 여성과 어린이들이 겪은 피해들을 열거했다.

무클리스는 “지난 40년 동안, 중국 정부는 가족계획을 구실로 동투르키스탄에서 400만 명 이상의 아기를 낙태시켰다”며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는 수십만 명의 위구르인과 투르크인 여성들을 강제로 불임시켰고, 이는 우리 인구가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호주전략정책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2017부터 2019년까지 8만여 명의 위구르족이 신장을 떠나 중국 전역의 공장에서 강제 노역에 동원됐다.

또한 보고서는 애플, 나이키, 아디다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타미힐피거 등 80개 이상의 다국적 기업이 위구르인들의 강제 노동에서 “직간접적인 혜택”을 얻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외에도 아마존, 델, 갭, 제너럴일렉트릭, 빅토리아 시크릿 등 많은 기업들이 강제 노동의 수혜를 받고 있지만, 일부 브랜드만이 현지 공급 업체와의 관계를 해지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