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사역연구소 “청년들 교회 이탈에 가속도… 자립, 자치, 자생력”
1. 청년 중심의 사고와 의견 청취
2. 청년 재정 독립 통한 주인의식
3. 교회 사역 선택과 참여 기회를
4. 교회와 유기적 연합 가르치기
5. ‘새 포도주 새 부대’ 실험 계속
6. 봉사자 아닌 양육 대상 여기기
7. 적절한 사랑과 관심, 한계선도
청년사역연구소(대표 이상갑 목사)에서 ‘청년부를 소생시킬 믿음의 실험’ 7가지 방안을 SNS에서 제시했다.
이에 앞서 연구소 측은 “나는 폭풍의 눈 한 가운데 있는 한국교회를 본다. 가장 큰 증상은 청년부가 팍팍 쪼그라들어 간다는 것이다. 이미 오래 됐다”며 “그런데 장년과 노년에 초점이 맞춰진 교회는 그걸 모른다. 아니 어쩌면 모른 척 하거나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곳곳에 청년을 살려야 한다는 풍성한 말잔치가 많다. 행사 치레다. 그런데 그 시간조차 얼마 남지 않았다. 청년들의 교회 이탈에 가속도가 붙고 있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연구소 측은 “청년부를 소생시킬 믿음의 실험을 해야 한다. 그것은 청년들의 자립, 자치, 자생력을 키워주는 것”이라며 아래 7가지를 소개했다.
이들은 “이 글이 청년부를 세워가는데 작은 도움이라도 되기를 바라며, 이 글을 담임목회자와 청년사역자가 읽고 고민하고 당회원, 그리고 중직자가 읽고 청년부를 이해하고 배려해 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다음은 그 전문.
첫째, 청년 중심의 사고를 하고 청년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라.
청년들의 소리를 공유, 공감, 소통하는 작업은 청년성을 지키게 한다. 또한 청년들이 주체적인 신앙인으로 성장하게 한다. 어린 아이로 대하지 말고 성인으로 인식하고 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청년 재정을 독립시켜서 주인의식을 갖게 하라.
청년 재정 독립은 사역적 독립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주인의식을 갖게 한다. 개인적으로 담임목회를 시작하면서 1년 동안 준비하여 청년부 재정을 독립시켰다. 감사하게도 당회와 재직회 모두 지원하여 지지해 주셨다.
셋째, 청년들에게 무조건 당회가 결정했으니 따르라고 하기 전에, 청년들에게도 선택과 결정에 참여할 기회를 주라.
청년들에게 중요한 결정을 할 때, 담임목사 마음대로가 아닌 당회 의견대로가 아닌, 함께 회의하고 제안을 하였다. 그리고 거부할 수 있는 권리를 주었다. 대신에 교회와 유기체이기에 교회의 고민을 존중하게 하였다.
넷째, 청년들도 교회와 유기적으로 연합함을 배우게 가르치라.
청년들과 대화하면서, 청년들의 의견을 경청한다. 그래서 공유, 공감할 것은 하면서도 바로잡을 것이나 설득할 것은 소통하는 시간들을 통해 바르게 나누려고 노력하곤 한다.
교회 공간의 문제도 개인적으로 청년들 의견을 존중하였다. 청년들의 말이 맞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시에 교회 전체적 입장도 있다. 교회는 서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영적 유기체이기 때문이다.
청년들의 의견도 존중하고 청년들도 교회 전체의 고민을 존중하는 것을 가르쳐 주었다. 가르칠 것은 잘 가르쳐 주어야 한다. 그리고 서로 우기지 않고 배워야 한다.
다섯째, 새 포도주를 새 부대에 담으려는 실험과 시도를 멈추지 말라.
청년 예산을 독립시키면서 고민한 것이 있다. 청년들이 예산을 마음대로 사용하는 개념이 아니라, 투명하게 관리하기를 배우고 하나님의 뜻을 찾고 구하고 두드리게 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렇게 부탁했다. “예산의 50%는 너희만 위해서 사용하지 말고, 흘려 보내라. 기성세대를 넘어서라. 예수님이라면 어떻게 하실까를 고민하며 그 일을 해라.”
시대가 바뀌고 있다. 바뀌는 시대를 따라 잡으려면 새 부대가 준비되어야 한다. 원칙과 기본에는 충실해야 한다. 동시에 새로운 실험과 시도를 계속 해야 한다. 감사하게도 청년들은 서서히 그러한 실험과 시도를 해 간다. 나는 기다려주고 지원하고 지지한다.
여섯째, 청년을 봉사자로만 생각하지 말고 양육 대상으로 이해하라.
청년들이 봉사의 자리에 오지 않는다고 야단치는 경우를 본 적이 있다. 그런데 왜 오지 않는지 고민하지 않는다. 우리 때는 안 그랬다고 생각할 뿐이다.
중요한 것은 양육이 우선되지 않는 봉사는 지치고, 결국 신앙의 자리에서 떠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청년들을 일만 시켜서는 안 된다.
청년들의 경우 1차적으로는 양육 대상자이다. 그들은 양육받고 훈련되어야 한다. 양육과 봉사를 함께 시키든지, 여유가 있다면 양육 훈련 이후에 봉사를 하게 하라.
봉사는 하지만 양육이 빠지면 어느 순간에 공허해진다. 그리고 신앙의 자리를 이탈하게 된다. 깊이 생각할 지점이라고 본다.
일곱째, 적절한 사랑과 관심을 가지되, 한계선을 두라.
당회가 청년부에 지나치게 간섭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한계선을 아는 것이 지혜다. 사실 마음 속에서는 집을 지었다 허물었다 하기를 수없이 반복한다. 그러나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고 커가는 것을 참고 기다려 주어야 한다고 믿는다. 쉽지 않다. 그래도 가야 할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