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아이다호주지사, 낙태 지원자금 금지법 서명

뉴욕=김유진 기자     |  

▲브래드 리틀 아이다호 주지사. ⓒ아이다호주 홈페이지

▲브래드 리틀 아이다호 주지사. ⓒ아이다호주 홈페이지

미국 아이다호 주에서 낙태 홍보 및 시술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하고, 낙태 업체가 공립학교에서 성교육을 하는 것을 금지하는 새로운 법을 채택했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에 따르면, 11일 공화당 소속 브래드 리틀(Brad Little) 아이다호주지사는 하원 법안 22호인 ‘낙태 행위에 대한 공적기금 금지법’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가족계획연맹(Planned Parenthood)’과 같은 낙태 업체에 대해 자금 지원을 철회한다.

법안은 또한 낙태 업체가 성교육을 하기 위한 계약을 공립학교와 체결하는 것을 금지하고, 공립 대학 및 대학교가 낙태 약물을 제공하는 것도 금지한다.

새 법은 또한 보이즈시가 낙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체들과 계약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다. 크리스천포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로렌 맥린(Lauren McLean) 보이즈 시장이 모든 주민들에게 무료로 피임과 낙태, 성적 위생 건강 관리를 제공하라고 지시한 정황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나타났다.

아이다호의 보수단체인 ‘가족정책연대(Family Policy Alliance)’에 따르면, 이러한 약물과 낙태 상담은 현재 보이즈주립대학교, 아이다호대학교 및 주립대학교 내에서 학생 보건소를 통해 제공되어 왔다.

블레인 콘자티(Blaine Conzatti) 아이다호 가족정책연대 사무국장은 이 법안을 환영했다. 그는 “올해 초 입법회의가 시작되었을 때 가족계획연맹과 다른 낙태 제공업체에 대한 자금 지원을 철회하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 중 하나였다”며 “절대 우리의 세금으로 (낙태) 보조금을 줘서는 안 된다. 아이다호 공립학교 학생들이 낙태 산업을 통해 성을 배워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새 법안이 “학생과 취약계층 여성, 열심히 일하는 납세자들을 ‘거대 낙태’ 로비로부터 보호한다”며 “우리는 주지사가 너무 오랫동안 정부의 큰 혜택을 받아온 낙태 제공자로부터 납세자 자산을 보호하는 이 중요한 친생명 개혁에 서명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반면 이 법안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낙태 공적기금 금지법’이 낙태 단체와 관련된 진료소들을 폐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로 인해 많은 여성들이 암 검진, 피임 및 기타 건강 관리를 받을 기회가 줄어든다는 주장이다.

민주당 소속의 크리스 마티아스(Chris Mathias) 아이다호 하원 의원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아이다호는 의료관리 부족을 겪고 있는 주이며, 주치의나 간호사, 병원이 충분치 않다”며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보험에 가입한 사람도 충분하지 않다”고 했다.

이 법안은 하원 표결에서 찬성 55대 반대 14로 통과되었으며, 공화당 의원 3명과 민주당 의원 11명이 반대표를 던졌다. 이 법안을 후원한 공화당 소속의 브루스 스카우그(Bruce Skaug) 하원의원은 “새 대통령 행정부와 함께 타이틀X[가족계획] 기금이 낙태 친화적인 상담센터, 산아제한형 클리닉으로 유입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새 법안이 이를 방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