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제약, ‘제주삼다수와 건강한 수분 섭취!’ SNS 이벤트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당신의 건강한 수분 섭취 방법을 들려주세요”

SNS서 여름철 ‘생수’ 통한 올바른 수분 섭취법 알려
카페인·탄산음료, 마신 양의 1-2배 수분 배출 가능성

‘제주삼다수’ 소매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광동제약(대표이사 최성원)은 여름철 건강한 수분섭취 방법을 알리는 SNS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참여형 이벤트를 마련했다.

이번 캠페인은 소비자들과 건강을 위한 올바른 수분 섭취 방법을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캠페인은 수분 섭취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는 반면, 좋은 물을 통한 수분 섭취 비율은 감소하는 배경에서 마련됐다.

한국영양학회가 내놓은 ‘국민 공통 식생활지침 개정연구(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물 충분 섭취자’ 비율은 2015년 42.7%에서 2018년 39.6%로 감소하고 있다. 반면 음료를 통한 수분 섭취량은 조사 전 연령, 성별에서 늘었다.

국내 음료시장에서 커피음료와 탄산음료가 전체의 50%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물 대신 카페인·탄산음료를 통해 수분 섭취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식약처 등의 자료에 따르면, 커피 등의 카페인 음료는 이뇨 작용을 촉진해 마신 양의 2배 정도의 수분을 배출시킨다. 음료 섭취가 오히려 탈수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탄산음료에 포함된 당 성분도 체내 삼투압을 높여 그만큼 수분이 더 필요하게 만들기 때문에, 수분 섭취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건강한 신체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카페인 음료나 탄산음료 섭취를 줄이고 건강한 물 위주의 수분 섭취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광동제약은 소비자들에게 올바른 수분섭취 방법을 알리기 위해 준비한 이번 이벤트를 오는 7일까지 진행한다.

광동제약 인스타그램 계정 내 이벤트 게시물에 ‘나만의 건강한 수분 섭취 방법’을 댓글로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제주삼다수 가정배송서비스인 ‘삼다수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적립금을 지급한다. 총 40명을 대상으로 △1등 30,000포인트 (10명) △2등 10,000포인트 (10명) △3등 5,000포인트 (20명)를 증정한다.

이벤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광동제약 인스타그램(@kwangdong_official)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최근 5년 간 생수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한 것과 달리, 물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사람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건강한 수분 섭취 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이번 캠페인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건강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소비자와 소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동제약이 소매 유통을 맡고 있는 제주삼다수는 한라산 국립공원 내 해발 1450m에서 생성된 후 18년 간 천연 필터인 ‘화산 송이’를 거치며 이물질은 걸러지고 몸에 유익한 미네랄이 균형감 있게 녹아든 천연 화산암반수이다.

국내 생산 먹는 샘물(생수) 브랜드 중 유일하게 단일 수원지에서 생산돼 어디에서나 동일한 품질의 제품을 만날 수 있다. ‘좋은 물’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바탕으로 성장해 출시 직후부터 현재까지 23년 간 국내 생수 1위를 지키며 ‘국민 생수’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