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9일 한글날, ‘훈맹정음’을 아시나요?

|  

[그레이스 감동 영어 독해 13] 또 하나의 언어

딱딱한 예문이 아니라, 은혜와 감동의 글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영어를 배울 수 있다면? 본지는 매주 한 편씩 한글과 영어로 된 감동 스토리를 연재합니다. 연재하시는 최그레이스 선생님은 미국 유학을 마치고 현재 서울 성북구 정릉에서 영어학원을 운영 중입니다. ‘최 쌤’은 “영어 공부와 함께 작은 행복을 누리시길 소망한다”고 했습니다. -편집자 주

▲국내 최초 한글점자 ‘훈맹정음’. ⓒKBS 캡처

▲국내 최초 한글점자 ‘훈맹정음’. ⓒKBS 캡처

15. 또 하나의 아름다운 언어, 훈맹정음
Another beautiful language, Hunmangjeongum

One thing that represents the identity of a country is language.
한 나라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것 중 하나는 언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We Korea have Hunminjeongum, which was created by King Se-jong in 1446 and celebrate Hangul day every year.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1446년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가지고 있고, 매년 한글날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However, we have another language never to be forgotten.
그러나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우리의 언어가 하나 더 있습니다.

It is Hunmangjeongum.
그것은 바로 훈맹정음입니다.

Hunmangjeongum is a language for the blind, which was announced on November 4th 1926 by teacher Du-seong Park.
훈맹정음은 박두성에 의해 1926년 11월 4일에 발표된 시각장애우를 위한 언어입니다.

This is made for the blind to read letters by touching the combination of 6 dots through the way Hangul is read.
이것은 시각장애우들이 한글과 같은 원리를 통해 6개의 점의 조합을 촉각으로 읽도록 만들어졌습니다.

Thanks to his effort, many of the blind could both listening and reading today.
박두성 선생의 노력 덕분에, 오늘날 많은 시각 장애우들이 듣는 것과 읽는 것이 가능하게 된 것입니다.

A girl who has been studying with me for years, mainly studies with this braille book. Also, the braille information device called ‘Hansone’ was invented, they have come to close to various reading materials.
저와 함께 공부하는 한 시각장애우 학생도 이 점자 책으로 공부를 하며, 또한, ’한소네‘ 라는 ’점자정보단말기‘ 가 발명되어 다양한 읽기 자료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Nevertherless, a device usually costs more than one hundred won, they could borrow the device during their school life.
그럼에도, 한 기기 당 백만원 이상의 비용이 들기에, 그들이 정규 학교를 다니는 동안에는 학교에서 대여를 합니다.

But, it should be returned to the school after graduation.
그러나, 졸업 후에는 그 기기를 다시 반납해야 한다고 합니다.

I think how to read is important, but how to understand has more crucial role in reading.
글을 어떻게 읽느냐도 중요하지만, 글은 또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

Although the blind are not able to read books with their physical eyes, I convince that they can read and understand with their ability to think. I truly support their studying as always.
눈으로 직접 책을 보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사고력으로 이해하는 시각 장애우들을 학업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최그레이스 선생님.

▲최그레이스 선생님.

그레이스 최(썸 영어학원)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