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낙태율, 10년간 감소세였다가 최근 2년 상승

뉴욕=김유진 기자     |  

미국 47개 주와 뉴욕시 실태 보고서

2010년부터 하락세던 낙태율, 2019년 1.7% 증가

ⓒUnsplash/HuChen

ⓒUnsplash/HuChen

2010년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던 미국 내 낙태율이 최근 2년간 증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미국 크리스천포스트가 보도했다.

지난달 26일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미국 47개 주와 뉴욕시가 제공한 통계를 바탕으로 발표한 ‘낙태 감시 보고서’에 따르면, 낙태율은 2019년 이후 소폭 증가했다.

CDC는 미국에서 합법적인 낙태 시술을 받은 여성의 수와 특성 및 낙태 관련 사망자 수를 바탕으로 이 보고서를 작성했다.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보고된 낙태 건수는 62만 5,346건으로 2018년 61만 4,820건보다 1.7% 증가했다. 컬럼비아 특별구의 통계를 더하면 62만 9,898건으로 증가한다. 이는 캘리포니아, 메릴랜드, 뉴햄프셔주는 포함되지 않은 수치다.

가임기 여성(15-44세) 1,000명당 낙태율은 2018년 11.3건에서 2019년 11.4건으로 소폭 증가했고, 정상 출산아 1,000명당 낙태율은 2018년 189건에서 2019년 195건으로 증가했다.

낙태 건수, 가임기 여성 낙태율,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은 2010년 이후 전반적으로 감소하다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증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가임기 여성 낙태율이 21%(1,000명당 14.4건),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은 13%(1,000명당 225 건)이며, 전 연령대의 여성에서 낙태율은 감소했다.

특히 이 기간 동안 청소년의 가임기 여성 낙태율이 가장 크게 감소했고,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은 40대 미만 여성이 타 연령대에 비해 가장 낮았다.

2017년은 낙태 시술 건수가 60만 9,095건으로 줄었으며, 가임기 여성 낙태율(1,000명당 11.2건),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1,000명당 186건) 모두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9년 한 해 동안 낙태 약물을 복용하는 ‘화학적 낙태(Chemical Abortion)’는 전체 낙태의 43.7%를 차지했다. 이는 2018년 화학적 낙태 비중(40%)보다 3.7% 증가한 수치다.

전체 낙태 건수에서 ‘외과적 낙태(Surgical Abortion)’가 차지한 비중은 2018년 59.9%에서 2019년 56.2%로 낮아졌다. 이에 대해 친생명 단체들은 화학적 낙태가 산모의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해 왔다.

보고서는 2019년 비히스패닉계 흑인 여성의 가임기 여성 낙태율(1,000명당 23.8건)과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1,000명당 386건)이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동시에 비히스패닉계 백인 여성의 가임기 여성 낙태율(1,000명당 6.6건)과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1,000명당 117건)은 가장 낮았다.

뉴욕시는 최근 2년 연속으로 가임기 여성 낙태율(1,000명당 27.2건)와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1,000명당 472건)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미주리주는 2019년 가임기 여성 낙태율(1,000명당 1.2건)과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1,000명당 20건)이 가장 낮았다. 이는 2018년 가임기 여성 낙태율(2.5명)과 정상 출산아 대비 낙태율(40명)에 비해 절반으로 줄어든 결과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바이어하우스학회

“북한 열리면, 거점별 ‘센터 처치’ 30곳부터 세우자”

지하 성도들 단계적 준비시켜 각 지역별 사역 감당하게 해야 과거 조선족 교회 교훈 기억을 자치·자전·자립 네비우스 정책 주신 각 은사와 달란트 활용해 의료와 복지 등으로 회복 도모 제10회 바이어하우스학회(회장 이동주 교수) 학술 심포지엄이 4월 11일 …

이세종 심방

“심방, 우리 약점 극복하게 하는 ‘사역의 지름길’”

“열 번의 단체 공지보다 한 번의 개인 카톡이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문자보다 한 번의 전화가 더 효과적이다. 열 번의 전화보다 한 번의 심방이 더 효과적이다.” ‘365일 심방하는 목사’ 이세종 목사의 지론이다. 저자가 시무했던 울산교회 고등부는 심방을 …

대한성서공회

지난해 전 세계 74개 언어로 성경 첫 번역돼

성경전서는 총 769개 언어 번역 아직 전체 48% 언어 번역 안 돼 새 번역된 74개 언어 중 16개는 성경전서, 16개 신약, 42개 단편 2024년 말 기준 세계 성서 번역 현황이 발표됐다. 전 세계 총 7,398개 언어 중 성경전서는 769개 언어로 번역됐고, 지난 1년간 74개 언어로 처…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