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려주일 의미, 사순절 중 부활절 전 주일, 이후 고난주간

이대웅 기자  dwlee@chtoday.co.kr   |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주님의 모습을 그린 성화. ⓒ위키피디아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주님의 모습을 그린 성화. ⓒ위키피디아

부활절을 1주일 앞둔 주일인 2022년 4월 10일은 교회력으로 ‘종려주일(棕櫚主日, Palm Sunday)’이다. 다음날인 11일부터 부활절 전날인 16일까지는 ‘고난주간(苦難週間, passion week)’이다.

종려주일이란, 예수님께서 십자가 죽음을 위해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날을 기념하는 절기이다. 마태, 마가, 누가, 요한 복음 등 사복음서 모두에 기록돼 있다(마 21:1-11, 막 11:1-11, 눅 19:28-38, 요 12:12-19).

특히 올해는 러시아 푸틴에 의해 불법 침공당한 우크라이나 성도와 국민들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는 종려주일과 고난주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성경에서 종려나무는 의와 아름다움, 승리 등을 상징한다. 예수님께서는 이날 나귀를 타시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셨으며, 많은 사람들이 겉옷을 길에 펴고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면서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가장 높은 곳에서 호산나”라고 외쳤다.

종려주일에 대한 가장 오래된 역사적 문헌은 385년 에게리아(Egeria)의 순례집에 나온다. 당시 동로마 교회에 속했던 예루살렘 교회에서는 축하의 의미로 ‘종려 행렬’이 나섰다. 반면 서로마 교회들은 축하 분위기 대신 애도의 성격도 갖고 있었다. 6세기경 스페인 의식서를 보면, 5세기경 동로마 교회의 종려주일 풍습이 전해졌음을 볼 수 있다.

이후 중세에는 한 교회에서 예배를 드린 다음, 가까이 있는 다른 교회로 걸어가는 것이 종려주일 관습이었다고 한다. 성도들은 종려주일이 되면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면서,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되새겼다.

축성 의식을 행하기도 했다. 축성(祝聖)이란 성례에 쓰이는 물건 등을 정해진 의식을 통해 성스러운 것으로 구별하는 가톨릭 의식으로, 구약의 성별 의식(출 40:9-15)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한다.

중세 교회에서는 종려주일에 사용하는 종려나무 가지에 축성 의식을 행했다. 축성된 종려나무 가지는 귀신을 추방하거나 질병의 치유와 재앙을 막는 능력이 있다고 믿기도 했다.

‘수난주간(受難週間)’으로도 불리는 고난주간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과 죽음을 기념하는 절기로, 종려주일 다음 날부터 부활 직전까지의 1주일 간을 말한다.

성도들은 고난주간이 되면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묵상하며 경건하게 보냈다. 특히 최후의 만찬과 세족식을 기념하는 목요일, ‘세족 목요일(洗足 木曜日)’과 주님이 십자가 달려 돌아가신 금요일인 ‘성금요일(聖金曜日, Good Friday)’은 더욱 경건하게 보낸다. 오락을 금하고 금식을 하기도 한다.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Luther)는 고난주간에 행해지던 로마 가톨릭 의식들을 대부분 폐지했으나, 츠빙글리(U. Zwingli)의 영향 아래 부분적으로 회복이 이뤄졌다.

오늘날에는 교파에 따라 다양하게 지켜지고 있으며, 특별 새벽기도회나 저녁모임 등을 열어 경건하게 보내고자 노력한다. ‘성금요일’ 저녁에는 많은 교회들이 모여 주님의 십자가 고난을 깊이 묵상하게 된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로 빅텐트를”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국민운동본부’(상임 추대위원장 김춘규)가 29일 오전 국회 본관 앞 계단에서 ‘한국교회 장로 1만 2천 명 한덕수 총리 대통령 후보 추대 및 단일화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지금 대한민국은 위기다. 대외…

김문수 한덕수

종교·시민단체 연합, “김문수 지지 및 한덕수와 연대” 촉구

대한민국 종교 및 시민단체 연합 일동이 28일 오후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조기 대선에서 김문수 전 장관 지지 및 한덕수 총리와의 연대 촉구를 표명했다. 이들은 “김문수는 단순한 정치인이 아니다. 그는 노동자의 땀을 기억하는 정치인이다. …

조선 근대화 서울 장터 시장 선혜창 선교 내한 선교사 140주년

내한 선교사들, 당시 조선 사회 얼마나 변화시켰나

19세기 말 선교사 기독교 전파 신앙, 한국 개화 동력이자 주체 ‘하나의 새로운 사회’ 형성시켜 복음 전하자, 자연스럽게 변화 1884년 9월 알렌 의사의 내한 이후 1985년까지 100년간 내한한 선교사 총 수는 약 3천여 명으로 파악된다(기독교역사연구소 조사). 내한 …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