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목회자 67% “이 시대 최고의 우상은 안락함”

뉴욕=김유진 기자     |  

권력 또는 미래 보장, 돈, 평판 등이 뒤이어

▲미국 라이프웨이리서치가 실시한 조사에서 개신교 목회자의 절반 이상이 안락함, 권력이나 (미래를 위한) 보장, 돈 등이 교회의 잠재적인 우상이라고 답했다.   ⓒ라이프웨이리서치

▲미국 라이프웨이리서치가 실시한 조사에서 개신교 목회자의 절반 이상이 안락함, 권력이나 (미래를 위한) 보장, 돈 등이 교회의 잠재적인 우상이라고 답했다. ⓒ라이프웨이리서치

미국 개신교 목회자의 절반 이상이 안락함, 권력과 미래에 대한 보장, 돈과 타인의 인정을 교회가 직면한 가장 큰 우상이라고 답했다.

라이프웨이리서치(Lifeway Research)는 지난해 9월 1일부터 29일까지 미국 개신교 목회자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교회의 가장 큰 잠재적 우상에 대한 이 조사에서 목회자 3명 중 2명(67%)은 ‘안락함’을 꼽았으며, 이어 ‘권력 또는 (미래에 대한) 보장’(56%), ‘돈’(55%), ‘(타인의) 인정’(51%) 순이었다. ‘성공’(49%)과 ‘사회적 영향력’(46%)을 꼽은 목회자는 절반에 조금 못 미쳤다.

또 5명 중 2명은 ‘정치권력’(39%), 3명 중 1명(32%)은 ‘성’이나 ‘낭만적 사랑’을 꼽았다. 반면 14%는 ‘이들 중 어느 것도 잠재적 우상이 아니’라고, 2%는 ‘알 수 없다’고 했다.

또 젊은 세대의 목회자는 기성세대보다 정치권력이나 돈, 권력과 미래에 대한 보장을 더 꼽았다.

18세부터 44세의 목회자들은 ‘권력이나 보장’(72%), ‘정치권력’(55%)을 주로 꼽았다. 또 18~44세(63%) 목회자는 45~54세(58%), 65세 이상(46%)보다 ‘돈’을 더 꼽았다.

기성세대일수록 자신의 교회에 잠재적 우상이 없다고 말하는 경향이 강했다. 55~64세(18%)와 64세 이상(19%) 목회자들은 18~44세(9%)나 45~54세(10%)보다 ‘이들 중 어느 것도 잠재적 우상이 아니’라고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아울러 18~44세(14%)와 45~54세(13%)의 목회자들은 65세 이상(5%)보다 ‘정치권력’을 더 꼽았다. 반면 65세 이상(13%) 목회자들은 18-44세(5%)보다 ‘사회적 영향력’을 더 꼽았다.

인종별로는 백인 목회자가 흑인 목회자보다 ‘정치권력’(41% 대 29%)과 ‘(타인의) 인정’(53% 대 40%)을 꼽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 흑인 목회자들은 백인보다 ‘이들 중 어느 것도 잠재적 우상이 아니’라고 답한 비율이 두 배(25% 대 13%) 가까이 높았다.

교육 수준별로는 정규 교육을 더 받은 목회자가 덜 받은 경우보다 ‘돈’ 과 ‘권력이나 미래의 보장’을 더 꼽았다.

석사(64%)나 박사(57%) 학위를 소지한 목회자는 대졸 미만(43%)보다 더욱 ‘돈’을 꼽았다. 또 석사(67%)나 박사(64%) 학위를 가진 목회자들은 대졸 미만(38%)보다 ‘권력이나 보장’을 더 꼽았다. 반면 대졸 미만인 목회자(25%)는 ‘이들 중 어느 것도 우상이 아니’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큰 교회의 목회자들은 작은 교회 목회자들보다 ‘사회적 영향력’과 ‘성’ 또는 ‘낭만적 사랑’을 더 꼽았다.

교인 출석이 250명 이상(55%)인 목회자는 100~249명(51%), 50~99명(42%), 50명 미만(39%)인 목회자보다 ‘사회적 영향력’을 더 꼽았다. 마찬가지로 출석률 250명 이상(40%)과 100~249명(39%)인 교회 목회자는 50~99명(30%), 50명 미만(21%)보다 ‘성’이나 ‘낭만적 사랑’을 더 꼽았다.

교단별로는 비종파(23%)와 오순절(20%) 교단이 감리교(9%), 성경 복귀 운동(6%)보다 ‘이들 중 어느 것도 잠재적 우상이 아니’라고 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성공’을 교회의 가장 큰 우상으로 꼽은 교파는 오순절(13%), 침례교(5%), 감리교(3%), 장로교/개혁교단(3%), 성경 복귀 운동(1% 미만) 순이었다.

교인을 좌우할 잠재적인 우상으로는 ‘안락함’(30%)과 ‘권력이나 (미래에 대한) 보장’(20%), ‘돈’(1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치권력’(10%), ‘사회적 영향력’(9%), ’타인의 인정’(6%), ‘성공’(4%), ‘성이나 낭만적 사랑’(1%)이 교인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 답했다.

스콧 매코넬 라이프웨이리서치 상무는 보고서에서 “더 많은 것을 추구하려는 미국인들의 집착은 교회 안에서도 분명히 엿볼 수 있다”며 “가장 많은 교회가 1차원적 세상의 안락함과 싸우고 있으며, 두 번째로 큰 현대 교회의 우상은 그들이 이미 가진 안락함을 안전하게 지키려는 헌신”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