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솔루션: 우리 아이 왜 이럴까요? (207)] 반항심이 많은 아이들
반항심 많은 아이들이 있다. 이 아이들은 불만이 가득한 상태이다. 자신의 요구가 부모로부터 거절되어서인지, 아니면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서인지는 모른다. 다만 이런 상태를 방치하면, 더욱 심각한 문제 행동을 보이게 돼 서둘러 개선해야 한다. 반항심 많은 아동은 불만 가득한 아동, 적대감이 많은 아동, 공격성이 많은 아동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1. 정서 발달이 미숙한 결과
반항심 많은 아동은 정서 발달이 미숙한 결과이다. 이들은 정서 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것이다. 아동의 정서가 원만하게 발달되면, 반항심이 해소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반항심(反抗-心)이란 다른 사람이나 기존의 권위 따위에 대해 반대하거나 저항하려는 마음이다. 이 반항심은 자신의 의견이나 심리에 충돌하거나 저항이 되는 현상이다. 자신의 기준에 부합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못마땅해 하는 심리적 현상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정서발달 미숙은 정신적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런 상태에서 아동은 자신의 주장을 더 내세우는 태도가 우선되기 때문이다.
아동이 자신이 바라는 것을 부모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하여 다르게 반응하는 경우이다. 이런 아동의 경우 대개 아직 나이에 따른 적절한 발달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이다. 그리하여 생활의 질서를 잘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경우 아동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일단 충족돼야 한다. 그리고 부모의 의견에 따르는 일을 자신이 거부당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발달의 미숙성은 대개 열등감이 뿌리에 자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열등감은 아동의 정서가 정상적으로 작용하는데 방해적이기 때문이다.
발달 미숙을 그대로 방치하면, 나중에 아동이 신뢰감 형성에 실패하게 된다. 아동은 극심한 열등감과 무가치감, 그리고 타인에게서 긍정적 태도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무능력을 보이게 된다는 점에서다.
2. 분노가 가득한 상태
반항심 많은 아동은 분노가 가득한 상태이다. 이들의 분노는 심리적으로 부정성의 축적으로 보아야 한다. 부정성의 축적에서는 억압이 작용한 것이 원인이다.
억압은 심리적으로 눌려 있다는 것으로, 그 원인은 다양하다. 자신의 요구가 거절되어,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등 실로 다양하다. 억압은 아동의 자유로운 감정을 억제시킨다.
이처럼 반항적인 태도는 그들의 내면에 부정적인 에너지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정적 에너지는 욕구의 불만과도 상당 부분 관련성을 갖는다.
여기에는 물론 부모가 강제적이며 지나치게 엄하기 때문에 기를 펴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동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상정하게 된다. 아동의 의사나 욕구나 자주 무시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아동의 내면에는 불만감이 쌓인다. 이런 아동들은 어머니에게 의사가 거절되거나 아버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이런 아이들은 친구 관계도 원만치 못하기 쉬운데, 그들이 가진 불만감을 친구들에게 스트레스를 표출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행동은 일상생활에서 부정적 감정 덩어리를 만들고 있다. 이런 감정 덩어리는 나중에 어떻게든 터져 나오게 되는 폭탄이나 다름 없는 것이다.
3. 부정성을 자극한 결과
반항심 많은 아동은 부정성이 자극된 결과로 보아야 한다. 부정성의 자극에서는 부모의 강압적인 방법을 간과할 수 없다.
부모의 강압적 양육 방법은 아동에게 부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일차적인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동의 의견을 이해하거나 수용하지 않고 무시해버리는 태도가 사용됐으리라 추정하는 것이다.
실제로 부모의 강압적 방법에서는 대체로 아동의 존재가 무시되는 편이다. 이로 인해 아동은 부정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아동은 부모의 균형적 사랑을 받지 못해 정서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 상황에서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로 작용되고 있다. 또 강압적 양육 태도가 고착되면, 아동은 자신에게 다가오는 문제를 부정적으로 보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전개된다.
강압적 방법을 사용하는 부모일수록 부모의 태도가 일관성이 없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부모의 기준에 따라 이랬다저랬다 하는 부모의 일관성 없는 태도를 상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부모의 삶에서 겪는 실패와 어려움 때문에 생긴 분노와 실망, 좌절과 우울함이 아동에게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그 적대감을 드러나게 되는 수도 있다.
그러다 어느 경우에 부모는 아동에게 적절하지 않은 표현과 지나친 행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서 갖게 되는 죄책감을 덮기 위해 과보호적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는 강압적 부모가 일관성 없는 교육방법을 아동에게 행하게 될 위험성이기도 하다.
4. 정리
반항심 많은 아이들을 둔 부모라면, 전술한 원인을 참고해 스스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부모가 올바르게 양육을 한다 해도 반드시 원인이 될 만한 조건이 얽혀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자신을 냉정하게 분석해야 개선 가능성이 보인다.
김충렬 박사
한국상담치료연구소장
전 한일장신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