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성록, 한 점의 그림] 요제프 이스라엘스, 샤를 드 그루
하늘나라, 죽은 후 먼 훗날 아냐
구원받은 사람 달라진 세계질서
복음의 정신에 따라 살아갈 때
그분 사랑과 성품 엿볼 수 있어
미술가들은 이웃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을까? 이 문제를 먼저 19세기 후반 네덜란드 화가 요제프 이스라엘스(Jozef Israëls, 1824-1911)의 작품을 예로 들어 살펴보자.
네덜란드 흐로닝언 유태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이스라엘스는 유년 시절 부친을 따라 상업에 종사하였으나, 화가가 되기로 결심한 이후 파리로 유학하여 그곳에서 미술을 배웠다.
때마침 파리에서는 프랑수와 밀레(Jean François Millet)의 전시가 열리고 있었는데 이때 이스라엘스는 밀레의 전시를 본 후 커다란 감동을 받았다. 농부들의 실생활에 기초한 생동감 나는 사실주의는 그의 예술에 이정표가 되었다.
암스테르담으로 돌아온 그는 평소 자신이 흠모해오던 밀레처럼 서민들의 삶에 주목하게 된다. 따듯한 색감과 잔잔한 터치로 해변 풍경과 어촌의 가족상을 그렸으나 본격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러던 차에 그에게 뜻하지 않은 일이 생겼다. 이스라엘스는 하르렘(Haarlem) 인근 잔트포르트(Zandvoort)라는 마을에 머물며 요양을 하게 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특히 마을의 어촌 공동체와 그들의 삶의 방식에 끌렸다.
현재 잔트포르트는 리조트가 들어서고 피서객들이 몰리는 명소가 되었지만, 19세기만 해도 위험스럽고 빈곤한 어촌에 불과했다. 이스라엘스는 그곳에 머무는 동안 가난한 어부들과 그 가족의 삶을 가까이에서 엿볼 수 있었고 그들에 대한 긍휼의 감정을 품게 되었다.
부유한 집안에서 성장해 남부러울 것없이 살았던 이스라엘스는 잔트포르트 어부들의 비참한 생활이 큰 충격으로 다가왔고 이를 공감의 언어로 전달하게 된 것이다. 거기서의 생활은 그의 인생과 예술을 송두리째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때부터 그는 진정으로 사랑과 연민으로 가득 찬 새로운 표현에 사로잡혔다
이스라엘스의 예술 세계에 돌파구가 되어준 <물에 빠진 사람을 나르는 어부들>(1862)은 어부들의 삶을 리얼하게 펼쳐놓고 있다. 멀리 난파당한 배가 떠 있고 화면 하단에는 여러 사람들이 시신을 뭍으로 옮기는 비극적인 장면이 펼쳐지고 있다. 화면은 남편을 잃고 실의에 빠진 여인과 영문을 모른 채 엄마 손에 붙들린 두 아이, 뒤를 이어 시신을 안고 걸어 나오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이번에는 평범한 농부가족을 모티브로 한 그림을 보자. <식탁에 둘러앉은 농부가족>(1882)은 호화스럽지는 않지만 가족이 식탁에 둘러앉아 함께 저녁식사를 하고 있다.
식탁에 놓인 음식이라야 빵과 스프 정도가 전부이고, 가재도구도 변변한 것이 없는 지극히 가난한 가정이다. 아내는 남편과 아이들에게 음식을 나누어주는 중인데 아이들이 배가 고픈지 음식에서 눈을 떼지 못한다.
맞은편에 앉은 남편은 약간 지친 기색으로 멍한 눈빛을 하고 있다. 불기가 없는 탓인지 집안 분위기는 더욱 을씨년스럽기만 하다. 이처럼 이스라엘스는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나타내면서 그들과 밀착하지 않고는 도달할 수 없는 예술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스라엘스의 예술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은 바로 약자들에 대한 관심일 것이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감상자에게 내 마음을 전하고 싶다. 육안으로 본 것뿐만 아니라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움직이는 것을 본 장면에 매료되기를 바란다.”
그의 시선에는 아픔을 겪는 사람들이 들어왔고, 이스라엘스는 그들의 편에 서서 그들의 삶의 실재를 속속들이 담아냈다. 기댈 곳 없는 타자를 품는 일이야말로 그의 예술에 있어 가장 본질적이며 핵심적이다.
불우한 사람들에 주목하였던 또 한 명의 화가로 샤를 드 그루(Charles de Groux, 1825-1870)가 있다. 프랑스 태생이지만 오랜 벨기에 체류로 ‘벨기에 화가’로 분류되는데, 그가 평생 관심을 기울인 것은 사각지대의 사람들이었다.
추운 날씨에 바깥에서 커피를 갈아 생계를 이어가는 사람, 실직하여 무기력한 사람, 어둔 방에서 쓸쓸히 죽어가는 여인, 엄마를 살려내라고 보채는 어린 아이들, 저녁기도를 올리는 가난한 가족 등 찰스 드 그루는 고상하고 우아한 스타일과 주제와 단절하고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에 주목하였다.
그런 인물을 주제로 삼은 데는 사회적인 원인도 작용하였다. 19세기 벨기에는 상당한 경제적 빈곤과 사회적 불평등의 먹구름이 뒤덮였는데, 대부분 주민이 그동안 농촌 지역에 거주하면서 농부로 살아왔으나 산업혁명이 가져온 급속한 산업화는 벨기에 사회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많은 농촌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이주했으나 그들은 열악한 노동조건, 낮은 임금, 긴 노동시간에 시달려야 했다. 이러한 요인들은 많은 벨기에 사람들에게 심각한 생활고를 초래했다.
이런 시기에 나온 것이 <퇴거>(the Eviction, 1850-1870년)이다. 이 작품은 임대료를 내지 못해 집을 떠나야 하는 한 가정의 모습을 재현하고 있다. 가장의 어깨에는 큰 짐이 들려져 있고 아내는 고개를 푹 숙인 채 어린아이를 안고 있다.
가녀린 소녀가 아빠를 올려다보며 ‘어디로 가냐’고 묻지만 아빠는 아무 대꾸도 하지 못한다. 입구를 막아선 집주인이 달갑지 않은 표정으로 이들을 쳐다보고 있다. 나무 한 포기조차 없는 주위의 황량함이 이들의 처지를 한층 안타깝게 한다.
가난한 이들의 벗이 된다는 것은 창작을 소명으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공통된 측면이다. 어떤 작가의 눈에는 목격되지 않았으나 그들의 눈에는 이들이 들어온 것이다. 그들이 느낀 것에 공감하고 이를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은 위대한 작가들이 지닌 비밀 중 하나였다.
우리 주변에도 잔트포르트 어민이나 벨기에 주민 같은 가난한 이웃들이 있다. 그들 중 어떤 사람들은 생활고로 힘겨워하고 심지어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처지까지 떠밀리기도 한다. 조금만 주위로 눈을 돌리면 네덜란드 화가들이 만났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예수님 제자들이 한 덩어리의 빵을 부풀리는 ‘누룩’이 되어야 했던 것은 그 분의 나라가 죽은 이후에만 성취되는 먼 훗날의 나라가 아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스도의 하늘나라 선포는 구원받은 사람들이 거하는 달라진 세계질서를 요구하는 외침이었다. 이것이 우리 세계를 위한 예수님의 좋은 소식이었다.
그러므로 우리가 복음의 정신에 따라 살아갈 때, 하나님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를 통해 그분의 사랑과 성품을 엿볼 수 있게 하실 것이다.
월터 브루그만(Walter Brueggemann)의 말처럼, “하나님은 자기 존재의 안위가 아니라 참 대화에 몰두하시며 이 대화는 타자의 안녕을 되살리고 영원한 찬가를 부르게 해준다.”
타자와의 교감에서 비롯되는 행동은 비록 화려한 말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대방에게 하나님 사랑을 깊이 있게 체험하게 해준다. 우리의 모습을 보고 그들의 마음에 하나님 나라의 그림이 그려지기 때문이다.
서성록 명예교수(안동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