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감과 직관의 선물로… 창조 세계, 가장 위대한 현실

|  

[송영옥 박사 기독문학세계] 삶의 기쁨, 생명을 송축한다

▲ⓒunsplash.com

▲ⓒunsplash.com

(서 있는 자리가 다르면 빛도 다르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빛나는 빛이며 직관이다. 계시의 섬광이며 세계의 근원이다. 이를 통해 창조 세계가 가장 위대한 현실임을 깨닫는다.)

한 날, 따뜻한 햇살 아래 피어난 연녹색 작은 꽃 한 송이를 보았다. 나는 라운딩 중이었다. 카트 길을 피하여 언덕들 사이로 난 길을 따라 다음 홀 티박스로 이동하고 있었다.

큰 길을 택해 따라 걸었더라면 놓혀 버렸을 이 작은 들꽃 앞에서 홀린 듯 멈추어섰다. 꽃은 기다렸다는 듯 나를 맞았다. 마치 가늠할 수 없는 감정을 품은 얼굴이다. 잎을 활짝 열고 눈부신 속살을 내어보이며 나와 눈을 맞출 때 나는 웃었고 고마웠다.

따스한 바람이 불어와 들꽃을 흔들었다. 바람은 봄의 온화한 기운을 실어내 나무들을 움트게 하고 조금씩 더 짙은 녹색으로 변하게 하며 온 천지에 갖가지 꽃들을 피워 내는 중이다. 바람의 길을 타고 언덕 사이로 난 좁은 길에도 꽃은 피고 이름 없는 잡초들도 너울을 두른다.

바람 앞에서 그들 몸은 관능으로 감응한다. 바람과 록색의 유희를 즐기는 동안 내 영혼은 활짝 열려 전율적인 기쁨으로 떨렸다.

서 있는 자리가 다르면 빛도 다르다. 적어도 이 순간만은 연한 녹색의 꽃 한 송이가 우주의 주인이다. 들풀과 바람은 봄의 향기이며 봄의 색체이다. 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녹색이다.

자연의 외향인 들과 산과 나무와 숲도 초록이고, 바람에 흔들리는 들풀도 연록색 너울을 두르고 있다. 지저귀는 새소리도, 사람들의 웃음소리에도 온통 색의 향기가 묻어난다.

이러한 녹색을 마주하고 있노라면, 언제나 한 마디 말과 극적으로 만나게 된다. 의식은 깨어나 순간 탄력으로 높이 솟아오른다. 충만함으로 떨어져 깊은 침묵 속으로 빠져든다. 그 한 마디는 ‘생명성’이다. ‘생명성에 대한 갈망’이라는 표현이 더 실제적일 것 같다.

생명성은 삶의 에너지와 활기이다. 무엇인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활력을 보일 때 생명감을 느낀다고 말한다. 그러하니 하늘과 땅 사이에 흐르고 성장하는 모든 것은 생명을 상징한다.

갈망이란 인간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인식하고 그것을 얻으려는 내적 욕구이다.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역량과 의지력을 모두 포함하는 언어이다. 따라서 생명성을 갈망하는 것은 삶의 진정한 의미와 목적을 찾기 위한 내면의 탐색이다. 자신의 생에 대한 신념을 찾는 일이며,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대상에 대한 믿음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눈에 보이는 것 이상으로 삶에는 무한이 있다. 삶은 무한한 가능성으로 기쁘다. 우리는 영감과 직관이라는 선물로 삶을 송축한다.

영국 시인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 1757-1827)는 이렇게 썼다. “한 줌의 모래에서도 세계를 보고 한 송이 들꽃에서도 천국을 본다(To see a world in a Grain of Sand, And a Heaven in a Wild Fower).” 시인의 눈으로 사소한 것에서 무한을 볼 수만 있다면, 삶의 기쁨을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사순절과 부활절을 맞으면서, 시인 T. S. 엘리엇(Thomas Stearrns Eliot, 1888-1965)의 말을 깊이 묵상하였다. 그를 이 글에 소환하여, 독자들과 함께 생명을 송축하고자 한다.

“초자연적인 존재 곧 하나님을 믿는 다는 것은 초 자연적인 세계, 곧 하나님 나라가 지금 여기에서 가장 위대한 현실이라는 사실을 믿는 것이다(A supernatural being, that is, to believe in God, is to believe that there is a supernatural order, that is, to believe that the kingdom of God is the greatest reality here and now).”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송영옥 교수(기독문학 작가, 영문학 박사).

송영옥 교수
영문학 박사, 기독문학 작가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