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개신교인 77% “십일조는 성경적… 지금도 적용돼”

뉴욕=김유진 기자     |  

내는 대상은 출석교회가 90%

ⓒLeiada Krozjhen/ Unsplash.com

ⓒLeiada Krozjhen/ Unsplash.com

미국 개신교인의 과반수가 십일조는 성경적 명령이며 이를 실천한다고 답했지만, 그 방식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렸다.

미국 라이프웨이리서치(Lifeway Research)는 2022년 9월 19일부터 20일까지 미국 개신교 신자 1,0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응답자 4명 중 3명 이상(77%)은 “십일조가 지금도 여전히 적용되는 성경적 명령”이라고 한 반면, 10%는 “그렇지 않다”, 13%는 “불확실하다”고 했다. 십일조를 성경적이라고 믿는 비율은 2017년 83%에 비해 줄었고, 확신하지 못하는 비율은 3% 늘었다.

연령별로는 18-34세의 MZ세대 신자(66%)가, 교단별에서는 루터교인(59%)이 십일조에 동의하는 비율이 가장 낮았다.

“십일조는 성경적이며 오늘날에도 적용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복음주의 신앙인(85%)이 그렇지 않은 신자(71%)보다 더 많이 동의했다. 또 ‘한 달에 최소 4번’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80%)가 ‘한 달에 1-3번’ 참석하는 신자(72%)보다 십일조에 더욱 동의했다.

또 신자 중 절반(51%)은 “출석 교회에 십일조 또는 그 이상을 낸다”고 밝혔으며, 그 중 31%는 “수입의 10%를 낸다”, 19%는 “더 많이 낸다”고 했고, 22%는 “헌금(기부)을 하지만 일관적이지 않다”고 했다. 또 다른 9%는 “재정적으로 헌금하기 어렵다”, 2%는 “헌금하지 않는다”고 했다.

교회에 십일조를 내는 비율은 31%로 2017년(37%)에 비해 줄었다. 반면 수입의 10% 이상을 헌금하는 교인의 비율(51%)은 2017년(54%)보다 줄었으며, 수입의 10% 미만을 헌금하는 비율(16%)도 2017년(20%)에 비해 감소했다.

또 침례교(40%), 장로교/개혁파(34%), 비종파(34%) 교인은 루터교(19%), 복고주의 운동(17%), 감리교(12%)보다 십일조를 낼 가능성이 더 높았다.

‘한 달에 4번’ 예배에 참석하는 신자(34%)는 ‘한 달에 1~3번’ 참석하는 신자(26%)보다, 복음주의 신앙인(39%)이 그렇지 않은 신자(25%)보다 십일조를 낼 가능성이 높았다.

십일조를 성경적 명령으로 믿는 교인의 10명 중 9명(90%)은 십일조를 내는 대상으로 출석교회를 꼽았으며, 그 외 중에서는 “기독교 사역”(55%), “도움이 필요한 개인”(42%), “정기적으로 참석하지 않는 타 교회”(34%), “세속 자선단체”(25%) 순이었다.

교회에 십일조를 내는 데 동의하는 비율은 2017년 98%에 비해 감소한 반면, 기독교 사역(48%→55%), 도움이 필요한 개인(34%→42%), 또는 세속 자선단체(18%→25%)에 십일조를 낼 수 있다는 응답은 2017년에 비해 모두 증가했다.

자신이 출석하는 교회에 십일조를 낼 수 있다고 답한 신자는 루터교(98%), 장로교/개혁파(96%), 침례교(93%), 비종파(92%)가 가장 많았다. 루터교 신자는 십일조를 “세속 자선단체”에 기부할 가능성이(45%), 장로교/개혁파 신자는 “도움이 필요한 개인”에게 할 가능성이 컸다(51%).

반대로 침례교인은 출석 교회가 아닌 기독교 사역(51%), 도움이 필요한 개인(37%), 정기적으로 다니지 않는 타 교회(34%), 세속 자선단체(19%)에 십일조를 낼 가능성이 가장 낮았다.

복음주의 신앙인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교회에 십일조를 바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반면(95% 대 85%), 세속 자선단체에 기부할 가능성은 가장 낮았다(29% 대 20%).

지난 5년간 온라인 헌금은 눈에 띄게 증가했지만, 교인의 과반수(53%)는 교회에서 직접 십일조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는 교회 웹사이트(23%), 은행(14%), 은행 자동이체(8%), 교회가 제공한 앱(7%) 또는 문자(2%)로 십일조를 냈다.

또한 오늘날 교인의 과반수(59%)는 교회에서 수표로 십일조를 내고 있으며, 이 수치는 2017년(30%)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십일조를 우편으로 보내는 비율도 2017년(3%)에 비해 오늘날 9%로 증가했다. 아울러 교회 웹사이트(23% 대 11%), 은행(14% 대 5%), 자동 결제(8% 대 3%), 교회 앱(7% 대 3%)을 통해 내는 비율도 모두 증가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2024 부활절 연합예배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 4월 20일 오후 4시

예장 통합 총회장 사회, 예장 합동 총회장 설교, 대회장에 이영훈 목사 김정석 감독회장 인사 ‘2025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가 한국 기독교 선교 140주년을 맞아 부활주일인 오는 4월 20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광림교회에서 개최된다. 올해는 1885년 4월 5…

이세종 심방

“심방, 가정과 교회 잇는 가장 따뜻한 통로입니다”

“2023년 12월, 울산교회 고등부 사역을 마무리하던 즈음 출판사에서 연락을 주셨고, 심방이 다음 세대 부흥에 어떤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글로 남겨보자는 제안을 주셨습니다. 그때 지난 사역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께서 심방의 길을 열어주신 뒤, 한 영혼이 변화…

기독교한림원

선교 140주년, 한국교회의 진정한 역사와 역할은

한국교회 선교 역사, 140주년 이상 토마스, 칼 귀츨라프 선교사 기억을 암울한 시기 여명의 빛으로 떠올라 새로운 삶의 의미와 희망 가져다줘 근대 사회 진입에 큰 역할 잘 감당 지금도 자유민주주의 수호에 앞장 한국기독교한림원(이사장 조용목 목사, 원장 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