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룽장성(흑룡강성) 치치하르시 회사와 20년간
김순권 국제옥수수재단 이사장(한동대학교 석좌교수)은 지난 5월 중국 헤이룽장성(흑룡강성) 제2도시인 치치하르시 친윤종자회사와 20년간 공동 옥수수 개발 시판 MOU를 체결하고, 코로나로 3년간 중단됐던 동북3성을 위한 옥수수 육종 연구를 재개하기로 했다.
중국은 전 세계에서 옥수수 수요가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 재배 면적이 세계 1위다. 하지만 옥수수 총 생산량은 재배 면적이 적은 미국에 뒤처진다.
김순권 박사는 그 원인을 안전다수확이 가능한 교잡종 품종의 부족함과 콩-옥수수 윤작의 미비에서 찾는다.
김순권 박사는 1979년부터 아프리카 나이지리아 소재 UN IITA(국제열대농업연구소)에서의 옥수수 육종연구를 진행 중, 1985년 중국 정부 대표단 (농업과학원)으로부터 중국 방문을 정식으로 요청받았다.
다음 해인 1986년 8월, 김순권 박사와 아내는 중국 정부 특별초청을 받아 200종의 옥수수 원종을 가지고 11일간 중국 농업과학원(CAAS), 북경 (BAAS)과 난징 (NAAS), 광저우 농업과학원을 차례로 방문해 옥수수 육종 신기술 세미나를 진행했다. 이후로도 옥수수 연구를 도우려 하였으나 코로나 이후 중국 내부 회사 사정 악화로 번번히 중단됐다.
그러던 중 지난 4월 25-28일 다롄에서 진행된 제11회 세계 DNA의 날 (11th World DNA Day, WDD-2023)에서 다시 기회를 잡았다.
김순권 교수는 이 행사에서 세계 식량안보와 기후변화 차단을 주제로 발표하며, 중국의 헤이룽장성(흑룡강성) 제2도시인 치치하르시 친윤종자회사와 연결됐고,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동북 3성 옥수수 연구를 다시 시작함과 동시에 옥수수 1억 톤, 콩 2천만 톤 증산을 제안했다.
옥수수는 식량, 가축 사료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주요 에너지 자원이다. 오늘날 미국은 전세계 옥수수 생산량 1위이며, 전체 알곡의 40%를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에너지 수요에 변동성이 있을 경우, 옥수수 알곡 가격도 상승해 안정적 수확량 확보는 에너지 안보에도 큰 의미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