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왜 읽어도 읽어도 잘 이해가 되지 않을까?

|  

[큐티, 열쇠는 문해력이다 2] 성경은 외계어일까, 수학 문제일까?

아는 한글로 된 성경, 이해 안 돼
신약성경 원어는 평소 사용 언어,
지금 우리 성경은 문어체·고어체
문해력도 갈수록 심각 수준 하락
큐티 문해력? 성경 읽고 쓸 역량
쉬운 말 성경으로 바꿔서 읽어야

▲성경이 있는 정물, 빈센트 반 고흐, 65x78cm, 캔버스에 유채,1885, 반고흐 미술관 소장

▲성경이 있는 정물, 빈센트 반 고흐, 65x78cm, 캔버스에 유채,1885, 반고흐 미술관 소장

우리가 읽는 성경은 한글로 되어 있다. 백성들이 누구나 쉽게 읽고 쓸 수 있게 세종대왕께서 만드셨다는 그 한글 말이다. 하지만 읽어도 이해하기 어렵다. 왜 그럴까?

현재 대다수 성도들이 사용하는 번역본은 ‘개역개정판 성경’이다. 이 성경은 원래 1956년도에 발행된 ‘개역한글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1998년에 원어적 완성도와 현대 어법에 맞는 성경을 번역한다는 취지로 발행되었지만, 개정이 최소 폭에 그쳐 아쉬움을 크게 남긴 번역판이다.

더욱이 이 성경이 나온지도 4반세기가 되어간다. 번역의 정확도를 떠나, 성도들이 이해하기 쉽지 않은 성경이 된 것이다. 그렇게 성도들에게 성경은 외계어가 되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누구나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읽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또한 읽고 싶어서 노력도 한다. 하지만 읽기 위해 펼치면 수학 문제집이 된다. 공식을 대입하기 시작한다. 하지만 옃 개 알고 있는 공식에 성경 구절을 대입해도 풀리지 않는다. 문제 풀이집을 찾는 이유다.

문제는 쉽게 알려준다는 주석을 옆에 갖다놓아도,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혼자 할 수 없으니 목회자의 도움을 받기 시작한다. 풀리지 않던 성경 구절이 술술 풀린다. ‘일타강사’를 만난 느낌이다. 그러나 집에 와서 다른 성경 구절을 펼치고 배워온 수학공식(?)에 대입해 보면 역시 풀리지 않는다.

성경은 외계어인데다, 풀리지 않는 수학 문제가 되어 우리를 거부한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접근 방법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성경은 하나님 말씀이다. 말씀을 이해하려면 언어를 알아야 하는데, 알지 못하는 것이다.

신약성경의 원어는 코이네 헬라어다. 당시 보편적인 사람들이 평상시 사용하던 언어였다. 그런데 지금 우리가 보는 성경은 읽기 어려운 문어체에 고어로 되어 있다. 읽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문제점이 하나 더 있다. 우리 문해력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작년 ‘심심(甚深)한 사과’ 사태에서 보듯, 우리나라의 문해력 현실은 심각할 정도다. 특히 다음 세대를 짊어질 청소년들의 경우는 더하다.

다수 신문사에 따르면, 한국 청소년들의 디지털 정보 문해력(디지털 리터러시)은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에서 바닥권을 기록하고 있다. 주어진 문장에서 사실과 의견을 식별하는 능력에서도 최하위를 기록했다.

OECD 회원국들의 평균 식별률이 47%인데, 한국 학생들은 25.6%에 그쳐 꼴찌였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사실(fact)과 의견(opinion)을 구별하지 못할 정도라는 뜻이다. 가짜뉴스가 판을 치는 세상인데, 앞으로가 더 걱정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성경을 이해할 수 있을까? 국어 실력으로 읽어야 한다. 요즘 말로 하면 문해력을 키워야 한다. 대구교육대학교 윤준채 교수는 논문 ‘문해력의 개념과 국내외 연구 경향’에서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문해력이란 말은 라틴어 ‘literatus’에서 파생되었는데, ∙ ∙∙중세 시대에는 ‘라틴어를 읽을 수 있는 사람’으로, 그리고 종교개혁 이후에는 ‘자신의 모국어를 읽고 쓸 수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으로 정의되었다.”

필자는 ‘문해력’을 자신의 언어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한다. 그러니까 큐티를 위한 문해력은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읽고 쓸 수 있는 역량이다.

성경 문해력(bible literacy)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성경 버전부터 현재 우리가 쓰는 말에 가까운 것으로 바꾸자. 아가페 출판사에서 출간한 <쉬운성경>이 쉽고 좋다. 대한성서공회에서 발행한 <젊은이를 위한 새 한글 성경>도 추천한다. 다만 구약성경은 올해말 출간될 예정이다.

영어 버전은 ESV(English Standard Version>와 CEV(Contemporary English Version)를 추천한다. ESV는 개역개정, CEV는 쉬운성경 정도의 수준으로 생각해도 된다.

이제 성경을 책상에 놓고 본격적으로 큐티를 시작해 보자!

▲이석현 목사.

▲이석현 목사.

이석현 목사

블로그 읽고 쓴다 운영자
hajueun5@naver.com
blog.naver.com/hajueun5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신청

많이 본 뉴스

123 신앙과 삶

CT YouTube

더보기

에디터 추천기사

중증외상센터

<중증외상센터> 의료팀 집념에서 겹쳐 보이는 기독교 신앙?

박욱주 박사님이 OTT 넷플릭스 시리즈로 호평받고 있는 는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작품으로, 전장을 누비던 천재 외과 전문의가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통쾌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주지훈(백강혁 역), 추영우(양…

조르주 루오 반 고흐 티모시 슈말츠

깨어진 존재들의 공감에 뿌리내리는 ‘기독교 미학’

하나님 나라 추구 그리스도인 세상 더 잘 알고자 함 필요해 ‘정복하고 다스리라’는 말씀, 샬롬 비전 구현 구체적 행위 피조계 돌보라는 명령 완수 깨어짐 속 빛나는 존재 발견 기독교 미학의 특징 중 하나는 ‘이상화된 미’를 고집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크…

김조한

가수 김조한, 시편 프로젝트 동참 ‘10편: 그 이름을 부릅니다’

R&B 대디 김조한 ‘첫 작업’ 감격 “이 곡은 내 자식 같은 노래” 가수 김조한 씨가 지난 1월 31일 각종 음원 사이트를 통해 새 싱글 ‘그 이름을 부릅니다’를 발표했다. 신곡 ‘그 이름을 부릅니다’는 시편 10편 메시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색다른 멜로디와 …

그라운드C

‘제2의 전한길’ 그라운드C, 세이브코리아 부산 강연에서 시대를 흔들다

강연에서 대중을 몰입시키는 능력은 단순한 말솜씨를 넘어선다. 논리적 흐름, 강렬한 메시지, 그리고 감정적 결집을 이끄는 힘—이 모든 요소가 결합될 때, 연설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닌 ‘대중을 움직이는 힘’으로 작용한다. 필자는 평소 그라운드C(김성원)…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전국 각지서 일어난 수십만 국민들 “탄핵반대·자유수호”

윤석열 대통령이 기소된 후 맞은 첫 주말인 1일 ‘세이브코리아 국가비상기도회’ 네 번째 집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과 부산역광장 등 전국 11개 지역에서 동시에 열렸다. 탄핵 반대와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외치는 수십만의 성도들과 시민들이 결집했으며, …

전한길

전한길 강사가 고발한 ‘불의한 헌법재판관들’의 실체

대한민국 사법부는 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공정하게 운영돼야 한다. 특히 헌법재판소는 국가의 최고 법률기관으로서 국민과 국가를 보호하는 최후의 보루다. 그러나 최근 헌법재판소의 결정들이 정치적 논란을 일으키면서 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과연 헌법…

이 기사는 논쟁중

인물 이 사람